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동아 390

..

유학생 반기는 곳 없다

문턱 높인 미국 학교 입학조건 강화 … 불경기로 미국 학생 지원자 급증 결정적 원인

  • 전원경 기자 winnie@donga.com

    입력2003-06-18 15:30:00

  • 글자크기 설정 닫기
    유학생 반기는 곳 없다

    서울 강남역 인근에 밀집해 있는 유학원 전경

    올5월, 강남 K유학원 원장 최모씨는 전혀 예상치 못했던 소식을 들었다. 2년 전 미국 위스콘신주의 한 4년제 대학으로 유학을 떠났던 박모양(21)이 “미국에서 추방당하게 생겼다”며 다급히 이메일을 보내온 것이다. 박양이 지난해 2학기에 풀타임 스튜던트(Full-Time Student)가 채워야 하는 12학점을 다 이수하지 못하자 미 이민 당국이 ‘정식 학생 신분을 유지하지 못했다’는 이유로 박양의 학생비자(F-1)를 취소해버린 것. 결국 박양은 6월중 한국으로 귀국할 예정이다.

    “그동안 유학원을 운영해오면서 이런 일은 한 번도 없었습니다. 학생비자를 받아가기만 하면 미국 현지에서 어떻게 지내는지 이민국이 신경 쓰지 않았으니까요. 9·11 테러 이후로 점차 미국의 이민법이 강화되고 있다는 사실을 실감했어요.” 최원장의 말이다. 유학원 관계자들 역시 “박양처럼 일단 추방을 당하게 되면 미국 비자를 다시 받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다.

    이 해프닝은 미국으로 유학 또는 연수를 떠나는 한국인들의 상황이 점차 나빠지고 있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하나의 사례에 지나지 않는다. 실제로 대학 학부 이상의 과정을 이수하기 위해 미국에 체류중인 한국 유학생 수는 2001년 8월 5만8457명에서 2002년 말 4만9046명으로 1만명 가까이 줄어들었다.

    하반기부터 개강 30일 이전 입국 금지

    유학생 반기는 곳 없다

    유학 상담을 하고 있는 모습

    미국 유학생 숫자가 이렇게 줄어든 데는 한국의 경기침체, 9·11 테러와 이라크전 등 여러 가지 배경이 깔려 있다. 그러나 분명한 것은 한국 학생들에게 미국 학교의 문턱이 점차 높아지고 있다는 사실이다. 미국 내 한인 밀집지역인 뉴저지에 있는 이민·유학 컨설팅회사인 이민비자닷컴 정병옥 대표는 “9·11 테러 이후 1년간은 유학생 등 입국자에 대한 규제가 심하지 않았지만 1년을 기점으로 각종 규제 조치들이 잇따라 발표되면서 입국 조건이 점점 까다로워지고 있다”고 전했다.



    9·11 테러를 계기로 창설된 미 국토안보부는 올해 하반기부터 미국으로 들어오는 해외 유학생들이 개강 30일 이전에 입국하는 것을 금지했다. 그전까지는 개강 3개월 전부터 유학생들이 입국해 입학 준비에 들어갈 수 있었다. 또 학기나 학위 취득을 끝낸 유학생들은 60일 이내에 출국해야 한다. 이 발표가 나온 이후로 불안감을 느낀 유학생들이 방학이 되었는데도 귀국을 망설이는 사례도 있다. 뉴저지주 이민법 전문 변호사인 최형준 변호사는 “6월 말 방학을 앞두고 귀국했다가 다시 들어올 수 있는지를 묻는 한국 유학생들의 문의가 줄을 잇고 있다”고 말했다.

    유학전문가들은 어학연수의 경우, 미국이 아니라 캐나다로 떠나는 것이 대세라고 말한다. 강남CS유학원 김대육 원장은 “이미 미국은 어학연수 국가로서의 매력을 잃었다”고 단언했다. 김원장의 말에 따르면, 9·11 테러와 이라크전으로 미국이 위험한 나라라는 인식이 생기면서 어학연수를 가는 젊은층과 부모가 모두 미국을 꺼리기 시작했다는 것. 대신 학비와 생활비가 미국의 3분의 2 정도 수준인 캐나다가 대안으로 떠올랐다.

    어학연수생들이 미국을 기피하고 있다면, 대학원 과정의 유학생들은 오히려 미국으로부터 ‘기피당하고’ 있다. 인터넷 포털사이트의 유학준비 커뮤니티에서는 ‘예전 같으면 충분히 합격할 수 있는 시험점수를 받았는데도 미국 대학 어디서도 합격통지서를 받지 못했다’는 사연을 어렵지 않게 찾을 수 있다.

