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동아 232

..

‘시네마 천국’ 꿈꾸며 생존 몸부림

독립영화 감독들 ‘헝그리 정신’ 무장…집 팔고 돈 빌려 영화 한편 뚝딱

  • 입력2005-10-17 11:36:00

  • 글자크기 설정 닫기
    ‘시네마 천국’ 꿈꾸며 생존 몸부림
    “너소냐? 나 최영의다! 그리곤 소뿔을 탁 잡고 X나게 내려치는 거야. 소뿔이 부러질 때까지… 그런 무대뽀 정신, 그게 필요한 거야. 헝그리… 배가 고프다는 뜻이지. 그래, 헝그리 정신이 건달에겐 필요하다 그 말이야.”

    영화 ‘넘버 3’에서 불사파의 두목 조필(송강호)이 졸개들을 모아놓고 한 말이다. ‘무대뽀 정신’과 ‘헝그리 정신’은 비단 건달세계에서만 필요한 덕목은 아니다. 충무로의 뒷골목, 대중의 따뜻한 사랑도 화려한 스포트라이트도 비추지 않는 그곳에서 외로운 ‘전쟁’을 치르는 사람들이 있다.

    영화 한편으로 수십억원을 벌어들이고, ‘쉬리’가 일본에서까지 백만명이 넘는 관객을 동원했다는 ‘한국 영화의 르네상스’도 상업영화 시스템의 바깥에서 게릴라처럼 악전고투하며 영화를 만드는 저예산-독립영화 감독들에겐 아직 꿈결처럼 먼 이야기일 뿐이다.

    최근 개봉한 영화 ‘섬’을 만든 김기덕감독은 좀처럼 승산이 없어 보이는 저예산영화 작업을 계속해오면서 ‘충무로의 이단아’로 불리는 인물. ‘악어’ ‘야생동물 보호구역’ ‘파란대문’ 등의 영화를 통해 새로운 시도를 계속해온 그는 작품마다 겨우 수억원의 제작비로 ‘뚝딱’ 영화 한편을 만들어내는 게릴라적 제작방식을 고수해왔다.

    초등학교 졸업이 학력의 전부인 김기덕감독은 그림과 사진을 독학한 뒤 프랑스에서 3년간 그림을 그렸다. 영화도 학교에서 배웠거나 현장에서 연출수업을 받은 적이 없다. 영화를 하겠다고 마음먹은 뒤부터 ‘미친 듯이’ 시나리오를 써댔고 공모에 당선되면서 영화계와 인연을 맺었다. 그는 영화를 찍으면서 제작자의 발길질에 차이기도 하고 눈물도 많이 흘렸다고 한다.



    그와는 달리, 파리 영화학교 출신의 소위 ‘엘리트’ 영화감독인 김시언감독도 철저한 독립영화 제작방식으로 첫 영화 ‘하우등’을 만들었다. 그는 영화를 찍기 위해 통장을 모두 털고, 전셋집을 내놓은 것도 모자라 친지들의 돈을 빌려 제작비를 마련했다. 촬영에 들어가서도 돈이 떨어지면 일시 중단하고 돈을 구하기 위해 뛰어다녀야 했다.

    “비오는 장면에서는 대형 스프링쿨러를 구할 수 없어 제작진이 전부 지붕위에 올라가야 했습니다. 자잘한 구멍을 낸 함석통에 물을 부어 일제히 뿌림으로써 비오는 효과를 냈지요. 영상이 마음에 들지 않아도 재촬영은 꿈도 꿀 수 없었어요. 촬영이 끝나고 후반작업에 필요한 돈을 구하기까지 또 한참의 시간이 흘렀죠. 그렇게 개봉까지 3년 가까이 걸렸어요. 지긋지긋하게 고생을 했지요. 지금 새 영화를 준비하고 있는데, 팔 집이 하나라도 남았으면 벌써 팔았을 거예요(웃음).”

    장편 독립영화로는 처음으로 극장개봉도 했고 비디오로도 출시가 됐으니 ‘하우등’은 그나마 ‘행복한’ 독립영화라고 할 수 있을 것 같다.

