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동아 294

..

껍데기 연줄은 가라!

사회적 위신, 체면 위한 인간관계 청산을 … ‘소유의 양’에서 ‘관계의 질’로

  • < 정수복/ ‘바다로 간 게으름뱅이’ 저자 > SEINE21@chollan.net

    입력2005-01-10 15:32:00

  • 글자크기 설정 닫기
    껍데기 연줄은 가라!
    한국사회에서 성공하기 위해 가장 필요한 것은 무엇인가. 답은 뻔하다. 연줄이다. 아무리 머리 좋고 능력 있고 성실해도 연줄이 없으면 출세의 사다리를 높이 올라갈 수 없다. 그래서 일단 부모를 잘 만나야 하고, 일류 학교를 다녀 빵빵한 친구들을 많이 사귀어 두어야 하며, 사회생활을 하면 유력한 선배나 상사 뒤에 줄을 잘 서야 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줄망 속에 들어가야 앞에서 끌어주고 뒤에서 밀어주는 상부상조의 정신을 발휘해 출세가도를 달릴 수 있다.

    언제부터인가 우리는 인간관계가 복잡한 사람을 ‘마당발’이라고 하며 칭송하게 되었다. 마당발은 다양한 영역에 속하는 사람을 두루 알아서 이런저런 정보를 많이 알고 있는 ‘정보통’이기에 어디에서나 대우 받는다. 1960년대 이후 고도성장 시대에 그런 문어발식 인맥을 가진 사람이 이런저런 일을 꾸며 돈도 벌고, 권력도 장악하고 명예도 얻은 것을 미루어 짐작할 수 있다. 그래서 많은 부모들이 아이들에게 머리 좋고 공부 잘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친구가 많아야 출세한다고 가르친다. 능력 있는 사람은 전화번호를 많이 입력하기 위해 종이수첩 대신 전자수첩을 썼고, 컴퓨터 파일 속의 주소록으로 연말연시에는 카드와 연하장을 1000장 정도는 보내야 그래도 활동하는 사람 축에 낄 수 있다.

    그런데 뛰는 놈 위에 나는 놈 있다고, 마당발로 알려진 전직 총리 한 분은 머릿속에 3000개의 전화번호를 기억하고 있다고 한다. 그런 어마어마한 규모는 아닐지라도 보통 사람도 무슨 일이든지 일이 되게 하려면 사람과의 관계를 유지해야 하고 오늘날과 같이 통신수단이 발달한 상황에서는 전화와 이메일을 손끝에 달고 산다. 하루에 50통 정도의 전화를 주고받고, 50통 정도의 이메일을 주고받으며 저녁에는 치명적으로 중요한 인간관계의 관리를 위해 오프라인으로 얼굴을 맞대고 함께 먹고 마시고 노는 시간을 마련하는 것이 잘 나가는 사람의 생활양식이다.

    그래서 우리 사회에서는 많을수록 좋다는 것의 리스트 안에 ‘인간관계’라는 것이 들어가게 되었다. 물론 그 리스트의 맨 앞쪽에는 돈·권력·명예가 들어간다. 인간관계는 그러한 일차적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적 가치다. 이런 생각을 가진 사람은 다른 사람을 볼 때 저 사람이 내 인생에 어떤 도움이 될 것인지를 먼저 생각한다. 진정한 인간관계가 사라지고 수단적이고 전략적인 인간관계가 주종을 이룬다. 결국 다른 사람은 상호이해의 주체가 아니라 관리의 대상이 된다.

    물론 모든 인간관계가 실리를 추구하는 전략적인 관계만은 아니다. 사람과 사람이 만나는 데 어떻게 차가운 얼음물 같은 계산만 있을 수 있는가. 한국인의 인간관계 속에는 정과 체면, 그리고 의리가 녹아 있다. 혼자 있기엔 너무나 외로운 세상이다. 서로 만나 비비고 개기면서 세상의 외로움을 잠시나마 잊을 수 있다면 그러한 인간관계는 인생이라는 사막에서 쉬어갈 수 있는 오아시스가 아닌가. 그러다가 사업상 서로 도울 일이 생기면 돕는 관계가 얼마나 아름다운가.



    그런데 한국인은 인간관계를 정과 의리의 관계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체면의 문화가 생긴다. 그저 얼굴만 아는 사이인데도 다른 사람의 경조사에 얼굴 도장을 찍어야 하고 부조금을 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정도 없고 의리도 없고 체면도 없는 놈이 되고 만다. 다른 한편 넓은 인간관계가 사람에게서 화려한 조명을 받는 순간이 바로 경조사의 경우다. 번듯한 하객들로 꽉 찬 결혼식장이야말로 양가 부모의 사회적 위치를 가늠할 수 있는 시금석이 아닌가. 그리고 넓은 영결식장 양편에 죽 늘어선 화환과 수많은 조문객이 살아 있는 상주의 사회적 중요성을 말해주지 않는가. 그 중요한 날들을 위해 사교의 범위를 넓히고, 동창회·친목회 등 기존의 모임을 돈독히 유지해 나간다.

