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동아 835

..

한국은 웹 접근성 불량국가

장애인 이용 스마트폰, 홈페이지 등 여전히 차별

  • 문보경 전자신문 부품산업부 기자 okmun@etnews.co.kr

    입력2012-04-30 10:54:00

  • 글자크기 설정 닫기
    한국은 웹 접근성 불량국가
    스마트폰이 손안의 스마트 세상을 열었다곤 하지만, 시각장애인에게는 딴 세상 얘기다. 자판 방식의 휴대전화는 자판의 요철 덕에 시각장애인도 불편하나마 사용할 수 있었다. 그러나 시각과 터치 입력방식에 의존하는 스마트폰은 시각장애인에게 무용지물이나 다름없다.

    이런 생각을 뒤집는 기능이 주목받고 있다. 대표적인 것이 아이폰에 들어 있는 ‘손쉬운 사용’ 기능이다. 아이폰은 운용체계(OS) 단계에서부터 장애인도 스마트폰을 이용할 수 있도록 특정 기능을 내장했다. 고가 프로그램을 따로 구입하지 않아도, 별도의 장치를 사용하지 않고도 장애인이 스마트폰을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단말기 기본 장치로 넣은 것이다.

    만지면 읽어주는 ‘보이스오버’

    이 덕에 해외에서는 아이폰이 진작부터 장애인도 사용할 수 있는 스마트폰으로 유명했다. 그 역사가 긴 터라 지금까지도 경쟁사들은 아이폰의 이러한 기능을 따라잡지 못한다. 아이폰의 OS를 업그레이드할 때마다 손쉬운 사용 기능도 편리함을 더해간다. 이로 인해 애플의 iOS는 지금까지 스마트폰 OS 가운데 장애인이 쓰기에 가장 편리한 OS로 꼽힌다.

    아이폰, 아이팟터치, 아이패드 등에서 사용할 수 있는 손쉬운 기능은 시각장애인만을 위한 것이 아니다. 터치에 문제가 있거나 입력에 어려움을 느끼는 사람도 편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기능을 추가했다.



    가장 잘 알려진 ‘보이스오버’는 손끝이 닿은 지점과 관련된 기능을 말로 읽어주는 기능을 한다. 연락처와 문자는 물론, 애플리케이션(이하 앱) 이름이나 다이어리에 손가락이 닿기만 하면 모두 음성으로 전달해준다. 음성 설명을 듣고 손가락으로 두 번 두드리면(더블클릭) 앱이나 명령을 실행한다. 페이지를 넘기는 스크롤 기능은 손가락 세 개를 동시에 사용하면 된다. 이 세 가지 방식으로 시각장애인도 일반인과 거의 유사하게 아이폰을 사용할 수 있다. 적어도 주요 기능은 활용할 수 있는 것이다.

    지난해 말 업그레이드한 iOS5는 장애인 접근성을 한층 높였다. ‘선택 항목 말하기’ 기능을 덧붙인 것이 특히 눈에 띈다. 이 기능을 이용하면 텍스트의 특정 영역을 선택해 음성으로 들을 수 있다. 보통 텍스트의 일부를 선택해 길게 누르면 ‘오려두기’나 ‘복사하기’ 메뉴가 뜨는데, 거기에 ‘말하기’ 기능을 더한 것이다. ‘말하기’를 선택하면 이용자가 읽는 속도도 조절할 수 있다.

    다양한 진동 방식으로 발신자를 구별할 수 있도록 한 기능도 눈에 띈다. 5가지 진동 패턴을 제공해 시각·청각장애인이 발신자를 5종류로 분류할 수 있도록 했다. 터치 방식이 어려운 사람은 보조 터치 기능을 활용하면 된다. 동작으로 여러 명령을 내릴 수 있도록 한 기능이다. 스마트폰을 흔드는 것을 스크롤 기능으로 설정해놓으면 터치하지 않고도 페이지를 넘길 수 있다. 음성인식 기능으로 유명한 ‘시리’도 시각장애인에게 매우 유용하다.

