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동아 655

..

부시맨 콜라병과 인간의 이기적 유전자

  • 이명재 자유기고가

    입력2008-10-01 11:20:00

  • 글자크기 설정 닫기
    비정, 냉혹한 세상을 일컬을 때 흔히 ‘정글’에 빗댄다. 정글이라는 말에는 동물세계의 약육강식, 생존경쟁이 함축돼 있다.

    그러나 동물의 왕국은 과연 자기 생존 논리만이 지배하는 비정한 곳일까. 얼마 전 죽어가고 있는 참돌고래를 다른 참돌고래들이 수면 위로 밀어올려 숨을 쉴 수 있도록 하는 장면이 공개돼서 화제가 됐다. 세간에서는 이를 두고 동물세계에서 ‘인간적인’ 모습을 발견한 듯 신기해했지만, 사실 그건 돌고래들만의 진귀한 습성이 아니다. 다른 많은 동물에게서도 볼 수 있는 동물세계의 또 다른 얼굴이다.

    깨지기 쉬운 순진무구한 인간 본성 보여줘

    리처드 도킨스의 저서 ‘이기적 유전자’가 내린 결론은 모든 생물의 본성이 이기적이라는 것일까? 그렇다. 동물은 타고난 유전자가 이기적인 이익을 볼 때만 행동한다고 한다. 그러나 이 책은 동시에 그와 반대되는 얘기를 한다.

    “동물은 자신을 희생해서라도 자손을 남기려 하고 그런 동기에서 이타적인 행동을 기꺼이 한다.”



    언뜻 모순적으로 들리지만 이기심 혹은 ‘자기’를 자신을 넘어서 공동체로 넓히면 설명이 가능해진다. 자신의 자손을 남기려는 이기적인 성질이 결국 공동체를 위한 희생을 낳는다는 것이다.

    공동체가 멸망하면 자기도 몰락한다는 것을 알고 있다는 얘기다.

    그렇다면 사람의 악행이나 잘못을 ‘동물보다 못하다’고 욕하는 것에 대해서도 다시 생각해봐야 할 듯하다. 때로는 거꾸로 뒤집어서 ‘인간보다 못한’이라는 말을 써야 공정하지 않겠냐는 것이다.

    인간의 유전자는 원래 이기적일까, 아니면 이타적일까. 인류학자들은 이런 의문을 풀기 위해 원시적 생활양식을 유지하고 있는 소수 부족들의 행태를 연구한다. 아프리카 칼라하리 사막의 쿵족이 영화 ‘부시맨’의 주인공이 된 데는 인류학자들의 그 같은 관심의 대상이었던 것이 계기가 됐다. 쿵족, 즉 부시맨들과 생활한 적이 있는 인류학자 리처드 리는 부시맨에게서 순진무구한 인간성을 발견한다. 예컨대 부시맨은 몸집이 작고 동작이 굼뜬 사슴이나 토끼 같은 동물은 절대로 사냥하지 않는다고 한다. 노인들에게도 사냥할 기회를 주기 위해서란다. 리처드 리는 자본주의의 무한경쟁 원리가 인간의 본성처럼 얘기되는 데 살아 있는 반대 논거를 부시맨을 통해 제시했다.

    이 부시맨의 공동체 정신은 그러나 견고하지 않다. 하늘에서 떨어진 빈 콜라병 하나가 불러일으킨 소동은 부시맨들이 지켜온 착한 본성이 얼마나 부서지기 쉬운 것인지를 보여준다.

    크리스 하먼은 ‘민중의 세계사’라는 책에서 인간 본성이 탐욕스럽고 경쟁적이며 공격적이라는 주장을 반박한다.

    “전쟁, 착취, 노예제, 여성 억압 같은 끔찍한 일들이 생기는 것도 어쩔 수 없이 인간 본성 때문이라고 한다. 그러나 ‘인간 본성’은 역사 발전의 산물이지 그 원인이 아니다.”

    요즘 우리 사회에서는 무한경쟁, ‘정글’의 논리가 자연스러운 것으로 받아들여진다. 인간은 원래 이기적이라는 전제가 신탁의 원리처럼 숭배된다. 전적으로 허구는 아닐 것이다. 그러나 완벽한 진실 또한 아니다. 그걸 모른다면 우리 사회는 반쪽일 수밖에 없다.



    영화의 창

    댓글 0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