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동아 615

..

치고받는 이혼녀 변신 인형공주의 연기 재발견

  • 하재봉 영화평론가

    입력2007-12-12 15:41:00

  • 글자크기 설정 닫기
    치고받는 이혼녀 변신 인형공주의 연기 재발견
    여배우라고 해서 무조건 예뻐야 하는 것은 아니다. 영화나 드라마는 공주가 있는 유리의 성을 들여다보는 만화경이 아니라, 저잣거리의 지난한 삶을 진솔하게 풀어낸 또 하나의 현실이기 때문이다. 그런데도 사람들은 여배우에게서 미의 원형을 찾으려는 경우가 많다. 예뻐서 나쁠 것은 없다. 그러나 얼굴이 예쁘고 몸매가 좋다는 게 여배우의 필수조건이 될 이유는 없다.

    솔직히 말하면 난 아직도 왜 사람들이 김태희를 예쁘다고 하는지 이해하지 못한다. 내 눈으로 보자면, 김태희는 매우 평범한 얼굴이다. 사람들이 흔히 말하는 그녀의 청순미나 단아함은 이미 수많은 여배우들에게서 보아온 낯익은 모습이 아닌가? 사실 김태희는 포스트모던 보이와 걸들이 넘쳐나는 시대에 도시 감각의 화려함에서 약간 비껴나 있다는 게 행운이었다.

    ‘중천’은 김태희의 첫 스크린 도전작이지만 흥행에 실패했고, 연기력 면에서도 낙제점을 받았다. 눈물의 여왕답게 우는 연기가 많았지만 그 모습은 한결같았다. 연기에서 내면적 고뇌를 찾기란 어려웠다. CF나 드라마에서는 통하는 김태희의 연기가 왜 스크린에서는 단점만 부각됐을까? 거대한 화면에 클로즈업된 얼굴에서 관객들은 배우의 솜털과 잔주름까지 선명하게 볼 수 있다. 속임수가 통하지 않는 것이다. 오직 진정한 연기력만이 관객과의 경계를 허물고 감동적인 울림을 만들 수 있다.

    ‘중천’ 이후 와신상담, 1년 동안 김태희가 준비한 것은 연기력 논란을 잠재울 수 있는 새로운 김태희였다. 다음 작품에서 그녀가 맡은 캐릭터는 일단 기존 배역들과 차별화돼야 했다. 청순한 이미지에서 벗어나 과감하고 도전적인 이미지를 만들 수 있으면 더 좋았다. 이런 조건을 만족시킨 작품이 ‘싸움’이다. 한지승 감독은 ‘남녀 사이에서는 싸움도 사랑의 한 표현이 아닐까’라고 생각하고 이 영화를 만들었다고 한다. 맞는 말이다. 싸우면서 정든다는 말이 있듯, 애정이 없으면 굳이 싸울 일도 없다.

    쇠파이프 들고 몸 날리는 과격 액션도 소화



    “완성된 영화를 보면서 혼자 얼굴이 빨개졌다. 초반에 찍은 장면 중에서 내 부족한 모습들이 눈에 들어왔기 때문이다.”

    ‘싸움’에서 김태희는 상대역인 설경구와 이혼한 부부로 나온다. 구경 중에서 가장 재미난 게 부부싸움 구경이라지만, 이 영화는 이혼한 뒤에도 싸우는 부부 이야기다. 영화 도입부에서 그들은 성격 차이를 극복하지 못하고 이혼한다. 대학의 곤충학 강사 상민(설경구 분)과 유리공예가 진아(김태희 분)는 이혼 후에도 이런저런 핑계로 서로에게 연락한다. 그것은 증오의 연장선 같지만, 증오 또한 사랑의 한 표현이다.

    여자는 남자에게 미안하다는 사과의 말을 하라고 다그친다. 남자는 마음속으론 수없이 미안하다 말하고 화해하고 싶지만 여자의 화난 얼굴을 보자 자기도 모르게 소리친다. 사소한 말다툼에서 시작된 부부싸움은 쇠파이프로 내려치고 자동차로 상대의 차를 들이받으며 질주하는, 살해할 정도의 위협적 상황으로 치닫는다.

    “관객들이 ‘싸움’에서 그동안 보지 못했던 내 다양한 모습을 볼 수 있었으면 좋겠다. 촬영하는 동안 내가 느끼는 감정을 자연스럽게 표현할 수 있어 편했다. 드라마 등에서 맡았던 비현실적 상황이나 캐릭터에 비해 ‘싸움’은 살아오면서 겪었던 익숙한 상황일 수도 있기에 감정 표현이 훨씬 자연스럽게 되지 않았나 생각한다.”

