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동아 211

..

찬바람만 불면 ‘근질근질’

건조한 겨울 ‘가려움증’ 주의보… 목욕횟수 줄이고 샤워 뒤엔 보습제 발라야

  • 이민걸/ 연세대 의대 신촌세브란스병원 피부과 교수

    입력2007-03-15 12:07:00

  • 글자크기 설정 닫기
    가을에서 겨울로 접어드는 시기는 피부과가 문전성시를 이루는 때다. 갑자기 전신에 가려움증이 생겨 피부과를 찾는 분들이 많기 때문. 이런 환자들 중에는 가려움증 때문에 약국에서 이런저런 약을 사서 발라 보았으나 특별히 좋아지지 않아 병원을 찾게 됐다는 사람들이 적지 않다.

    환자의 피부상태를 진찰해보면 전체적으로 비듬 같은 껍질이 일어나 있고 조금 더 진행된 경우 균열을 동반한 붉은 색 발진이 생긴 것을 볼 수 있다. 이들 중 전신가려움증을 일으킬 수 있는 몇가지 질환에 대한 검사를 해도 아무 이상이 발견되지 않는다면, 대부분 건성 습진에 의한 것일 가능성이 크다.

    건성 습진은 피부가 건조해서 생기는 병이다. 어떤 원인이건 피부가 건조해지면 가려움증이 생기고, 가려워서 긁거나 문지르면 피부에 작은 외상이나 염증이 생기게 된다. 이렇게 되면 표면의 기름막이 손상돼 피부는 더욱 건조해지고 가려움증은 더 심해지는 악순환을 반복하게 된다.

    때밀이 수건 사용 절대 금물

    피부건조증은 피부 표면의 수분과 기름기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요인들에 의해 생길 수 있다. 이뇨제 등의 약을 복용하거나 아연 결핍증 등 내부 질환이 있을 때도 나타날 수 있다. 그러나 약이나 내적인 질환에 의한 피부건조증보다는 정상인에서 발생하는 경우가 훨씬 많다.



    특히 피부가 건조한 나이든 분들에게서 가려움증을 동반한 건성 습진이 보이는 경우가 많다. 중년 이후가 되면 피부표면의 수분과 기름기 관계가 깨지면서 피부가 건조해지는데, 겨울철 피부는 정상적인 표면 지방막이 더 쉽게 손상을 받아 상태가 악화되기 때문.

    그러나 요즘 들어서는 젊은 사람들에서도 건성 습진을 종종 볼 수 있다. 이는 아파트나 고층빌딩 같은 고온건조한 환경에서 주로 생활하기 때문이다. 게다가 요즘 사람들은 목욕을 너무 자주 해 건조해진 피부를 더욱 악화시키곤 한다.

    이밖에 알레르기 질환의 하나인 아토피성 피부염이 있는 사람에게서 겨울에 피부병이 악화되는 경우가 적지 않다. 아토피성 피부염 환자는 정상인에 비해 피부가 건조한 것이 특징. 건조한 겨울철에는 피부의 수분을 주위로 뺏겨 피부가 더 건조해지면서 가려움증이 심해지고, 자꾸 피부를 긁으면 원래의 피부병이 악화되게 된다.

    겨울철 건성 습진이나 아토피성 피부염 악화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목욕습관부터 바꿔야 한다. 먼저 목욕 횟수를 줄여야 한다. 반복적인 목욕은 피부의 수분과 기름기 균형을 깨뜨린다. 목욕은 뜨거운 욕조 목욕보다 미지근한 샤워가 바람직하다. 건조한 피부, 특히 아토피 피부염이 있는 경우엔 비누사용을 삼가는 게 좋다.

    “목욕만 하고 나면 피부가 가렵다”고 하소연하는 분들이 있는데, 이는 대부분 목욕할 때 피부를 수건으로 심하게 문질러 피부의 정상 보호막까지 파괴시켰기 때문이다. 특히 나이든 분들 중엔 수건으로 박박 미는 수준을 넘어 때밀이 수건까지 사용하는 경우가 있는데, 때밀이 수건은 겨울철 피부관리에는 절대 금물이다. 피부를 보호하는 기름막뿐 아니라 피부의 정상 보호막까지 벗겨, 피부건조증을 일으키기 때문이다. 그리고 샤워 후에는 바로 보습제 등을 발라 피부건조를 막는 것이 중요하다. 보습제는 피부 상태에 따라 선별 사용해야 효과적이므로 전문의와 상의하는 것이 좋다.

