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동아 568

2007.01.09

칠면조 사면과 소 사면

  • 이도희 경기 송탄여고 국어교사·얼쑤 논술구술연구소 http://cafe.daum.net/hurrah2

    입력2007-01-08 13:18:00

  • 글자크기 설정 닫기
    칠면조 사면과 소 사면
    우리 민족의 대표적 명절로 추석과 설이 있다. 명절에는 많은 사람들이 설레는 마음을 안고 고향을 찾는다. 또한 명절날의 민속놀이는 아름다운 풍속으로 각인된다. 아직까지는 그렇다. 그러나 앞으로 100년이 지나도 추석과 설이 지금과 같은 명절로 남아 있을까? 학생들에게 질문을 던져봤다. 대부분 학생들의 대답은 ‘명절은 시대의 조류에 따라 사라질 것’이라는 것이었다. 시대의 빠른 변화를 볼 때 수긍이 가는 답변이다. 이어서 학생들에게 해결책도 물어봤다. ‘정부와 국민이 명절의 의미를 되새겨 존속하도록 노력해야 한다’는 식이 대부분이었다. 물론 틀린 답은 아니다. 너무 상식적인 답이기에 논술에서 평가자의 눈을 사로잡지 못할 뿐이다.

    논술을 공부하는 학생들은 상식적인 답안 작성에서 벗어나려고 노력할 필요가 있다. 논술 평가자는 구체적인 해결 방안을 요구한다. 즉, 학생 자신만의 관점에서 형성된 창의적인 생각을 원한다. 다음 글을 보자.

    미국의 추수감사절은 메이플라워호를 타고 신대륙에 도착한 청교도들이 첫 수확에 대해 신에게 감사를 드린 데서 유래한다. 추석 때 한국인이 가족과 만나기 위해 고향으로 떠나는 것과 마찬가지로 미국인도 추수감사절에 가족과 모이기 위해 대이동을 한다. 이날을 ‘터키(칠면조) 데이’라고도 하는데 청교도들이 경작법을 가르쳐준 인디언을 초대해 야생 칠면조를 나눠 먹었기 때문이다. 1864년 링컨 대통령이 11월 넷째 주를 추수감사 주일로 정한 이래 미국인들은 매년 이때 가족과 모여 청교도들이 즐겼다는 칠면조를 크랜베리 소스와 곁들여 먹는다.

    재미있는 것은 추수감사절에는 대통령이 직접 칠면조 한 마리를 ‘사면’해준다는 것. 추수감사절마다 빠짐없이 미국인 식탁에 오르는 칠면조이지만 사면되는 칠면조는 평생을 편하게 살 수 있게 된다. 22일에도 미국 조지 부시 대통령이 칠면조 ‘프라이어(fryer)’와 ‘플라이어(flyer)’에 대한 사면행사를 가졌다. 이 같은 대통령의 사면 행사는 추수감사절을 하루 앞둔 이날, 이들만큼은 특별히 ‘천수’를 누릴 수 있도록 보호해 ‘대량 희생’이 불가피한 칠면조들을 상징적으로 기리는 행사다.

    미국 대통령은 ‘사면’을 통해 많은 칠면조의 희생을 한 마리의 칠면조로 모두 살리는 지혜를 발휘한다는 것이다. 이는 미국 대통령이 추수감사절이라는 국가적 행사의 전면에 나서 축제 분위기를 더욱 살리는 구실을 한다. 추수감사절을 영원히 존속하는 미국의 위대한 문화로 자리잡게 하는 기능도 있다.



    우리도 명절에 미국의 추수감사절과 같이 대통령이 나서서 ‘소’ 등을 한 마리씩 선정해 사면을 베푸는 의식을 공개적으로 치르면 어떨까? ‘소 사면’ 행사는 우리 민족에게 문화적 상징을 부여할 것이다. 또한 외신을 타고 세계적으로 방송돼 외국인들에게 한민족의 명절의 의미를 각인시킬 것이다. 소 한 마리를 살림으로써 명절에 희생되는 많은 소를 정신적으로 살린다는 생명 존중의 의미도 덧붙여질 것이다.

    혹자는 우리 명절에 ‘소 사면’은 미국 추수감사절의 ‘칠면조 사면’을 그대로 모방한 것이 아닌가라는 반론도 할 수 있다. 그러나 민족의 전통은 100% 고유한 것이 없다. 전통은 시대 변화에 따라 변화하는 것이고, 그 과정에 외국의 전통이 들어와 융화되는 것이다. 역사학자 이기백은 “그 비판을 통해서 현재의 문화 창조에 이바지할 수 있다고 생각되는 것만을 우리는 전통이라고 불러야 할 것이다. …민족문화의 전통을 계승하자는 것이 국수주의나 배타주의가 될 수는 없다. 오히려 왕성한 창조적 정신은 선진문화 섭취에 인색하지 않을 것이다. …외래문화도 새로운 문화의 창조에 이바지함으로써 뜻이 있는 것이고, 그러함으로써 비로소 민족문화의 전통을 더욱 빛낼 수 있는 것이다”라고 했다. 결국 우리 명절의 고유 의미를 바탕으로 미국의 ‘칠면조 사면’ 같은 외국 전통을 수용하면 더 큰 우리 민족 명절로의 창조가 가능할 것이다.

    논술시험에서 ‘민족 명절의 존속 방안’으로 ‘우리나라 대통령이 명절을 하루 앞둔 날에 소 사면 행사를 갖자’고 답안을 작성했다면 어떨까? 추상적인 인식의 차원에서 벗어난 창의적인 답안이 될 것이다. 창의적인 논술 답안이란 유명한 철학자를 거명하는 등 대단한 차원의 글이 아니다. 논술 수험생이 일상의 직접경험과 독서나 신문을 통한 간접경험의 사례를 들어 논증하고 주장하면 된다. 단, 사례가 참신하고 창의적이어야 한다. 이제 학생들도 신문, 시사주간지 등을 통해 논술의 내용으로 제시할 ‘나만의 사례’를 적극적으로 발굴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댓글 0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