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동아 589

..

‘나와 너’ 관계는 길들이기 나름!

  • 노만수 학림논술연구소 연구실장·서울디지털대 문창과 교수

    입력2007-06-07 16:54:00

  • 글자크기 설정 닫기
    “느 집엔 이거 없지?” 하고 생색 있는 큰소리를 하고는 제가 준 것을 남이 알면은 큰일날 테니 여기서 얼른 먹어버리란다. 그리고 또 하는 소리가,

    “너 봄감자가 맛있단다.”

    “난 감자 안 먹는다. 너나 먹어라.”

    나는 고개도 돌리지 않고 일하던 손으로 그 감자를 도로 어깨 너머로 쑥 밀어버렸다. 그랬더니 그래도 가는 기색이 없고, 뿐만 아니라 쌔근쌔근하고 심상치 않게 숨소리가 점점 거칠어진다. 이건 또 뭐야 싶어서 그때에야 비로소 돌아다보니 나는 참으로 놀랐다. 우리가 이 동네에 들어온 것은 근 3년째 되어오지만 여태껏 가무잡잡한 점순이의 얼굴이 이렇게까지 홍당무처럼 새빨개진 법이 없었다. 게다 눈에 독을 올리고 한참 나를 요렇게 쏘아보더니 나중에는 눈물까지 어리는 것이 아니냐. 그리고 바구니를 다시 집어들더니 이를 꼭 악물고는 엎어질 듯 자빠질 듯 논둑으로 횡하게 달아나는 것이다.

    -김유정, ‘동백꽃’ 연세대 2007년 정시



    ‘나와 너’ 관계는 길들이기 나름!

    1_뚱녀 한나가 전신성형을 통해 미녀로 거듭나는 코미디 영화 ‘미녀는 괴로워’<br>2_‘어린 왕자’ 삽화 중 하나. 왕자는 지구에서 새로 만난 장미들을 보며 자기 별에 두고 온 장미를 생각한다. 이런 회상의 장면에서 스카프는 왼쪽을 향한다.<br>3_소설가 김유정.<br> 4_시인 김춘수.<br>5_프란츠 카프카의 ‘변신’.

    김유정의 소설 ‘동백꽃’에서 ‘나’는 찐 감자를 몰래 가져다주는 점순이의 호의를 이해하지 못해 결국 점순이를 토라지게 한다. 이를 통해 타자의 마음(Other Mind)을 아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지를 느낄 수 있다. ‘나’와 점순이는 ‘여우와 어린 왕자처럼’ 왜 서로를 ‘길들이지’ 못하는 것일까. 개인적 체험과 문화, 집안 환경, 생물학적 성별, 세대 등 어떤 차이의 벽이 존재하기 때문일 것이다.

    “여우 : 난 너하고 놀 수가 없어. 길이 안 들었으니까./ 어린 왕자 : 길들인다는 게 무슨 말이니?

    여우 : 관계를 맺는다는 뜻이란다./ 어린 왕자 : 관계를 맺는다고?”

    - ‘어린 왕자’ 서울대 1997년 정시

    생텍쥐페리의 전언처럼, 태초에 타자와의 관계가 있어 역사는 흐른다. 어린 왕자도 소행성 B612에서 왔지만 다른 존재와의 만남을 거부하며 살 수는 없었다. 오히려 타자와의 만남은 사회가 복잡할수록 그 만남의 형식과 내용이 더 복잡할 것이기에 역설적으로 더더욱 잘 만나야 한다. 시골 점순이는 마을 총각만 만나면 되지만 오늘날의 서울 점순이는 학교 친구, 버스 안 ‘고딩’ 남학생, 편의점 판매원, 은행 직원, 거리의 장삼이사 등 만나야 할 사람이 부지기수다. 그런데 더 큰 문제는 친밀하고 가까운 사람끼리의 관계에서도 잘 안 풀리는 일이 다반사라는 게 인간의 오래된 골칫거리다.