    독립영화계에서 잔뼈가 굵은 이지상감독의 ‘돈오’와 ‘둘 하나 섹스’는 무성한 화제를 불러모았음에도 불구하고 극장개봉을 못해 관객들과 만날 수 있는 길을 원천봉쇄 당했다. 전신 누드장면과 과도한 성행위 장면이 문제가 돼 두 차례나 등급보류 판정을 받은 ‘둘 하나…’에 대해 제작진은 현재 등급보류 이의신청과 헌법소원을 제기해둔 상태. 이런 상황에서 이감독은 최근 신작 ‘그녀이야기’ 촬영을 마쳤다. 100% 디지털 카메라로 촬영한 이 영화는 배우와 스태프 모두 개런티 없이 자원해 만든 작품으로 현재 후반 작업비를 댈 투자자를 물색하고 있다.

    이지상감독 외에도 최근 많은 영화감독들이 관심을 두고 있는 디지털 영화가 ‘값싸고 기동성 있는 차세대 영화’로 떠오르면서 ‘돈없는’ 독립영화의 새로운 출구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또한 영화 ‘섬’의 제작방식은 이 땅에서 독립영화가 살아남을 수 있는 새로운 방안을 제시한다. ‘섬’의 제작사는 그동안 안정되게 주류영화를 성공시켜온 명필름. 명필름은 최소의 제작비로 영화를 만들고 영화사, 감독, 스태프, 배우가 수익을 함께 나누는 시스템을 도입했다. 이로써 저예산영화의 고질적 문제였던 상업적 리스크를 줄이고 최적의 여건에서 후반작업을 진행해 완성도를 높이며 안정적인 배급망을 확보한 것. 명필름의 심재명이사는 “우리가 투자자를 유치하고 마케팅과 배급을 책임지면서 감독이 영화에만 몰두할 수 있었기 때문에 작품의 완성도가 높아질 수 있었다고 본다. 저예산영화라고 해서 꼭 위험한 것만은 아니다. 미국 독립영화 ‘블레어 윗치’의 경우처럼 신선한 소재와 좋은 시나리오, 효과적인 마케팅 전략이 만나서 대박을 터뜨릴 수도 있다”고 말한다.

    미국의 인디펜던트나 일본의 독립영화가 메이저영화사를 제외한 모든 영화를 포괄하는 개념인 데 비해 한국에서 독립영화는 정치적 색채를 띠고 시작됐다. 1980년대 초반 군사정권하에서 제도권의 상업영화가 사전 심의에 침묵하고 있는 동안 영화도 사회운동에 동참해야 한다는 인식으로부터 출발한 한국의 독립영화는 제도권 영화 밖에서 자기 존재를 드러내기 시작했다. 영화를 만드는 주체, 주제 및 소재, 자본 등 모든 것으로부터 ‘독립’하고 싶은 젊은 영화인들이 대학을 근거지로 해 영화를 만들기 시작한 것이다. 1989년 ‘오! 꿈의 나라’에 이은 1990년의 ‘파업전야’는 이러한 독립영화의 결정판이었다.

    90년대의 독립영화는 특정한 이념과 주장보다는 다양한 시각에서 다양한 목소리를 내게 되었다. 96년 이래로 인디포럼이나 서울국제독립영화제 등 여러 단체들이 독립영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한국영화아카데미, 인디라인, 청년 등 많은 학교들이 독립 영화인을 양성하려고 힘쓰고 있다.

    영화평론가 김정룡씨는 “관객들이 보다 다양한 영화를 감상할 수 있도록, 외국의 경우처럼 독립영화에 대한 세제혜택이나 정부 차원의 지원이 있어야 할 것이다. 또한 예술영화 및 독립영화 전용관도 필요하다. 그러나 독립영화라고 해서 볼거리를 등한시하거나 작품의 완성도를 높이지 않는다면 결국 관객들에게 외면당하고 만다. 관객은 언제나 흥미를 요구하고 좋은 작품을 보길 원한다”고 지적한다.

    흔히 저예산 독립영화를 ‘주류영화의 방부제’라고 하는 것은 이런 영화들이 새롭고 혁신적인 영화를 가능케 하는 대안이기 때문이다. 변방 없는 중심은 있을 수 없다.





    댓글 0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