    넓은 인간관계의 좋은 점이 어찌 사회적 위신과 체면의 확보에 머무르겠는가. 사업상의 실질적인 이득이나 직장 내의 승진 그리고 정치적인 출세도 다 줄(線)을 잘 잡아야 하지 않는가. 그러므로 영양가 있는 관계망을 계속 넓히는 것이 삶의 가장 실질적인 지혜다.

    대통령 선거가 다가오면서 서서히 정치바람이 불고 있다. 선거철이 다가올수록 발이 넓고 연줄이 많은 사람을 자기 편으로 끌어들이기 위한 경쟁을 시작한다. 선거철은 고교동창회와 대학동창회, 향우회와 종친회가 한몫하는 시절이다. 그리고 마당발과 얼굴이 많이 알려진 사람이 활약하는 시절이다.

    그러나 최근 들어 느림의 철학을 이야기하고 단순하고 소박한 삶을 추구하는 사람이 늘어나면서 인간관계에 대한 새로운 관점이 등장했다. 무조건 많은 인간관계가 좋은 것은 아니라는 생각이다. 물론 이전에도 처세술을 가르치는 수많은 책들이 인간관계를 핵심적 인간관계, 필수적 인간관계, 중요한 인간관계, 덜 중요한 인간관계, 불필요한 인간관계 등으로 구분하고, 그 중요성의 비중에 맞추어 시간과 돈과 정력을 투자하라고 가르쳐 왔다. 한마디로 말해 인생에 도움이 안 되는 인간관계는 청산하고, 알짜배기 인간관계는 소중하게 관리하라는 지침이다.

    그러나 느림의 철학이 제시하는 인간관계는 그와 전혀 다른 관점이다. 빠름은 인간관계의 깊이를 만들 수 없게 한다. 지나치게 많은 인간관계는 자신을 되돌아볼 시간을 빼앗고 날마다 그렇고 그런 방식으로 똑같은 일을 반복한다. 그렇게 되면 하루하루가 재미없고 지루해진다. 인간관계가 수단적이기 때문에 사람과의 관계를 통해 위로와 위안, 이해와 애정, 그리고 삶의 의욕과 에너지를 주고받지 못한다. 넓을수록 깊이가 없는 인간관계만 무성하게 자랄 뿐이다.

    포스트모던 행복론은 ‘소유의 양(量)에서 관계의 질(質)로’ 패러다임 이동을 주장한다. 인간관계가 많을수록 좋다는 생각에서 적정한 양의 알찬 인간관계가 우리의 삶을 풍요롭게 한다는 생각으로 발상의 전환을 주장한다. 피상적 인간관계를 정리하고, 진정한 인간관계를 심화하는 것이 우리들의 머릿속을 깨끗하게 하고 생활을 단순화한다. 그래서 새로운 삶을 가능하게 해준다. 겉보기에 버젓한 삶이 아니라 안으로 충만한 삶을 살 수 있게 한다.

    여름 휴가철이 시작된다. 조용한 곳으로 가서 눈을 감고 떠올려보라. “그대가 곁에 있어도 나는 그대가 그립다”는 구절을 암송하고 그러한 사람의 얼굴을 떠올려보라. 과시와 허세를 위한 인간관계, 체면과 실리를 위한 인간관계는 여기서 다 사라지고 만다. 그러면서 마음의 여백이 생겨난다. 그 빈자리에 오롯이 떠오르는 얼굴이 있다면 그 사람과의 관계를 소중히 하라. 진정 충만한 삶을 살기 위해서는 버리고 떠나는 결단과 용기가 필요하다. 지나친 화장과 과다한 액세서리 착용이 오히려 추한 모습을 만들듯 주체할 수 없게 많은 인간관계는 우리의 삶을 쓸데없이 바쁘고 복잡하게 한다. 이번 여름에는 용기 있게 가장 긴 휴가를 내자. 그리고 떠나자. 쓸데없는 인간관계에서 벗어나 진정 내가 원하는 삶이 무엇인지를 깊이 있게 생각해 보는 시간을 갖자. 무엇이든 차지하고 채우는 것이 최고라는 우리 세대의 지배적 분위기에서 벗어나, 버리고 비우는 것이야말로 우리의 삶을 충만하게 하는 것임을 깨달을 수 있는 명상휴가가 된다면 그 휴가야말로 재창조를 위한 진정한 휴가라고 할 것이다. 껍데기는 가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