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동아 1186

..

기획특집 | 짝퉁 막는 라벨의 세계

“광저우는 中 4차 산업혁명의 중심지… 벤처 창업, 첨단 서비스 협력 필요”

홍성욱 주광저우 한국총영사

  • 광저우=구자홍 기자 jhkoo@donga.com

    입력2019-04-29 11:00:02

  • 글자크기 설정 닫기
    [구자홍 기자]

    [구자홍 기자]

    중국 남부에 위치한 광둥성은 우리나라에 상대적으로 덜 알려진 측면이 있다. 그러나 인구 1억1000만 명인 광둥성의 국내총생산(GDP)은 약 1조4000억 달러(약 1610조7000억 원)로 우리나라 GDP와 맞먹는 규모다. 그뿐 아니라 홍콩, 마카오와도 가까워 배후기지 역할을 하고 있다. 그만큼 광둥성은 중국 내에서 비중이 크다. 광둥성의 성도(省都) 광저우에는 한국총영사관이 설치돼 우리 기업과 교민의 활동을 지원하고 있다. 홍성욱 주광저우 한국총영사를 최근 총영사관 집무실에서 만났다. 홍 총영사는 지난해 5월 부임했다. 

    광저우 등 중국 남방도시의 강점이 무엇이라고 봅니까. 

    “광둥성은 청나라 말기 건륭제가 광저우만을 서양에 개방하는 일구통상 정책을 펼 정도로 역사적으로 중국의 대외 개방을 선도해온 지역입니다. 아편전쟁도 이곳 광저우에서 시작됐고요. 덩샤오핑 시대에는 광둥성의 세 도시가 개혁·개방특구로 지정돼 중국 경제의 고속 성장을 견인하기도 했습니다. 최근에는 뉴욕, 샌프란시스코, 도쿄 등 세계 3대 ‘베이 경제권’을 벤치마킹해 광둥성-홍콩-마카오를 묶는 ‘웨강아오 대만구 개발 계획’을 발표하기도 했는데요, 개혁·개방 40주년을 맞은 중국 정부가 광둥성을 새로운 개방형 경제체제 구축의 중심축으로 개발하려는 것으로 보입니다.” 

    웨강아오 대만구 개발은 미국 뉴욕과 샌프란시스코, 일본 도쿄 등 만(bay)을 중심으로 세계적인 경제중심지로 발돋움한 베이 경제권을 중국 광둥성에서 구현하겠다는 계획이다. 광저우, 선전, 주하이, 포산, 중산, 둥관, 후이저우, 장먼, 자오칭 등 광둥성 9개 도시와 홍콩, 마카오를 하나로 묶어 거대 광역 경제권으로 조성하는 프로젝트다. 웨강아오의 웨(粤)는 광둥성, 강(港)은 홍콩, 아오(澳)는 마카오를 뜻하며 대만구(大灣區)는 대형 연안지역이라는 의미다. 중국 국무원은 2월 “웨강아오 대만구를 미국 실리콘밸리에 필적하는 첨단기술 산업의 중심지로 발전시켜 나갈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광둥성에는 젊은이의 도전정신을 일깨우는 성공 사례가 많습니다. 세계적인 드론기업 DJI의 창업자 왕타오가 1980년생이고, 텐센트 창업자 마화텅은 1971년생입니다. 젊은 청년들의 모험적인 도전정신과 새로운 것을 포용하는 개방적인 문화가 시너지 효과를 내고 있는 대표적인 곳입니다. 광둥성 인구가 1억1000만 명으로 생산과 유통, 구매력까지 완비된 밸류체인을 갖추고 있고, 홍콩과 마카오 같은 거대 시장이 근처에 있다는 것도 큰 강점입니다” 

    중국 광둥성과 한국의 교역 규모는 어느 정도입니까. 



    “광둥성은 중국 전체 무역 규모의 25%를 담당하는 동시에 우리나라의 대중국 무역량의 25%를 점유하고 있습니다. 특히 광둥성은 60%를 수출하고, 40%를 수입합니다. 그런데 대(對)한국 무역에서만큼은 광둥성이 70%를 수입하고 30%를 한국에 수출합니다. 그만큼 비중이 큰 지역입니다.” 

    미·중 무역분쟁 여파가 중국 경제, 특히 광저우 경제권에는 어떤 영향을 미쳤습니까. 

    “미·중 무역분쟁의 시발점이 된 ZTE(중싱), 화웨이가 모두 광둥성 선전에 본사를 두고 있습니다. 무역분쟁이 양국 상품 등에 대한 관세 부과로 나타나 무역 규모 축소를 예상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지역별로는 경제구조에 따라 다른 양상도 나타나고 있습니다.” 

    다른 양상이라면? 

    “세계 모조품의 70~80%가 광둥성에서 생산된다고 알려져 있는데요. 미·중 무역분쟁에 따른 관세 부과로 정품 가격이 상승하자, 그것에 비례해 모조품 수요도 많아져 모조품 생산이 일시적으로 증가하는 아이러니한 상황이 발생하기도 했습니다.”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배치 여파로 한동안 한국과 중국은 불편한 관계였습니다. 최근 상황은 어떻습니까. 

    “문화 교류나 관광 분야의 규모가 이전에 비해 크게 축소됐습니다. 그 여파로 많은 한국 식당과 자영업체가 문을 닫기도 했고요. 소규모 보따리상도 직격탄을 맞았습니다. 중국 지방정부와 협력이 원활치 않은 점도 있었고요. 다행히 지난해 하반기 이후 상황이 차츰 개선되고 있습니다. 먼저 우리 영사관에서 중국인에게 발급하는 비자가 늘어나고 있습니다. 2016년 19만8000여 건에서 2017년 11만 건으로 크게 줄었다 지난해 15만8000건으로 회복됐습니다.” 

    앞으로 한중 경제협력을 확대, 발전시키려면 양국이 어떤 노력을 기울여야 할까요. 

    “광둥성은 중국의 혁신 1번지로 4차 산업혁명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한국과 중국이 미래지향적인 협력을 계속해가려면 벤처 창업 및 첨단 서비스 분야에서 서로 윈윈(win-win)할 수 있도록 협력하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 많이 본 기사
    • 최신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