    카프카 소설 ‘변신’의 주인공 그레고르는 생활비를 버는 가장이다. 하기 싫은 일이었지만 부모와 동생을 위해 묵묵히 보험외판 일을 해온 그는 어느 날 아침 한 마리의 흉측한 벌레로 변신한 자신을 발견한다. 그런데 그가 벌레로 변하자 가족들은 ‘돈 버는 기계(그레고르)’와의 ‘관계’를 청산하려고 그를 정말 ‘벌레’로 대한다. 이제는 아무 쓸모 없는 벌레 아들에게 아버지는 그가 죽기를 바라며 폭력을 쓰고, 살갑던 여동생은 오빠를 진짜 벌레처럼 천대한다. 엄마는 아예 벌레 아들을 쳐다보지도 않는다. 그럼 벌레로 변하기 전에도 그레고르는 가족에게 사람이 아니라 돈 버는 기계였을 뿐인가.

    “내가 그의 이름을 불러주기 전에는/ 그는 다만/ 하나의 몸짓에 지나지 않았다.// 내가 그의 이름을 불러주었을 때,/ 그는 나에게로 와서/ 꽃이 되었다.// 내가 그의 이름을 불러준 것처럼/ 나의 이 빛깔과 향기(香氣)에 알맞은/ 누가 나의 이름을 불러다오./ 그에게로 가서 나도/ 그의 꽃이 되고 싶다.// 우리들은 모두/ 무엇이 되고 싶다./ 너는 나에게 나는 너에게/ 잊혀지지 않는 하나의 눈짓이 되고 싶다.” -김춘수 ‘꽃’

    철학자 하이데거는 ‘언어는 존재의 집’이라고 했다. 김춘수의 시 ‘꽃’은 그레고르가 벌레이든 벌레가 아니든 가족의 한 구성원으로 불려야 그들에게 하나의 꽃으로 삶이 만개할 수 있다고 한다. 만약 우리가 가장이라는 이유로 ‘일하는 기계’가 되어 다람쥐 쳇바퀴 돌리듯 일상을 살다 어느 날 난데없이 벌레로 변신해, 피붙이에게서도 소외를 당한다면 얼마나 서글플까. 그러나 그레고르는 아버지가 던진 사과가 등껍질에 박혀 괴로워하면서도 아무도 원망하지 않는다. 단지 자신이 가족에게 피해를 주지 않을까 조심하고 불안해할 뿐이다. 남도 아닌 가족에게서 이런 버림을 받는 근본적인 이유는 무엇일까.

    소설 ‘변신’은 늘 일과 시간에 쫓겨야 하는 자본주의 사회의 비인간적 현실을 잘 보여준다. 벌레로의 변신을 힘든 현실에서의 비상구로, 아니면 현대사회의 획일화된 삶으로 인해 진짜 일벌레로 변신했다고 해석할 수 있다. 이렇게 카프카는 인간성 상실, 기계화, 물질 만능주의, 인간의 사물화, 물신화 등 현대사회의 문제점을 날카롭고도 충격적으로 꼬집는다.

    그의 또 다른 작품 ‘성’을 보자. 주인공 K는 베스트 백작의 성에 토지측량사로 초빙돼 현지에 도착한다. 마을 사람들은 그 사실을 알지 못한다. 뻔히 성이 눈에 보이는데도 아무리 걸어도 가까워지지 않는다. 그 마을 유지에게서 성에는 토지측량사가 할 일이 아무것도 없다는 말까지 듣는다. 이는 현대사회에서 인간성이나 인간관계가 무시되고 인간이 결국 사회를 이루는 하나의 부품으로 격하되는 현실을 잘 드러낸다. 카프카는 오늘날 우리가 사는 사회의 부조리를 타자와의 의사소통 부재에서 찾고 있는 것이다. 그럼 타자는 영원히 소통할 수 없는 존재일 뿐일까.

