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동아 728

2010.03.23

儒學(유학) 품으로 빠져들다

자기 성찰과 지적 호기심 충족 동양철학 붐

  • 이설 기자 snow@donga.com

    입력2010-03-17 10:43:00

  • 글자크기 설정 닫기
    儒學(유학) 품으로 빠져들다
    “신사임당을 보면 어느 겨를에 그런 명시를 썼는지 감탄스러워요. 바느질하랴 빨래하랴 바빴을 텐데, 참 대단해요.”(선병한 강사)

    “사임당과 율곡 모자는 머리가 비상했겠지요. 중국에는 사임당이 천상의 서왕모가 속세로 하강했다는 기록도 있다고 해요.”(수강생)

    3월5일 서울 종로구 익선동 동인문화원에서 열린 ‘고문진보’ 시간. 수강생이 써온 한시를 받아든 강사 선병한 선생의 입가에 웃음이 번진다. 덕분에 벌어진 ‘시’에 대한 토론 한 판. “시를 100수 정도 머릿속에 담고 있으면 풍류가 보이지만, 너무 맛들이면 집에서 구박받는다”는 선 선생의 말에 일동 웃음보가 터진다.

    오늘 수업에 참석한 사람은 모두 6명. 내용이 다소 어려운 데다 오후에 개설된 이 수업은 수강생이 적은 편이다. 20대 대학원생과 50대 이상 주부, 시인 등 수강생들은 강의 내내 자유롭게 대화를 나누며 ‘고문진보’를 읽어나갔다. ‘고문진보’는 중국 고시와 고문의 주옥편을 모아 엮은 책.

    “20대부터 70대까지, 중학생부터 전직 국회의원까지 연령도 직업도 다양해요. 서예·유학 등 관련 직종에 종사하는 분도 있지만 순수한 지적 호기심으로 오는 분도 많습니다.”



    이곳 기획실장으로 일하는 이공찬(38) 씨의 말이다. 현재 서울과 경기지역에는 일반인을 위한 동양학 교실이 더러 있다. 동인문화원, 한국전통문화연구회, 한국학중앙연구원의 청계서당, 성균관 한림원 등이 대표적이다. 통계로 잡히진 않지만 체감 수강생도 늘어나는 추세.

    ‘논어’ ‘맹자’는 최고의 카운슬러

    대중 서당뿐 아니다. 전문·심화 과정인 성균관대 유학대학원과 한국학중앙연구원을 찾는 발길도 늘어났다. 서당 체험과 예절교육 등 어린이를 위한 유학교실도 속속 생겨났다. 이런 바람을 타고 경상북도는 4~10월 ‘2010 세계유교문화축전’을 연다. 행사는 “사람을 받들고 세상을 사랑하고”라는 슬로건 아래 유교 공연과 각종 포럼을 진행한다. 변화를 따라잡지 못하면 금세 도태하는 21세기, 전통으로 눈을 돌린 이들을 만나 이유를 물었다.

    “철학은 넘기 힘든 벽이라는 편견이 있었는데, 그건 편견이었어요. 일상에 대한 생각이 철학이고, 우리 모두가 철학자가 될 수 있더라고요.”

    대학원생인 이수빈(27) 씨는 기자에게 대뜸 수강을 권한다. “한번 들으면 절대 끊지 못할 것”이라는 깜찍한 경고도 잊지 않는다. 그는 동인문화원에서 4년째 동양철학과 서양철학 강좌를 수강하고 있다. 이씨가 동양철학에 매료된 이유는?

    “외로움도 많이 타고 예민한 편이었는데 요즘에는 ‘성격 좋아졌다’는 이야기를 자주 들어요. 유학을 공부하면서 교회나 성당에 가듯 종교적인 위안을 얻는 거죠.”

    5년 전부터 유학을 공부해온 한약사 김병현(40) 씨는 “당시 맹자의 제자들이 한 질문이 신기하게도 나의 고민과 맞닿아 있다. 마음과 귀를 열고 강의를 들으면 일상의 고민이 저절로 풀어진다”고 말했다.

    한국화를 전공한 박유순(25) 씨는 “서양화가 대세인데 왜 한국화를 하려 하느냐”는 타박에 늘 가슴이 아팠다. 하지만 동양철학을 만난 뒤에는 반박할 논리와 선택에 대한 자신감이 생겼다.

    “한국화 학도로서 ‘진짜 그림’을 그리고 싶은 욕심에 철학공부를 하고 있어요. 인간의 근원을 이해하는 인문학적 안목이 있어야 시대를 넘나드는 그림을 그릴 수 있을 테니까요.”

    ‘말년의 양식’을 찾아 온 이들도 있다. 장성한 두 아들의 엄마 정순임(53) 씨는 지난해 9월부터 동인문화원에서 ‘고문진보’ 등 수업을 듣고 있다. 그는 마음의 갈등이 생기면 종교보다는 자연을 찾는 편이다.

    “나이가 들면 기능적 공부가 아닌 배움에 마음이 이끌리잖아요. 원래 자연이나 인문학으로 마음을 다스리는 편인데, 유학은 철학·문학·예술을 모두 내포하고 있었어요. 한자가 어려워도 경전에 담긴 메시지가 낯설지 않고요.”

    “얼음 깨고 잉어 잡아오는 건 안 바랄게. 아침에 깨우면 빨리 좀 일어나.”

    문정실(51) 씨와 막내아들 정의림(13·봉은중1) 군은 지난겨울 잊지 못할 추억을 만들었다. 전통문화연구회에서 나란히 앉아 ‘사자소학’ 강의를 들은 것. 부모를 위해 얼음을 깨고 잉어를 잡아온 효자의 이야기를 듣고 집으로 가는 길. 모자는 처음으로 ‘효’에 대한 이야기를 나눴다. 조금은 멋쩍었지만 마음으로는 한층 가까워졌다.

    “‘사자소학’은 옛날의 가치를 담고 있잖아요. 아들에게 그 세상을 보여주고 싶었어요. 아이들은 한자라면 일단 겁부터 먹는데 찾아보면 재미있는 강의도 많아요. 부모들이 기회를 마련해주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해요.”

    유학을 공부하는 이들은 “유학은 절대 어렵지 않다”고 이구동성으로 강조한다. IT기업에 근무하는 강석종(30) 씨는 유학 마니아다. 어려서 조부와 부친에게 한학을 배웠고, 최근 다시 맛을 들여 올해 성균관대 유학대학원에 진학했다. 수첩 두께의 책을 펼쳐 보이며 그가 말을 이었다.

    “보세요. ‘논어’ ‘중용’ ‘대학’을 합쳐도 책이 이렇게 얇아요. 유학은 절대 어렵지도 고루하지도 않아요. 1200자 내외의 한자로 문장도 쉽게 쓰였죠. 사서삼경은 100번, 200번 읽고 또 읽어도 읽는 맛이 새롭습니다.”

    ‘현대판 서당’에 엄숙함은 없었다. 20대 대학원생과 은퇴한 60대가 머리를 맞대고 인생의 경험을 나눴다. 공부할 범위도 사제 관계도 자유로웠다. “사서삼경은 어렵지 않아요. 학자들 주석이 어려운 거지.” 눈높이에 맞는 강의를 찾아 꼭 들어보라는 동학들의 눈에서 순수한 유학 사랑이 읽혔다.



    댓글 0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