    미국 법과대학원(로스쿨) 유학을 준비했던 서현수씨는 LSAT(미 법과대학원 수능시험)에서 160점 정도의 성적을 거두고도 지원했던 20여 군데의 로스쿨에 모두 떨어졌다. “명문대만 지원한 게 아니고 30∼40위 정도의 중위권 학교에도 고르게 지원했는데 모두 떨어져 충격이 컸습니다. 회사까지 그만두고 1년 동안 로스쿨 입시에 매달려왔는데 참 막막해요.” 서씨는 요즘 유행하는 ‘유학재수’를 할 것인지, 아니면 다시 회사로 돌아가야 할 것인지 심각하게 고민하고 있다.

    유학생 반기는 곳 없다

    유학박람회장을 찾은 사람들의 모습.

    대기업 대리인 김형준씨 역시 2년간 MBA 과정을 준비하다 결국 실패하고 회사로 돌아온 경우. 명문대 경영학과를 졸업하고 대기업에서 5년간 일한 김씨는 GMAT(미 경영대학원 수능시험)에서 670점을 받고 20군데가 넘는 미국 MBA 과정에 지원했지만 한 군데를 제외하고는 모두 떨어지고 말았다.

    “지원했던 학교들은 한결같이 에세이와 직장 경력이 부족했다고만 하더군요. 하지만 솔직히 지금도 왜 떨어졌는지 이해가 안 갑니다.” 이렇게 말하는 김씨는 무척 허탈한 듯했다.

    MBA나 로스쿨 같은 전문대학원의 문만 좁아진 것이 아니다. 정치학을 전공한 A씨는 미국 풀브라이트 재단이 주는 풀브라이트 장학금을 받았고 GRE(미 대학원 수능시험)에서도 상위 1%라는 좋은 점수를 얻었다. 주위에서는 A씨 정도의 실력이면 아이비리그 명문대 진학도 충분히 가능하다고 입을 모았지만 그는 조지타운, 예일, 인디애나 등 명문대에 줄줄이 떨어지고 결국 미국 내 대학 랭킹 100위권인 학교에 간신히 합격하는 데 만족해야 했다.

    미국 대학원의 문이 좁아진 데에는 무엇보다 불경기라는 미국의 상황이 큰 변수로 작용했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미국 경제의 불황이 장기화하면서 로스쿨이나 MBA에 지원하려는 미국인 지원자들의 수가 매년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다는 것. 자연히 유학생들은 더욱 치열해진 경쟁의 관문을 통과해야 한다.

    유학생 반기는 곳 없다

    미국 유학생은 2001년을 기점으로 해 큰 폭으로 줄어들었다.

    중국 유학생들의 증가도 한국 유학생에게는 불리한 점이다. “MBA의 경우 대다수의 대학들이 전체 정원의 30% 정도만을 외국인에게 배정합니다. 그런데 이러한 쿼터(quota)는 나라별로 나눠지는 게 아니라 아시아계나 유럽계 같은 식으로 광범위하게 나눠집니다. 결국 아시아계 유학생인 한국인 학생들은 날로 늘어가는 중국인 유학생들과 경쟁할 수밖에 없는 거죠.” 박정어학원 조성준 실장의 분석이다.

    여기에 더해 최근 중국에서 터진 ‘GRE 시험문제 유출 사건’은 미국 대학 당국으로 하여금 동양계 학생들을 불신하게 만드는 큰 악재로 작용했다. 2000년 들어 토플과 GRE가 컴퓨터 시험으로 바뀌면서 중국 내에서 GRE 시험문제를 유출한 인터넷 사이트들이 난립하고 있는 것. 이런 사실이 밝혀지자 GRE 시험을 주관하는 미국 교육위원단(ETS)은 중국과 한국에 한해 GRE 시험방식을 컴퓨터 시험에서 예전의 시험지 방식으로 바꾸기로 결정했다. 그러나 이미 미국 대학 당국에는 동양계 학생들의 영어시험 점수를 불신하는 분위기가 만연하고 있다고 한다.

    “그러나 보다 심각한 문제는 미국 대학들이 굳이 한국 학생들을 받을 필요가 없다고 생각하고 있는 점이라고 봅니다. 한국이 ‘아시아의 네 마리 용(龍)으로 불리던 80년대 말에는 미국 유학이 지금보다 훨씬 쉬웠습니다. 미국 대학들이 한국 학생을 받아 자국의 편으로 만들고 싶어했기 때문이죠. 그런 의미에서 한국이 매력적인 시대는 지났습니다. 이제는 비슷한 조건이라면 한국 학생보다는 중국 학생들이 더 구미가 당기는 선택일 겁니다.” 한 유학 전문가의 조심스러운 분석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



    • 많이 본 기사
    • 최신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