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간동아 로고

  • Magazine dongA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평창 동계올림픽 유치 도움 되고 싶어요

여자 아이스하키 국가대표 김은진 선수

  • 박훈상 기자 tigermask@donga.com
입력
2011-01-31 09:11:00
  • 작게보기
  • 크게보기

평창 동계올림픽 유치 도움 되고 싶어요

평창 동계올림픽 유치 도움 되고 싶어요
김은진(30) 선수는 영화감독이 꿈이었다. 그는 여자 아이스하키 국가대표 이야기를 다룬 영화를 만들고 싶었다. 시나리오를 쓰기 위해 여자 국가대표팀을 만났고 그 역시 국가대표가 됐다. 김 선수는 2011년 카자흐스탄 동계아시안게임에 국가대표로 출전한다.

“어릴 적부터 스포츠를 즐겨 봤어요. 중학교 때 신문을 보는데 처음 열리는 국내 아이스하키리그 입장료가 무료라는 거예요. 마침 성탄절이라 친구들과 함께 경기장을 찾았는데 정말 재밌었죠.”

여자 아이스하키 국가대표팀이 만들어진 시기는 김 선수가 고교 1학년이었던 1997년. 대표팀 연습하는 데 찾아가 구경할 정도로 열정이 있었지만 부모님의 반대로 대표선수 꿈을 접었다. 그 뒤 한국예술종합학교에서 영화 연출을 전공했고 졸업 후에는 영화사에서 일했다. 하지만 아이스하키 영화를 만들겠다며 국가대표팀 겨울 합숙에 참석한 뒤 전업 선수가 되기로 마음을 굳혔다.

“영화판에서 일했던 경험이 운동에도 도움이 됩니다. 영화는 사람을 만나 관찰하고 이해를 넓히는 과정이 있어야 만들 수 있어요. 또 공동 작업이기도 합니다. 아이스하키도 팀원과 함께 승리를 만들어가는 과정이지요.”

아이스하키를 직접 하니 볼 때와는 또 다른 매력이 있었다.



“아이스하키 경기는 빠르게 진행됩니다. 선수들이 시원하게 골을 넣고 보디 체킹하는 모습에 반했어요. 하지만 직접 선수가 되니 퍽을 가진 선수보다 안 가진 선수의 움직임이 더 중요하다는 사실을 알게 됐어요. 공간을 활용하는 매력이 있어요.”

국가대표팀의 목표는 아시안게임 첫 1승이다. 김 선수도 뒤늦게 시작한 만큼 다른 선수의 실력을 따라잡기 위해 팀 훈련도 하면서 남자 초등학교, 클럽팀을 찾아가 연습할 정도로 열정을 다했다. 김 선수는 스포츠 외교행정가가 되는 꿈을 꾸고 있다. 체육인재육성재단에서 운영하는 ‘차세대 글로벌 스포츠 인재 양성 과정’도 마쳤고 대한체육회에서 인턴으로 일하기도 했다.

“당장은 평창 동계올림픽을 유치하는 데 도움이 되고 싶어요. 올림픽을 유치하면 여자 아이스하키 경기력을 끌어올리고 저변을 확대하는 계기도 될 겁니다.”



주간동아 773호 (p119~119)

박훈상 기자 tigermask@donga.com
다른호 더보기 목록 닫기
1408

제 1408호

2023.09.22

올해 증시 달군 상위 20개 종목은… 1위 에코프로, 2위 제이엘케이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