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5일 밤 10시 서울 종로구 혜화동 성균관대 캠퍼스. 취재를 마치고 나오니 눈바람에 눈앞이 흐렸습니다. 덜렁대느라 우산도 사무실에 놓고 온 상황. 어둠 속에서 발만 동동 굴렀습니다. 그런 와중에 만난 ‘훈남’의 호의는 마른땅에 단비 같았습니다. ‘사은품’을 강조한 대목에서 드러난 마음 씀씀이가 특히 감동적이었습니다. 성균관대 유학대학원 신입생이라는 그는 “강의실에서 취재하는 모습을 보고 손님인 줄 알았다”고 말했습니다.
유학에 대한 궁금증도 해소할 겸 전철역까지 가는 학교버스에 나란히 올랐습니다. 몇 차례 질문이 오가던 중 알아낸 그의 정체는 의외였습니다. 공대를 나와 낮에는 정보기술(IT) 관련 기업에서 일하는 동갑내기 IT맨. 이어지는 설명은 더 흥미로웠습니다.
“유학을 공부하는 이유는 저희 충렬공 할아버지의 영향이 가장 커요. 아버지는 충렬공 13대 종손이고 저는 차종손인데, 충렬공 할아버지의 정신을 이어받아 저도 가학으로 공부하는 거예요.”
그는 ‘종손’ ‘차종손’ ‘가학’ 등 서울에 사는 IT맨과는 어울리지 않는 단어들을 쏟아냈습니다. “아내와 함께 교회에 다니면서 유학도 공부하고 있다. 유학은 고루하고 재미없는 학문이 아니라는 점을 알려달라”는 당부도 수차례 거듭했습니다.
![한 손에는 ‘아이폰’ 한 손에는 ‘논어’](https://dimg.donga.com/egc/CDB/WEEKLY/Article/20/10/03/16/201003160500025_1.jpg)
지난 며칠 귀동냥한 유학의 핵심은 ‘인(仁)’이고, ‘인’은 ‘효(孝)’에서 출발합니다. ‘너와 나의 마음이 하나’라는 인의 가치는 부모의 마음을 살뜰하게 보살피는 데서 시작한다는 거죠. 멋진 유학 청년 덕분에 새삼 ‘효’를 생각해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