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동아 232

..

전시회야? 굿판이야?

  • 입력2005-10-17 13:06:00

  • 글자크기 설정 닫기
    전시회야? 굿판이야?
    헤겔은 역사란 절대정신의 실현을 향해 발전하는 변증법적이고 목적론적인 과정이라고 한다. 그리고 그 실현의 목표점에 도달할 때까지 절대정신은 갖가지 모습으로 자신을 드러낸다. 때론 순탄한 들녘길을 따라서, 때론 격변의 협곡을 지나면서 역사의 수레바퀴는 종착지를 향해 진행되는 것이다.

    그렇다면 세기초인 지금 이순간, 지구상에서 벌어지고 있는 모든 세기말의 종말적 징후들은 과연 무엇을 의미하는 것일까. 평온한 일상 속으로 끊임없이 전해지는 대형참사와 재난으 소식을 접하면서 우리는 역사의 수레바퀴가 이제 고통의 협곡 앞에 다다랐구나 하는 생각을 지울 수 없게 된다. 그것은 이 세상에 가득한 약과 어두운 기운의 병적 징후요, 우리가 뿌려놓은 죄악의 씨앗이 드디어 개화했음을 알리는 경고라고 느껴진다.

    최근 작가 임영선은 이런 일련의 시대사적 징후가 자신의 개인사 속으로 돌입하는 경험을 했다. 그동안 공들여 제작해 온 그의 거의 모든 작품들이 화재로 인해 소실되었던 것. 그리고 이런 비극적 사건은 ‘씨랜드 차마‘라는 충격적 재난과 연결된다. 서로 다른 시간과 공간의 사건이지만 그는 그것을 시대정신의 발현으로 파악한다. 병들고 극악해진 시대정신은 더 이상 견딜 수 없는 자신의 정체성을 참사와 재난이라는 몸부림으로 표현하고 있는 것이다.

    그것을 임영선은 그 특유의 ‘무당의 끼‘로서 직감했다. 따라서 이번 전시는 작가가 주재하는 일종의 씻김굿으로 여겨진다. 씨랜드 참사에 희생된 어린 영혼들을 위로하기 위한 굿판이자, 역시 화재로 인해 소실된 작가 자신의창조물들에 보내는 마지막 인사인 셈이다.

    임영선은 마치 ‘잔혹한 아름다운의 작가‘라는 그의 별명을 포기라도 한 듯이, 예전의 광기 가득한 처절함의 미학이 아닌, 조용하고 깊은 슬픔의 내러티브를 시도했다. 억울한 영혼을 어우르고 보듬어 주는 무당의 역할을 통해서 감동과 소통이라는 전통적 예술의 의미를 되새겨준 것이다.



    임영선의 ‘천사의 방‘에 들어가면 우리는 이런 역사의 수레바퀴 및에 깔려 영문도 모른 채 희생당한 어린 혼령들의 서글픈 넋두리를 들을 수 있다. 철제 기둥의 유리상자 속에서 조용히 회전하고 있는 열여덟 어린이의 데드마스크들, 그리고 그 속에서 들려오는 부모와 가족의 목소리, 비디오 화면에 담겨 있는 생전의 천진난만한 모습은 서로 아련하게 오버랩되고, 서로 어루만지면서 이승과 저승의 경계를 넘나들고 있다. 역사의 주인공을 자처했던 어른들이 만들어 놓은 아귀 다툼의 현실 속에서 질식당한 가녀린 생명들의 수난사와 그것에 대한 반성적 시각의 필요성을 낮은 목소리로 말하고 있는 것이다.

    또다시 어린이날을 맞이하면서 우리는 어린이들의 꿈에 대해 말하기 전에 그들의 상처를 먼저 보아야 하지 않을까. 희망을 품기 위해선 먼저 절망을 느껴야 한다. 죽은 자리에 꽃이 핀다. 4월 30일까지. 문의 일민미술관(02-721-7702)





    댓글 0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