“국정과제 최우선은 경제 성장” 한 목소리, 원희룡만 “양극화 해소”
왼쪽부터 오세훈, 원희룡, 김충환, 나경원
‘향후 10년간 정부가 수행해야 할 우선 과제’로는 3명이 ‘경제성장’(원희룡은 ‘양극화 해소’)을 꼽았고, ‘정부의 기업활동 간섭 금지’에 대해선 4명 모두 ‘찬성’ 의견을 나타냈다. ‘18대 국회 후반기의 중요 정치현안’으로는 오세훈·원희룡·나경원 예비후보가 ‘일자리 창출’(김충환은 ‘개헌논의’)을 1순위로 꼽아 경제성장을 강조하는 한나라당 후보임을 재차 확인할 수 있었다.
국회의원 선거제도와 관련해서는 3명이 ‘현행유지’를 주장한 반면, 원희룡 예비후보는 ‘중대선거구제 전면도입’을 꼽아 눈길을 끌었다. 지방자치단체장(이하 지자체장)과 의원의 정당공천에 대해선 나경원·김충환 예비후보가 ‘현행유지’를, 오세훈·원희룡 예비후보가 ‘기초의원 공천 폐지’를 꼽았다. 지자체장 3선 연임 규제에 대해선 ‘3선 연임 유지’(나경원·원희룡)와 ‘3선 연임 규제 폐지’(오세훈·김충환)로 나뉘었으며, 개헌논의와 관련해서는 4명 모두 ‘중임대통령제’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이슈에 대해선 응답이 엇갈렸다. ‘북핵 문제와 관계없는 대북지원’에 대해선 3명과 달리 나경원 예비후보가 ‘반대하는 편’이었고, ‘경제발전을 위한 약간의 환경파괴’ 항목에선 ‘찬성’(원희룡·김충환)과 ‘반대’(오세훈·나경원)가 나뉘었다.
[서울] 민주당 예비후보·진보신당 후보
이계안 “중임대통령제”, 김성순·노회찬 “의원내각제”
왼쪽부터 이계안, 김성순, 노회찬
자신의 이념 성향은 현대자동차 대표를 지낸 이계안 예비후보가 4점, 행정고시 출신의 김성순 예비후보가 6점이라고 답했다. 노회찬 후보는 2점이라고 답해 가장 진보적이었다. 민주당 전체 의원의 평균은 3.6점, 진보신당 전체 의원의 평균은 1점인 것을 감안한다면 3명 모두 평균보다 오른쪽에 위치했다.
흥미로운 점은 3명 모두 유권자(서울시민)의 이념 성향을 자신의 이념 성향보다 훨씬 보수적이라고 생각한다는 것. 민주당의 두 예비후보는 자신이 생각하는 서울시민의 이념 성향을 7점, 노회찬 후보는 4점이라고 답했다.
국회의원 선거제도와 관련해서는 민주당의 두 예비후보 모두 민주당이 줄곧 주장해온 ‘중대선거구제 전면도입’을, 노회찬 후보는 ‘독일식 비례대표제’(정당 득표율로 각 정당의 전체 의석수를 결정한 후 소선거구제 선거에서 승리한 의석수를 뺀 나머지를 비례대표에 배정하는 방식)를 선호했다.
정치체제 개편은 이계안 예비후보가 ‘중임대통령제’로, 김성순 예비후보와 노회찬 후보는 ‘내각책임제’로 개헌해야 한다는 의견을 내놓았다.
[경기] 한나라당 김문수, 민주당 김진표 후보 … [인천] 한나라당 안상수 후보, 민주당 송영길·유필우 예비 후보
김문수 “고교 학생선발 자율권 확대”, 김진표 “결사 반대”
왼쪽부터 김문수, 김진표, 송영길, 안상수, 유필우
‘북핵 문제와 관계없는 대북지원’과 ‘정부의 기업활동 간섭 금지’에 대해서도 모두 ‘찬성하는 편’이라고 답했다. 반면 ‘경제발전을 위한 약간의 환경파괴’ 항목에서는 ‘찬성’(김문수) ‘반대’(김진표)가 엇갈렸다. 정치체제 개편과 관련해 김문수 후보는 현재와 같은 ‘단임대통령제’를, 김진표 후보는 ‘중임대통령제’를 선호했다. 국회의원 선거제도에 대해선 김문수 후보가 ‘현행유지’라고 답한 반면, 김진표 후보는 ‘소선구제 유지와 비례대표 의원 수 확대’를 꼽았다. 한편 자신과 유권자(경기도민)의 이념 성향을 묻는 질문에 김문수 후보는 모두 6점이라고 답했고, 김진표 후보는 자신은 5점이지만 유권자는 7점이라고 했다.
인천에서는 한나라당 안상수 현 인천시장이 3선에 도전한다. 민주당 경선에서는 송영길 최고위원과 유필우 시당위원장이 진검승부를 벌인다. 민주노동당은 김성진 전 최고위원을, 진보신당은 김상하 변호사를 후보로 내세웠다. 설문에는 안상수·송영길·유필우·김상하 후보가 응했다.
안상수 후보와 유필우 예비후보는 여러모로 비슷한 성향을 보였다. 이념 성향은 물론, 정치현안과 국정과제를 묻는 질문에도 유사한 답변을 내놓았다. 특히 유필우 예비후보는 현 민주당 의원들보다 보수 성향을 드러냈다.
