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작가의 음담악담(音談樂談)

대중음악가로 살아남는 법

‘코리아 스플래시 뮤직캠프’ 참관기

  • 대중음악평론가 noisepop@daum.net

    입력2019-10-07 10:00:01

  • 글자크기 설정 닫기
    [뉴스1]

    [뉴스1]

    크라잉넛은 말했다. “그래도 이런 교육 프로그램이 있다는 것만으로 밴드하기 정말 좋아진 거죠.” 9월 19일부터 23일까지 서울 홍대 앞 공연장 무브홀에서 열린 ‘코리아 스플래시 뮤직캠프(Korea Splash Music Camp)’에서. 

    이 행사는 부산, 대구, 충남 등 지방광역단체에서 활동하는 뮤지션을 대상으로 한국콘텐츠진흥원이 마련한 행사다. 소속사의 도움 없이 지방에서 활동하는 뮤지션들이 2박 3일 동안 서울에 머물며 음악 활동에 필요한 실무교육을 받았다. 내용은 다채로웠다. 음악 스타일링, 해외 페스티벌 경험담, 엔지니어와 소통법, 보도자료 작성법, 세금 관련 강좌 등의 프로그램으로 꾸며졌다. 


    [뉴스1, AP=뉴시스]

    [뉴스1, AP=뉴시스]

    나는 ‘밴드로 살아남기’의 모더레이터(사회자)로 참여했다. 술탄 오브 더 디스코, 크라잉넛과 함께 자기 색깔을 갖고 오랫동안 밴드 활동을 할 수 있는 노하우를 묻고 답도 듣는 자리였다. 앞서 언급한 크라잉넛의 말은 “예전과 지금을 비교했을 때 밴드로 생활하기에 어떤 것 같으냐”는 질문에 대한 답이었다. 그 말을 듣고 지난 시절을 돌아봤다. 척박하기 그지없던 초기 인디 밴드 신을. 1990년대 홍대 앞 풍경이 눈앞에 펼쳐졌다. 

    억압의 시절이었고 반항의 시절이었다. ‘록커’의 상징이던 긴 머리에 가죽바지 대신, 머리를 뾰족뾰족 세우고 허리에 체인을 두른 펑크 밴드에게는 경찰의 불심검문이 일상이었다. 시도 때도 없이 당하는 그 검문에 노브레인은 초기 ‘경찰이면 다냐’라는 노래를 만들기도 했다. 당시 한국에서 가장 자유로운 분위기였다고 해도 틀린 말이 아닐, 홍대 앞을 지나는 행인조차 떼 지어 다니는 펑크족을 동물원 원숭이나 마약에 절어 있는 갱스터인 양 쳐다보곤 했다. 

    음악계 시선도 곱지는 않았다. 실력보다 표현과 분출이 더 중요했던 당시 펑크밴드를 오버그라운드와 언더그라운드를 막론하고 ‘연주도 제대로 못하는 애들’ 취급했다. 유명 메탈 밴드들은 인터뷰에서 대놓고 그들을 쓰레기라고 표현하기도 했다. 그들이 활동하던 라이브 클럽은 불법 공간이었다. 공연장이나 유흥주점 허가를 받지 않고 공연하는 건 당시 현행법에 어긋났기 때문이다.



    홍대 앞이 신인들 등용문이 된 이유

    [장승윤 동아일보 기자, 뉴스1, AP=뉴시스]

    [장승윤 동아일보 기자, 뉴스1, AP=뉴시스]

    모든 선입견과 억압 속에서 그들은 음악과 행동으로 기반을 다졌다. 크라잉넛의 ‘말달리자’, 델리스파이스의 ‘차우차우’ 같은 히트곡이 홍대 앞에서 일반 대중에게로 퍼져나갔다. 밴드와 라이브 클럽 대표, 그리고 활동가가 모여 라이브 클럽 합법화를 위한 공연을 열며 캠페인을 만들었다. 새로운 흐름에 주목한 언론은 홍대 앞을 새로운 독립문화의 공간이자, 문화해방구로 규정했다. 음악뿐 아니라 독립영화, 화단(畫壇) 밖 실험미술 등 새로운 대안을 꿈꾸던 사람들이 모여들던 곳이 홍대 앞이었으니 당연한 일이었다. 

    이런 흐름이 쌓이면서 홍대 앞에는 시스템과 비즈니스가 자리 잡기 시작했다. 라이브 클럽을 중심으로 돌아가던, 즉 특정 밴드가 특정 클럽에서만 공연하고 그 클럽이 소속 밴드의 음반까지 내던 시스템이 깨졌다. 열악한 라이브 클럽보다 제대로 된 환경을 구축한 전문 공연장이 하나 둘 문을 열었다. 체계적 매니지먼트와 홍보, 유통을 지원하는 레이블도 생겨났다. 모든 걸 자체적으로 해결하려는 DIY(Do It Yourself) 시대에서 주류, 또는 기존 시스템과 협업하는 시대로 전환이 이뤄진 것이다. 실력 없다고 손가락질 받던 연주자들의 기량도 꾸준히 상승했던 건 물론이다. 

