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동아 1010

..

노처녀, 그 우아한 몸부림에 대해

암수 따로 시금치꽃

  • 김광화 농부작가 flowingsky@hanmail.net

    입력2015-10-26 14:06:00

  • 글자크기 설정 닫기
    노처녀, 그 우아한 몸부림에 대해

    추위에 강한 시금치.

    달달하니 맛난 시금치. 추운 겨울을 나면서 더 깊은 맛이 든다. 이 시금치에 암수가 따로 있다는 걸 아시는지. 우리 부부는 이를 아는 데 꽤 오랜 세월이 걸렸다. 시금치는 씨앗 형태에 따라 보통 두 가지로 나뉜다. 서양종인 공모양과 동양종인 뿔모양으로. 우리는 뿔모양 시금치를 구한 다음, 해마다 씨를 받아왔다. 이 씨는 보통 날카로운 게 아니다. 무협지에 나오는 표창보다 더 날카롭다. 조금만 잘못 만지면 바로 살로 파고든다. 그런데 아무래도 이상하다. 씨앗을 받다 보면 쭉정이가 적잖은 것이다. 이렇게 해마다 반복되는 의문을 품고 사진을 찍다 어떤 실마리를 잡았다. 묘하게 흥분된다.

    “여보, 여보! 시금치는 꽃이 두 가지야!”

    암수가 따로따로

    전혀 생각지도 못했던 일이라 우리는 부랴부랴 도감을 뒤지고 채소학 책을 다시 읽으며 공부했다. 그랬더니 시금치는 암꽃과 수꽃이 각각 다른 그루에 있고, 그 비율은 반반이란다. 그것도 모른 채 참 오래 길러왔고, 먹어왔으며, 씨앗을 받아왔다. 그러니까 내가 쭉정이라고 여긴 것은 수그루. 씨앗은 당연히 암그루에만 맺는다.

    시금치꽃은 풍매화라 우리 눈에 거의 띄지 않는다. 암꽃은 실 같은 암술대 몇 가닥이 전부요, 수꽃은 제 나름 고운 빛깔을 가졌지만 꽃이 워낙 작아 그냥 지나치기 쉽다. 꽃 처지에서 보자면 그저 바람에 꽃가루를 잘 날리고, 잘 받으면 그만이다.



    노처녀, 그 우아한 몸부림에 대해

    6월 3일 같은 날, 아직 싱그럽게 수정을 기다리는 노처녀 시금치와 다 영근 시금치. 암 시금치와 수 시금치(왼쪽부터).

    그런데 이게 끝이 아니다. 한번은 옥수수밭에 시금치 한 포기가 저절로 자라기 시작했다. 허허, 그놈 참 어디서 굴러와 저 알아서 싹을 내다니! 감탄을 하며 뽑지 않고 그냥 뒀다. 시금치는 암수가 따로 있다지만 꽃이 피기 전에는 그 구별이 쉽지 않다. 옥수수밭 시금치는 혼자서도 우쭐우쭐 자라 드디어 5월 초 꽃을 피웠다. 보니 암꽃이라, 암그루다. 그 상태에서 한 달 정도를 지켜봤다. 다른 시금치 암꽃은 꽃가루받이를 끝내고 시들어가는데 이 외딴 시금치는 암술이 처음보다 더 선명한 거 같고, 암술대도 조금 더 길어진 거 같다.

    보통 5월 말이면 시금치 수꽃은 대부분 지고, 조금씩 단풍이 든다. 암 시금치 역시 씨앗들이 씨방 속에서 잘 영글어, 머지않아 거둘 때가 다가온다. 하지만 외딴 시금치는 여전히 잎과 줄기가 싱그럽고, 암술 역시 꽃가루받이를 기다리는 태가 확연하다. 지치지도 않고 아침마다 단장을 하고 임을 기다리는 듯….

    그 모습이 짠해 마음 같아서는 나라도 수꽃을 가져다 수정을 해주고 싶을 정도다. 하지만 이때쯤 둘레 수꽃들은 거의 말라버린 상태. 수그루는 꽃가루를 날리고 나면 더는 살 이유가 없다. 가능하다면 일찍 목숨을 끝내는 게 씨앗이 영그는 데 도움이 된다. 암그루와 경쟁하지 않고 오히려 씨앗들한테 제 몸을 거름으로 던져주는 것이다.

    수정을 못 하고 하루하루 늙어가는 처녀 시금치. 참 곱기만 하다. 6월 초, 무리 속에서 제때 꽃을 피운 시금치는 씨앗이 다 영글었다. 그렇다면 외딴 시금치는 어떨까. 싱그러움을 그대로 간직한 처녀 시금치여! 하얀 암술을 꼿꼿이 하고서 여전히 임을 기다리고 있다. 꽃이 핀 지 얼추 한 달도 더 지났다.

    오지 않는 임을 기다리며

    그래서 좀 자세히 들여다봤다. 그사이 일부가 수정돼 씨방이 제법 통통하니 굵다. 그런데 그 곁에 여전히 하얀 암술 수십 개가 보인다. 이건 여전히 수정이 안 됐다. 이 시금치가 믿는 건 우리가 씨앗을 받기 위해 남겨둔, 집 둘레 시금치 수십 포기가 전부다. 외딴 시금치와는 100여m나 떨어진 상태. 수꽃 꽃가루가 바람 따라 이리저리 날리다 그 가운데 몇 개나마 운 좋게 이 외딴 시금치에 닿은 것이다. 나머지는 처녀로 늙어 죽게 된다.

    작물을 제대로 돌본다는 게 참 어렵다. 어쩌면 자식 키우는 일보다 더 어려운 거 같다. 작물은 사람과 달리 말조차 없으니 말이다. 외딴 시금치를 통해 사랑, 그 근원을 조금이나마 엿본 거 같다.

    노처녀, 그 우아한 몸부림에 대해

    두 종류의 시금치 씨앗, 공모양(왼쪽)과 뿔모양.

    시금치 : 쌍떡잎식물 명아줏과로 한해 또는 두해살이풀. 아프가니스탄 주변 중앙아시아가 원산지다. 씨앗 형태에 따라 공모양 시금치와 뿔모양 시금치로 나뉜다. 뿔모양 시금치는 특히 추위에 강해 가을이나 겨울재배를 많이 한다. 시금치는 씨를 뿌리면 가늘고 긴 쌍떡잎이 나오고, 거기서 90도 각도로 뿌리에서 본잎이 나온다.

    뿔모양 시금치는 로제트 상태로 겨울을 나고, 봄이 와 해가 길어지기 시작하면 한가운데서 줄기가 올라온다. 줄기가 성인 허벅지 높이까지 자라며 4월 말부터 5월에 걸쳐 꽃을 피운다. 식용식물 가운데 특이하게 암수딴그루며 풍매화. 암꽃은 잎겨드랑이에 3~5개씩 모여 핀다. 수꽃은 줄기가 자람에 따라 이삭꽃차례나 둥근뿔꽃차례로 달리며 아래서부터 위로 시나브로 피고 진다. 수꽃에는 수술이 4개 있고 꽃밥은 노란빛이다. 꽃말은 ‘활력’.



    • 많이 본 기사
    • 최신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