이념 성향을 묻는 질문에 안상수 후보는 자신의 이념 성향을 8점(진보 0~중도 5~보수 10)이라고 답해 한나라당 전체 의원의 평균보다 보수적이었다. 송영길·유필우 예비후보는 각각 6점과 7점이라고 답해 민주당 전체 의원의 평균보다 보수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후보들은 유권자인 인천시민과 소속 정당의 이념 성향도 자신과 같은 수준으로 평가했다.
주요 이슈에 대한 생각도 대체로 비슷했다. ‘북핵 문제와 관계없는 대북지원’ ‘정부의 기업활동 간섭 금지’ ‘고교 학생선발 자율권 확대’ ‘사회적 약자에 대한 혜택 보장’ ‘경제발전을 위한 약간의 환경파괴’ 등 5개 항목에 대해 2명 모두 ‘찬성하는 편’ 또는 ‘매우 찬성’이라고 답했다. 다만 송영길 예비후보는 경제발전을 위한 환경파괴에 대해 ‘반대하는 편’이라고 답했다.
국가 장기 과제로 안상수 후보와 유필우 예비후보는 ‘경제성장’과 ‘실업문제 해결’을 1·2순위로 꼽았다. ‘18대 국회 후반기의 중요 정치현안’으로는 안상수 후보가 ‘일자리 창출’ ‘4대강 사업 추진’을, 송영길 예비후보가 ‘실업문제 해결’ ‘물가안정’을, 유필우 예비후보가 ‘일자리 창출’ ‘북한과의 관계 개선’을 들어 약간의 시각차를 보였다. 국회의원 선거제도와 관련해서는 안상수 후보와 송영길 예비후보가 ‘소선거구제 유지와 비례대표 의원 수 확대’를, 유필우 예비후보가 ‘현행유지’를 선호했다.
[강원] 한나라당 이계진, 민주당 이광재 후보 … [충북] 한나라당 정우택, 민주당 이시종 후보
여·야 불문 ‘일자리 창출’과 ‘실업문제 해결’에 관심
왼쪽부터 이계진, 이광재, 정우택, 이시종
이계진 후보는 자신의 이념 성향을 8점이라고 답해 한나라당 전체 의원 평균보다 보수적이었다. 유권자와 소속 정당의 이념 성향에 대해서는 9점이라고 답해 자신의 이념 성향보다 더 보수적으로 느끼고 있었다. 이광재 후보는 자신의 이념 성향과 소속 정당의 이념 성향을 각각 4점과 5점으로 매겼다. 반면 유권자들의 이념 성향에 대해서는 8점이라고 답했다.
‘18대 국회 후반기의 정치현안’에 대해서는 2명 모두 ‘일자리 창출’과 ‘북한과의 관계 개선’을 꼽았다. 실업문제와 천안함 사건으로 어수선해진 사회 분위기를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향후 10년간 정부가 수행해야 할 우선 과제’로 이계진 후보는 ‘실업문제 해결’ ‘남북관계 개선’을, 이광재 후보는 ‘양극화 해소’ ‘정치개혁’을 꼽아 약간의 시각차를 드러냈다.
경제성장, 환경문제, 경쟁적 교육 등 성향을 가늠할 수 있는 주요 이슈에 대해서는 두 후보의 답변이 엇갈렸다. 이계진 후보는 북핵 문제와 관계없이 북한을 지원하는 데 반대한 반면, 이광재 후보는 찬성했다. ‘고교 학생선발 자율권 확대’와 ‘정부의 기업활동 간섭 금지’에서도 이계진 후보는 찬성, 이광재 후보는 반대였다. 국회의원 선거제도 개혁안과 관련해서는 이계진 후보가 ‘소선거구제 유지와 비례대표 의원 수 확대’를, 이광재 후보가 ‘중대선거구제 전면도입’을 선호했다.
충북도지사 재선에 도전한 한나라당 정우택 후보는 자신의 이념 성향을 7점으로 본 반면, 유권자의 이념 성향은 6점으로 꼽아 자신보다 중도보수에 가깝다고 느꼈다. 민주당 이시종 후보는 자신의 이념 성향은 4점으로 답한 반면, 유권자의 이념 성향은 7점이라고 답했다.
‘18대 국회 후반기의 중요 정치현안’으로 2명 모두 ‘세종시 수정안 문제’를 꼽았다. 그 다음 중요 정치현안으로 정우택 후보는 ‘개헌논의’를, 이시종 후보는 ‘일자리 창출’을 들었다. ‘향후 10년간 정부가 수행해야 할 우선 과제’에 대해서는 정우택 후보가 ‘실업문제 해결’ ‘지역갈등 해소’를 꼽았으며, 이시종 후보는 ‘지역갈등 해소’ ‘양극화 해소’라고 답했다.
주요 이슈에 대해서는 2명 모두 소속 정당의 다수 의견과 생각이 같았다. 정우택 후보는 ‘북핵 문제와 관계없는 대북지원’에 반대하고 ‘고교 학생선발 자율권 확대’에 찬성했다. 이시종 후보는 정우택 후보와 반대의 의견을 내놨다. 하지만 ‘정부의 기업활동 간섭 금지’에 대해서는 2명 모두 찬성했다. 선거제도 개혁안에 대해서는 정우택 후보가 ‘중대선거구제 전면도입’을, 이시종 후보가 ‘현행유지’를 꼽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