    피부를 건조하게 하는 또다른 원인은 낮은 습도. 역으로 말하자면 실내 생활에서 적절한 습도를 유지하는 것이 피부건조증 예방의 지름길이란 얘기다. 실내 습도는 65% 정도로 유지하는 것이 좋다. 실내에 빨래를 널어 말리거나 가습기를 이용하며, 잘 때는 속옷을 입어 몸이 지나치게 건조하지 않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피부는 인체 장기중 제일 바깥층에 있기 때문에 외부 자극을 가장 먼저 받게 된다. 겨울철 차가운 기온이 피부를 자극해 조직이 괴사하는 동상이나 차가운 기온에 대한 국소적 염증반응인 동창, 특발성 과민반응인 레이노병 등이 나타날 수 있다.

    동창은 차가운 날씨에 의한 손상 중 가장 가벼운 형태로 차가움에 과민한 사람에게 생긴다. 밖에서 놀다 들어온 어린이가 갑자기 손발이 빨갛게 되고 가려움증을 호소하는 경우 동창일 가능성이 크다. 영양상태가 좋지 않거나 전신질환 등이 있는 경우에도 잘 생긴다. 어느 연령층에나 올 수 있지만 주로 어린이에게 나타나며 특히 초겨울에 잘 생긴다.

    동창은 손가락 발가락 발뒤꿈치 코 귀 다리 등에 잘 생기고 환부에 열이 나며 가려운 증상을 동반한 붉은 색 발진이 생긴다. 때로는 통증을 동반하기도 하고 심한 경우 수포나 궤양이 나타난다. 증상은 몇시간에 걸쳐 나타나며 2, 3주내에 자연스럽게 없어진다. 만성으로 전환하게 되면 해마다 추워질 때에 재발하고 따뜻한 계절이 오면 사라진다.

    동창은 무엇보다 예방이 중요하다. 따뜻하게 입고 차가운 날씨에 노출되는 것을 피해야 한다. 규칙적인 운동을 하고 고단위 비타민을 복용하면 효과적이다. 일단 동창이 발생하면 환부를 따뜻하게 하고 휴식을 취해야 한다.

    레이노병은 차가운 곳에 나가면 손이나 발가락 끝이 파래지고 심하면 통증을 호소하는 질환. 내부의 결체조직 질환과 동반되는 경우가 많으나, 아무런 이상 없이 이러한 증상만 호소하는 경우도 있다. 20, 30대의 여성, 특히 미혼 여성들에게 잘 발생한다. 이 체질의 여성은 차가운 것에 노출되는 것을 피해야 하며, 담배를 피우는 여성은 즉시 금연해야 한다.

    동상은 차가운 날씨에 의한 손상 중 동창보다 증상이 심한 경우. 연부조직이 얼고 국소 혈액공급이 없어져 나타나는 증상을 말하며, 귀 코 뺨 손가락 발가락 등에 자주 생긴다. 얼어버린 부위는 창백해지며 통증 등의 자각증상은 없는 경우가 많으나, 조직의 파괴 정도에 따라 나타나는 양상도 다양하다.

    화상을 입었을 때 화상이 침범한 깊이에 따라 1도 2도 3도로 나누는 것처럼 동상도 단순히 홍반과 부기만 생긴 경우, 물집이 생긴 경우, 피부 표면에만 있는 경우, 조직의 깊은 부위까지 헐어 궤양이 발생한 경우 등 조직을 침범한 깊이에 따라 종류가 다양하다. 조직 손상이 생기지 않은 곳에서도 혈관이나 교감신경의 이상으로 인해 감각이상이나 다한증, 한랭과민증, 조직의 영양장애 등이 몇개월에서 몇년까지 지속될 수 있다. 동상에 걸리면 조직을 빨리 따뜻하게 해주면서 환부를 깨끗하게 해야 한다.



    댓글 0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