    아이폰의 손쉬운 사용 기능이 알려지면서 장애인에 대한 배려가 없는 한국의 정보기술(IT) 환경에 대한 비판이 일었다. 거기에 자극을 받아 국내 제조사가 개발한 스마트폰에 일부나마 아이폰과 비슷한 기능이 들어가기 시작했다.

    삼성전자의 갤럭시노트에는 아이폰의 보이스오버 기능과 비슷하게 앱이나 주소록을 읽어주는 기능을 내장했다. 전화가 오면 발신자의 전화번호와 이름도 읽어준다. 비대칭 청각장애인을 위한 모노 오디오 기능도 있다. 스테레오 오디오는 왼쪽과 오른쪽 스피커에서 다른 소리를 내보내기 때문에 비대칭 청각장애인은 음악을 제대로 감상하기 어렵다는 점을 고려했다.

    최근에는 장애인을 돕는 앱도 다양하게 나온다. ‘보이스아이’라는 앱은 종이에 인쇄된 보이스아이 코드를 이용해 시각장애인이나 시력이 낮은 사람이 쉽게 정보를 얻도록 돕는다. 책이나 잡지, 각종 재활 정보를 음성 콘텐츠로 제공하는 앱도 있다. ‘행복을 들려주는 도서관’은 시각장애인만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한 앱으로, 아이폰의 보이스오버 기능을 활용했다. 장애인을 위한 기능을 속속 추가하면서 장애인끼리 정보를 공유하기도 한다.

    ‘웹 접근성 기준’ 아무도 몰라

    한국은 웹 접근성 불량국가
    스마트폰의 편리함을 장애인도 누릴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잇따라 개발하고 적용하지만 한국 IT의 갈 길은 아직 멀다. 최근 숙명여대 정책·산업대학원과 웹발전연구소, 한국웹접근성인증위원회가 조사한 바에 따르면, 10대 그룹 홈페이지는 장애인이 사용하기에 문제가 많은 것으로 드러났다. 이들은 국가표준인 ‘한국형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 2.0’을 기준으로 10대 그룹 홈페이지를 분석했다. 그 결과 합격점인 95점 이상을 받은 기업은 하나도 없었다. 웹 접근성이란 누구나 불편함 없이 웹 정보를 얻을 수 있는지를 판단하는 기준이다.

    SK그룹과 현대자동차그룹이 합격점에 가까운 점수를 받았고, 나머지는 60~70점대의 낮은 점수를 기록했다. 최하위인 롯데그룹은 49.3점에 그쳤다. 대부분 기업이 이미지와 표를 글로 설명하는 웹 접근성의 기본도 제대로 지키지 않았다.

    공공기관 홈페이지 상황도 별반 다르지 않다. 정부 및 공공기관 홈페이지 6만 개 가운데 웹 접근성 인증을 받은 사례는 전체의 1%인 600여 곳에 그쳤다. 한국정보화진흥원이 웹 접근성 준수 여부를 평가하지만 대상은 500여 주요 기관에 불과하다. 그나마 평가 대상이 되는 기관의 상황은 나은 편이다. 이를 제외하면 개별 기관의 의지에 기댈 수밖에 없다.

    기업이 서비스와 제품을 고안하면서 장애인의 접근성을 고려하는 것을 일종의 시혜나 비용 지출로 여기는 것이 가장 큰 문제다. 웹 접근성을 준수하지 않는 데 대한 제재가 미약한 탓도 있다. 장애인이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특정 홈페이지의 시정을 요구하려면 국가인권위원회를 거쳐야 한다.

    하지만 장애인차별금지법에 따라 내년 4월부터는 모든 민간기관 웹페이지도 웹 접근성 기준을 의무적으로 준수해야 한다. 문제는 1년도 채 남지 않아 준비가 시급한데도 이러한 내용 자체를 알지 못하는 경우가 허다하다는 점이다. 전문가들은 무엇보다 인식 문제를 지적한다. 문형남 웹발전연구소 대표(숙명여대 교수)는 “웹 접근성은 현대 사회의 기본적 복지 문제이자 장애인을 비롯한 모든 고객의 당연한 권리임을 인식해야 한다”며 “공공과 민간이 모두 적극적으로 참여해야 한다”고 말했다.



    댓글 0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