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동아 575

2007.03.06

투수 볼 컨트롤과 논술의 유사성

  • 강상식 학림논술연구소장

    입력2007-03-05 11:56:00

  • 글자크기 설정 닫기
    투수에게 강속구는 가장 좋은 무기 중 하나다. 아무도 칠 수 없을 정도로 빠른 공을 던진다면 그는 하나의 구질만으로 위대한 투수로 인정받을 수 있다. 하지만 시속은 160km를 넘지만 던지는 공이 모두 스트라이크존을 벗어난다면? 아마도 그는 공만 빠른 선수라는 평가를 받게 될 것이다. 그리고 그 빠른 공이 타자의 몸을 향해 날아간다면? 빠른 공을 던지는 능력은 은혜가 아니라 차라리 재앙이 된다. 타자를 향해 날아간 공은 타자에게 치명적인 부상을 입히고, 그의 선수생명을 마감하게 만들 수도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투수에게 주어진 임무의 첫 번째는 스트라이크존 안에 공을 던지는 것이다.

    하지만 모든 공을 스트라이크존에 던질 수 있다 하더라도 결코 좋은 투수라고 말할 수는 없다. 스트라이크존에 맞춰 투구하는 데 집중하느라 공의 속도를 크게 줄이고 누가 봐도 스트라이크라고 판단할 수 있도록 공을 중앙으로 던지면 안타나 홈런을 맞게 되기 때문이다.

    컨디션 난조를 겪는 강속구의 투수들이 볼카운트를 유리하게 만들기 위해 중앙으로 공을 던졌다가 홈런을 맞고 씁쓸하게 마운드를 내려오는 모습을 보았을 것이다. 타자가 손도 댈 수 없을 정도로 빠르게 공을 던지면 타자가 손댈 수 없을 만큼 공이 스트라이크존을 벗어나고, 스트라이크존에 공을 던지면 안타와 홈런을 맞게 된다. 이런 상태에서 투수가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한 채 폭투와 피안타, 피홈런을 조화롭게(?) 기록하며 더그아웃으로 돌아가게 될 것이다.

    이 같은 투수의 상황과 논술을 작성하는 상황을 한번 오버랩하여 비교해보자. 오버랩이 무슨 말이냐고? 오버랩이란 앞의 장면과 뒤의 장면을 겹쳐서 장면을 전환시키는 영화 기법이다. 우리말로 하면 ‘겹쳐 보기’ 정도가 될 것이다. 자신의 배경지식, 유려하고 아름다운 문장을 활용해 논술답안을 작성했는데 논제의 요구사항을 완전히 벗어난다면 그 답안지는 아예 채점 대상이 될 수 없다. 물론 대학 채점위원은 그런 답안을 매우 좋아할 것이다. 채점시간을 크게 줄여주기 때문이다.

    구석을 찌르는 정확성과 강약 조절 논술도 마찬가지



    그렇다고 논제를 분석하고 원고지 맞춤법, 한글 맞춤법을 준수해 답안을 작성하더라도 누구나 쓸 수 있는 답안을 작성한다면 다른 학생들과 똑같은 점수를 받게 될 것이다. 중앙으로 몰려가는 공처럼 학생들의 의견이 몰려 있는 방향으로 답안을 작성하면 ‘천편일률적 답안’이라는 평가를 받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결국 우리는 대학입시라는 경기에서 패배를 맛보게 될 것이다. 이 얼마나 씁쓸한 운명인가.

    하지만 여기서 벗어날 방법은 있다. 그 방법대로만 한다면 논술답안을 ‘제대로’ 작성할 수 있다. 그 방법이 뭐냐고? 위대한 투수들이 어떻게 하는지를 생각해보라. 그러면 답을 찾을 수 있지 않을까? 스트라이크존 안으로 공을 던지면서도 다른 투수들은 거의 던지지 않는 곳으로 던지면 된다.

    이렇게 공을 던지면 타자는 눈앞의 공을 뻔히 쳐다만 보고 멍한 표정을 지으면서 스트라이크를 당하게 된다. 논제를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다른 학생들이 쓰지 못하는 답안을 쓸 수 있는 능력. 논제를 충족시키면서 창의성이 넘쳐나는 답안이 바로 그 해답이다.



    댓글 0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