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동아 362

..

‘바다와 땅의 만남’은 이뤄지나

2010년 세계박람회 여수 유치전 막바지 총력 … 상하이 모스크바와 3파전 양상 4일 최종 결정

  • 성기영 기자 sky3203@donga.com

    입력2002-11-28 13:02:00

  • 글자크기 설정 닫기
    ‘바다와 땅의 만남’은 이뤄지나

    지난해 10월25일 여수시 오동도에서 열린 2010 여수세계박람회 홍보관 개관식.

    12월4일 자정. 지중해 연안의 소국(小國) 모나코에서 열리는 제132차 세계박람회기구(BIE) 총회장. 이날 총회에 참석하는 BIE 회원국 대표의 손끝에서 2010년 세계박람회 개최지가 최종 결정된다. 비밀 전자투표 방식으로 이뤄지는 이날 투표는 각 회원국 대표가 지지하는 국가가 표시된 버튼을 누르는 즉시 집계가 이뤄져 전광판에 국가별 득표 수가 나타나게 된다. 출석 회원국 3분의 2의 지지를 얻으면 바로 개최지로 확정된다. 투표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은 채 10분도 걸리지 않을 것이다.

    만약 3분의 2를 득표한 국가가 없을 경우 최소 득표 국가를 순차적으로 탈락시킨 다음 2개 국가만 남긴 다음 다(多)득표국이 개최지로 최종 확정된다. 이 경우에도 한 차례 투표에 소요되는 시간을 20분으로 볼 때 4차 투표까지 가고 휴식시간을 주더라도 투표 시간은 2시간을 넘지 않을 전망이다. 이로써 1996년 전라남도가 처음으로 2010년 세계박람회 유치 아이디어를 낸 뒤 7년 만에 세계박람회 유치 활동이 대단원의 막을 내리게 되는 셈이다. 한국이 사상 처음으로 세계박람회를 개최할 경우 프랑스 독일 스페인 미국 일본에 이어 세계 3대 국제행사인 세계박람회 올림픽 월드컵을 모두 치른 여섯 번째 국가가 된다.

    올림픽·월드컵과 함께 3대 국제행사

    정부는 2010년 세계박람회 개최지를 결정하는 제132차 BIE 총회에 전윤철 부총리 겸 재정경제부 장관을 수석대표로 하는 50명의 민관 합동 고위 대표단을 파견, 여수박람회 유치를 위한 막바지 총력전을 펼칠 예정이다.

    현재 2010년 세계박람회 유치를 위해 경쟁하고 있는 나라는 모두 5개국. 아르헨티나는 신청 이후 국내 경제난을 이유로 신청을 철회했다. 그러나 사실상 중국과 러시아가 우리나라와 박빙의 승부를 예고하면서 마지막 경합을 벌이고 있는 상황이다. 애초 인구 32만명의 해양도시 여수는 950만명의 인구를 가진 모스크바나 인구 1700만명의 상하이와는 비교가 되지 않는 여건에서 세계박람회 유치전에 뛰어들었다. 말하자면 체급부터 맞지 않는 경기를 벌인 셈.



    ‘바다와 땅의 만남’은 이뤄지나

    2010년 세계박람회 여수 유치를 홍보하기 위한 자전거 순회단이 11월19일 오전 전남 도청에서 발대식을 가진 뒤 출발하고 있다.

    특히 중국과 러시아는 총리와 대통령이 직접 나서 범정부적인 득표 활동으로 막판 세몰이에 힘을 기울여왔다. 중국은 11월3일 주룽지 총리가 캄보디아 국왕과 일본 고이즈미 총리를 면담했고 상하이 시장이 몰타 총리를 만나 지지를 요청하기도 했다. 특히 오는 12월3일 총회에서 상영될 엑스포 홍보영화를 ‘붉은 수수밭’의 장이모 감독이 제작을 맡아 막대한 홍보효과까지 노리고 있다. 찬란한 역사를 가진 동방 문명과 눈부시게 발전한 상하이를 결합해 중국의 ‘전통’과 상하이의 ‘문명’을 함께 보여준다는 계획이다. 또 러시아의 푸틴 대통령도 11월12∼13일 노르웨이를 방문해 유치활동을 벌인 바 있다.

    상하이는 우수한 도시 인프라 기반을 내세워 유치 능력을 강조했고 개발도상국 최초로 박람회를 개최해야 한다는 논리를 내세웠다. 또 동남아 화교 국가들과 구공산권 국가, 저개발 국가 중심으로 유치전을 펼쳐 우리나라에 비해 상당한 우위를 점해왔다. 그동안 BIE 총회 회원국 중에서 저개발국가들을 상대로 엄청난 무상원조를 제공하며 득표활동을 벌여왔다는 소문도 있다.