    “인간의 삶을 형성하는 데에는 두 가지 관계가 있다. 그 하나는 ‘나’와 ‘너’의 관계이고, 다른 하나는 ‘나’와 ‘그것’의 관계이다. ‘나-너’의 관계는 인간의 주체적인 체험이자 인격적인 만남, 주체 대 주체의 만남으로 이루어지고, ‘나-그것’의 관계는 객체적인 경험이자 지식적인 만남, 주체 대 객체의 만남으로 이루어진다고 할 수 있다. ‘그것’과 관계를 맺을 때, 즉 재산, 집, 그 사람, 국가 등 3인칭으로 표현될 수 있는 것과 관계를 맺는 주체는 ‘나’의 일부일 뿐이요 나는 전체는 아니다.” -마르틴 부버 ‘나와 너’, 서강대 2006년 정시

    생텍쥐페리의 우화 ‘어린 왕자’는 ‘태초에 관계가 있었다’고 하고, 신학자 마르틴 부버는 인간의 삶을 형성하는 뿌리(근원)는 두 가지 관계(근원어)로 뻗어난다고 한다. ‘나와 너(I-You)’와 ‘나와 그것(I-It)’이다. ‘나-너’는 나의 온 존재를 기울여 타자(너)를 만나는 인격의 세계다. 주체와 주체가 서로 평등하게 만난다. ‘나’는 ‘너’로 인해, ‘너’는 ‘나’로 인해 삶이 더 풍성해진다. 참된 만남이다. “네 장미꽃을 그렇게 소중하게 만든 것은 그 꽃을 위해 네가 쏟은 시간”이라는 여우와 어린 왕자의 깨달음 같은 서로를 길들이는 대화의 철학이다.

    “여우에 따르면, 서로를 길들인다는 것은 곧 ‘관계 맺음’인데 이것이야말로 서로를 진정으로 알게 하는 것이라는 것이다. 이러한 ‘관계 맺음’은 우리가 세계를 어떻게 인식하는가, 또는 우리가 세계와 어떤 관계를 맺는가 하는 것은 어떤 삶이 올바른 삶인가 하는 문제와 결코 무관하지 않다는 것이다.” -서울교대 2001년 정시

    하지만 ‘나-그것’의 관계에서 너는 3인칭인 그것(사물, 수단, 욕망의 대상)일 뿐이다. 타자는 비인격적이고 차등적 존재다. 영화 ‘모던 타임스’의 찰리 채플린처럼 다른 사람(자본가)의 수단(톱니바퀴)이거나 상품에 지나지 않는다. 어린 왕자도 처음엔 ‘나 홀로 별’에 살아서 관계 맺는 것, 누군가를 길들인다는 것을 몰랐다. 돈과 사회적 지위 등과 같은 조건이나 이해타산의 필요를 떠나 상대방에게 순수한 애정과 관심, 책임을 지는 ‘관계 그 타자의 윤리학’을 몰랐다. 그래서 존재감을 부여받지도, 존재감을 그 누구에게 줘본 적도 없다. 신이 돌리는 물레방아 같은 인생의 어느 시점에 문득 툭 내던져버린 ‘외로운 섬’들과 부딪히고 자신도 그 섬에 지나지 않았다.

    현대인들 또한 여우를 만나기 전의 어린 왕자와 같지 않을까. 문명이라는 이름으로 물질적으로는 날로 풍요로워지지만 타자와의 만남으로 인해 우리 삶이 정말 살 만한 날들로 이어지고 있을까. 예컨대 영화 ‘미녀는 괴로워’를 보자. 예쁜 외모를 권하는 ‘대한민국 성형공화국’에서 전신성형에 성공한 주인공의 육체는 ‘이상적인 자기’이지만, 삶과 정신은 ‘진짜 자기’가 아니라 ‘가짜 자기’일 뿐이다. 성형 전 외모(사람의 일부)나 성형 후의 외모(가짜 자기)를 기준으로 인간의 가치를 등급화하고 사람에게 자기부정의 딜레마를 안기는 사회는 ‘나-너’의 관계보다 ‘나-그것’의 관계, 나는 너의 ‘뚱뚱한 욕망의 벌레’나 마찬가지일 수도 있는 것이다.

    - 추천도서 : ‘변신’(프란츠 카프카, 전영애 역, 민음사)



    댓글 0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