    확실히 김태희는 변했다. ‘싸움’에서 그녀는 멍든 얼굴로 울부짖으며 소리치고, 쇠파이프를 들고 몸을 날려 상대를 가격하는 과격한 액션까지 보여준다. 마치 옛날의 김태희는 잊어라, 이제 더는 인형공주가 아니다, 이렇게 소리치는 것 같다.

    치고받는 이혼녀 변신 인형공주의 연기 재발견
    ‘싸움’에 설경구 김태희가 캐스팅됐다는 소식을 들은 많은 사람들은 과연 두 배우가 어울리는가 하는 생각에 고개를 갸웃거렸다. 김태희(1980년생)와 설경구(1968년)의 나이 차이가 10년 이상 나는 것도 그렇지만, 두 사람이 그동안 쌓아온 이미지와는 그만큼 거리가 있었다. 이창동 감독의 ‘박하사탕’ ‘오아시스’나 ‘열혈남아’ 같은 작가주의 계열의 작품에서 걸출한 연기를 보여준 설경구와 ‘CF의 여왕’으로 불릴 만큼 대중에게 친숙한 이미지로 많은 상업 작품에 출연해온 김태희가 같은 스크린에서 만난다는 것이 쉽게 이해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영화 ‘싸움’이 시작된 지 채 10분이 지나지 않아 그런 걱정은 기우였다는 것을 느낄 수 있다. 김태희는 지금까지 맡은 어떤 배역보다도 현실감 있는 연기로 관객에게 다가간다.

    한지승 감독은 “김태희는 생각보다 표현력이 풍부하다. 과격한 면도 있다. 촬영하면서 김태희를 캐스팅한 걸 한 번도 후회한 적이 없다. 김태희를 만나지 않았다면 이 영화의 장점이 과연 표현됐을지 의문이 들 정도다. 감독으로선 행운이라고까지 느낀 캐스팅이었다”고 했다.

    물론 아직 갈 길은 멀다. ‘중천’에서의 천편일률적인 표정 연기는 많이 극복됐지만, 진정한 연기자라고 하기에는 내면의 표현이 미흡하다. 다만 제작팀 회식 자리에서 설경구가 “ ‘싸움’은 김태희 망가지기 프로젝트다”라고 말한 것처럼 ‘싸움’에서는 그동안 우리가 알던 김태희의 다른 모습을 많이 볼 수 있다. 두 뺨으로 주룩주룩 흘러내린 아이섀도의 검은 눈물자국은 그래도 애교스럽다. 악다구니 치듯 소리지르고, 쇠파이프를 휘두르며 비 내리는 진흙탕 위에서 뒹굴고, 불탄 집에서 검게 그을은 연기로 망연자실하고, 멍든 얼굴로 사생결단하듯 남자에게 달려드는 김태희의 모습은 지금까지 그녀를 청순함과 단아함의 대명사로 생각했던 사람들에게 충격을 주기에 충분하다. 그러나 여배우들이 통과의례처럼 거쳐가는 망가지는 캐릭터 때문에 김태희가 ‘싸움’을 선택했다는 증거는 어디에도 없다.

    망가질 대로 망가진 희로애락 연기 ‘볼만’

    “망가지는 것에 대한 의식은 하지 않았다. 시나리오가 재미있었고, 내가 맡은 배역인 진아에게 몰입해 촬영했다. 완성된 영화를 먼저 본 기술 스태프들이 예쁘지 않게 나오더라도 실망하지 말라고 말했지만, 감독님이 여주인공을 비호감으로 만들 거라고는 생각지 않았기에 걱정하지 않았다.”

    ‘싸움’을 마케팅 면에서 보면, 한국 영화의 관객이 20대에서 벗어나고 있다는 한 증거가 될 수 있다. 그동안 ‘베사메무초’처럼 부부간 갈등을 소재로 한 영화들은 흥행에서 크게 빛을 보지 못했다. 만약 ‘싸움’이 좋은 반응을 얻는다면, 그것은 한국 영화의 주수요층이 20대 초중반에서 중후반으로 확대되고 있으며 30대를 겨냥한 영화도 가능성이 있음을 보여주는 사례가 될 것이다.

    마이클 더글러스와 캐서린 터너가 부부로 등장해 서로를 죽이는 부부싸움을 다룬 영화 ‘장미의 전쟁’처럼 ‘싸움’도 부부싸움 구경이라는 관음증적 욕망을 스크린으로 확대 공개한 작품이지만, 결말은 할리우드와 사뭇 다르다. 서로를 죽일 듯 극한으로 치닫다가 감성적 부분으로 귀환하는 한국적 정서를 감독은 선택했다. 물론 의외의 반전도 기다리고 있다.



    댓글 0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