    반면 러시아는 2005년 박람회가 일본에서 열린다는 점을 강조하면서 대륙별 순환 개최 논리를 앞세웠다. 박람회 참여 역사가 다른 어느 신청국보다 길다는 점도 강조해왔다. 그러나 러시아는 모스크바에서 있었던 체첸 반군들의 인질극과 화학가스 살포 의혹 등으로 신뢰를 상실하면서 개최국 선정 가능성에서 다소 멀어지고 있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바다와 땅의 만남’은 이뤄지나

    2010 세계박람회 홍보관 개관식에 참석한 정몽구 유치위원장(오른쪽에서 두 번째)과 비센테 곤살레스 로세르 탈레스(오른쪽에서 세 번째) 세계박람회기구 사무총장.

    유치지원단 기대 섞인 관측 나와

    우리나라의 경우도 개최국 확보까지는 험난한 길이 남아 있는 것이 사실이다. 우선 사실상 유치 교섭의 첨병 역할을 해야 하는 현지 공관 숫자만 보더라도 우리나라가 중국이나 러시아에 비해 그리 유리한 상황이 되지 못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중국은 89개 BIE 회원국에 75개의 공관을, 러시아는 62개의 공관을 내보내고 있다. 이에 비하면 우리나라 공관 수는 56개국에 불과해 중국에 비해 75%, 러시아에 비해 90%의 공관만을 보유하고 있는 셈이다.

    그동안 우리나라는 이러한 취약점을 극복하기 위해 정몽구 현대자동차그룹 회장이 세계박람회 유치위원장을 맡는 등 민관 합동 체제를 구축해 전방위 유치 노력을 기울여왔다. 현대 관련 그룹 내 맏형 격인 정몽구 회장이 유치위원장을 맡는 덕분에 현대 계열사 사장들 역시 해외 지사망 등을 동원해 세계박람회 유치에 총력을 기울여왔다. 뿐만 아니라 SK 한화 등 주요 대기업 회장이나 계열사 사장들도 BIE 회원국 내 인맥을 동원해 박람회 유치에 적극적으로 나섰다. 그러나 아직까지 여수의 세계박람회 유치 가능성은 장담할 수 없는 상황인 것만은 분명해 보인다. 우리나라는 여수가 환경보전이 잘된 친환경도시라는 점을 강조해왔다. 여수가 미국 식품의약국(FDA)이 지정한 청정해역을 갖고 있고 세계 5대 갯벌을 보유하고 있다는 점을 십분 활용한 전략이다. 애초 전라남도가 여수 지역에 세계박람회 유치라는 구상을 내놓은 것도 해양자원을 이용해 낙후한 이 지역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겠다는 구상이었다.

    여수에서 세계박람회가 개최될 경우 가장 큰 주제는 자연스레 ‘바다’가 된다. 여수에는 유네스코가 지정한 세계문화유산인 고인돌과 공룡 유적이 있다. 2000년 10월에는 4000여개의 대규모 공룡 서식지와 화석이 발굴되기도 했다. 땅의 상징물들인 셈이다. 한편 여수는 동아시아 해상권을 장악한 장보고 해상 왕국의 근거지인 완도와도 인접해 있는 전형적인 해양도시다. ‘바다와 땅의 만남’이라는 상징성을 나타내주기에는 최적지라고 할 수 있다.

    우리나라는 또 2008년 베이징 올림픽을 앞두고 있는 중국이 대규모 국제행사를 독식해서는 안 된다는 논리로 회원국들을 설득하기도 했다. 최근 들어서는 우리의 이러한 논리에 회원국들이 어느 정도 공감하고 있다는 이야기도 전해지고 있다. 그러나 지금으로서는 세계박람회 여수 유치 가능성에 대해 누구도 장담할 수 없는 분위기다. 유치지원단 주변에서는 “결국 4차 투표까지 가서 한국과 중국 사이에서 결판이 나지 않겠느냐”는 말도 나오고 있다. 기대 섞인 관측이다.

    ‘새로운 공동체를 위한 바다와 땅의 만남(Encounter of Sea and Land for a new community)’이라는 주제를 내세운 여수는 과연 세계 190여개국 3000만명의 관람객을 이 ‘바다와 땅이 만나는 도시’로 불러들일 수 있을 것인가. 분명한 것은 지난 7년간의 노력이 결실을 맺어 여수가 세계박람회 개최지로 최종 결정되더라도 앞으로도 8년간의 준비기간이 필요하다는 사실이다.



    댓글 0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