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 출입국관리소가 지난 1월 적발한 서울 강동구 A영어학원의 경우가 대표적인 사례. 당국은 이 학원에서 주최한 어린이 영어캠프에서 일하던 무자격 미국인 강사 J씨(32) 등을 강제 출국시킨 바 있다. 이들을 불법고용한 원장 S모씨(39)도 역시 불구속 입건되었다. 이들은 지난 겨울방학 기간 동안 외국인을 고용해 모 대학 지방캠퍼스를 빌려 영어캠프를 열고 초-중학생들을 대상으로 100~200만원대의 수강료를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주요 대학이나 언론사 등 공신력 있는 기관에서 개최하는 프로그램의 경우 등록하고자 하는 학생들의 열기가 뜨겁다. 적지 않은 돈을 지불해야 하는 만큼 아이들을 위해 좋은 캠프를 고를 수 있도록 주의할 점을 살펴보자.
●강사는 자격을 갖추었나

●다양한 프로그램이 준비되어 있는가
반복되는 교과학습에 흥미를 잃기 쉬운 참가자들을 위해 정규수업 이외에 다채로운 특별과정이 준비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것도 필수. 홍익대의 ‘영어캠프’는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 등의 정규과정 외에 게임, 팝송, 웅변대회 등의 특별과정이 마련되어 있다. 한국외대 ‘영어체험캠프’는 미국인들과 각종 스포츠를 함께해 외국인들에 대한 두려움을 없애는 과정을 개설하기도 했다. ‘주니어 영어캠프’는 방과후와 주말에 미국 YMCA에서 파견한 캠핑 강사가 함께하는 레크리에이션 및 캠프파이어 행사가 포함되어 있다. MBC아카데미의 ‘기숙사 영어연수’ 프로그램에는 영화 상영, 야유회, 연극 등의 프로그램들이 포함되어 있기도 하다.
●참가자 영어실력에 맞나
일기나 편지 쓰기는 물론 집에 전화할 때도 영어만을 써야 하기 때문에 사전 테스트를 통해 학생의 영어실력에 맞는 레벨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섣부른 기대심리로 지나치게 높은 수준에 등록하면 아이가 영어에 대한 흥미를 잃고 두려움에 빠질 수도 있다는 것. ‘주니어 영어아카데미’의 경우 학생들의 수준과 필요에 따라 개인별 수강과목을 선택할 수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