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성한 전 외교통상부 차관. [동아DB]
최근 대선 후보 시절 윤 당선인이 연이은 북한의 핵·미사일 도발에 대해 강한 대응을 천명했던 배경에도 김 전 차관의 조언이 있었던 것으로 관측된다. 윤 당선인은 3월 6일 “저런 버르장머리도 정신이 확 들게 하겠다”며 북한의 무력도발을 용인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밝힌 바 있다.
김 전 차관은 대선 이후로도 대통령직 인수위원회 외교안보분과 간사에 임명돼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윤 당선인 측은 인수위 인선 이유로 “김 전 차관은 평소 자유민주주의 가치를 바탕으로 글로벌 협력을 증진해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며 “당선인의 한미 동맹 재건, 포괄적 전략 동맹 강화 등이 조속히 추진되도록 역량을 다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 전 차관은 차기 내각 외교‧안보 분야에서 주요 보직을 맡을 것으로 전망된다. 초대 외교부 장관, 국가안보실장 후보 등에 하마평이 오르내린다.
대북 정책 기조, 전략적 인내 언급
김 전 차관은 미국 측 네트워크가 특히 탄탄하다. 윤 당선인은 3월 10일 당선 직후 첫 일정으로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통화했는데, 김 전 차관의 도움이 크게 작용했다. 백악관은 해당 통화에 대해 “두 사람은 인도·태평양 지역의 평화와 안보, 번영의 핵심축으로서 한-미 동맹의 견고함을 확인했다”고 평가했다. 당시 통화 내용뿐 아니라, 방법 역시 주목받았다. 윤 당선인이 김 전 차관의 개인 휴대폰을 통해 바이든 대통령과 통화한 사실이 알려지면서다. 김 전 차관의 외교 역량을 보여주는 상징적 장면이다.김 전 차관이 차기 정부 외교‧안보 정책의 골격을 잡으면서 대북 정책에도 변화가 감지된다. 윤 당선인은 이미 지난해 11월 외신기자클럽 간담회에서 “주종 관계로 전략한 남북 관계를 정상화하겠다”고 밝혔다. 김 전 차관 역시 3월 8일 ‘신동아’ 인터뷰에서 차기 정부의 대북 정책 기조로 ‘전략적 인내’를 언급했다. 그는 “비핵화를 견인하기 위해 대화와 압박을 병행해야 한다”며 “압박의 중요한 수단인 제재를 ‘완전한 비핵화’와 ‘검증 가능한 비핵화’ 직전까지 유지하겠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무한정 지속될 수는 없겠지만 상당한 정도의 인내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김 전 차관은 서울사대부고를 거쳐 고려대 영문학과를 졸업했다. 이후 고려대에서 정치외교학 석사 학위를, 1990년대 초반 미국 텍사스대에서 정치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94년부터 외교안보연구원(현 국립외교원 외교안보연구소) 교수로 일했고, 2007년부터 고려대 국제대학원 교수를 지내며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다. 2009년에는 동아일보 객원논설위원으로 위촉돼 외교‧안보 분야 칼럼을 썼다.
최진렬 기자
display@donga.com
안녕하세요. 주간동아 최진렬 기자입니다. 산업계 이슈를 취재하고 있습니다.
비상계엄으로 명예·자존심 손상된 707특임단
현대제철 당진제철소에서 50대 근로자 사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