    여기에는 외적인 배경도 있다. 디지털 음원의 등장과 함께 음반시장이 급격히 몰락하면서 ‘그들만의 리그’가 해체됐다. 갈수록 줄어드는 시장에서 모험은 사치였다. 아이돌과 발라드만이 그나마 주류 음악계에서 데뷔할 수 있었다. 그 전까지는 TV와 라디오 중심으로 활동하며 안정적인 연예계 생활을 할 수 있던 음악인들이 홍대 앞의 문을 두드렸다. 


    [사진 제공 · 쇼파르뮤직, 뉴스1, AP=뉴시스]

    [사진 제공 · 쇼파르뮤직, 뉴스1, AP=뉴시스]

    그런 음악, 즉 1990년대였다면 이승환, 유희열 같은 방식으로 활동했을 음악인이 ‘인디’라는 타이틀을 달고 홍대 앞 라이브 클럽에서 공연하고 인디 레이블에서 앨범을 냈다. 주류 음악계가 고난의 행군을 하는 사이, 홍대 앞에는 오히려 그 전보다 더 많은 음악인이 데뷔하고 더 많은 팬이 공연장을 찾았다. 풍족하다고는 말하지 못해도 분명히 1990년대와 비슷한 활기가 이어졌다. 

    이런 흐름이 절정에 이른 건 2000년대 후반 검정치마, 장기하와 얼굴들, 국카스텐이 연이어 등장하면서였다. 인디 1세대를 뛰어넘는 새로운 스타들의 탄생기를 세상은 ‘인디 르네상스’라 불렀다. 그리고 지금, 더는 비주류와 주류의 경계는 없어 보인다. 볼빨간사춘기, 멜로망스, 그리고 십센치 등 음원 차트에서 늘 최상위를 기록하는 이들이 있으며 혁오, 잔나비 같은 새로운 스타도 나타났다.

    지속가능한 뮤지션이 되기 위한 전략

    [동아DB, 송은석 동아일보 기자]

    [동아DB, 송은석 동아일보 기자]

    그렇다면 밴드, 즉 자기 음악을 하는 이들에게 세상은 더 좋아진 걸까. 앞서 소개한 크라잉넛의 말처럼 일정 부분은 맞다. 활동하기도, 데뷔하기도 좋은 여건이다. 민관의 이런저런 지원 사업들도 그 여건을 탄탄하게 한다. 하지만 ‘지속가능성’에 대한 고민을 하자면 여전히 의문부호가 붙는다. 

    이전과 비교할 수 없을 만큼 많은 신인이 데뷔하고, 홍보 또한 뉴 미디어 등을 통해 전에 비할 바 없이 쉬워졌다. 하지만 역으로 그만큼 주목과 생존에 어려움이 있다는 뜻이기도 한다. 너무 많은 정보는 오히려 그 가치를 낮추기 마련이고, 이는 음악에서도 예외가 아니다. 공연을 열심히 하고 실력이 입소문을 타면 최소한의 주목을 받을 수 있던 시대는 끝났다는 얘기다. 아이돌도, 뮤지션도 마찬가지다. 

    몇 가지 대안이 있다. 확실히 차별화되는 콘셉트와 장르로 데뷔하는 것이다. 록을 기반으로 하는 게 당연한 밴드 신에서 디스코와 펑크를 내세우고 이슬람 스타일의 터번을 두른 채 등장한 술탄 오브 더 디스코는 그 좋은 예다. 시각적으로나 청각적으로나 그들은 눈에 확실히 띄었다. 한국 밴드들을 일본에 소개하는 한 일본 음악계 인사는 그들을 두고 “다른 밴드들은 일본에도 다 있다. 하지만 술탄 오브 더 디스코 같은 밴드는 없다”며 그들의 일본 진출을 도모하기도 했다. 

    또 하나는 소셜미디어 시대의 공식에 입각해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말고 최소한의 팬덤을 구축하는 것이다. 즉 어떤 공연을 해도 자리를 채워줄 50~100명의 팬을 만들 수 있다면 지속적인 활동이 가능하다. 음악만으로 할 수 있다면 좋겠지만, 꼭 그렇지 않아도 된다. 잔나비가 그러했듯 음악을 기반으로 다양한 콘텐츠를 생산하고 유튜브 등을 통해 팬들과 직접적으로 소통하며 적극적으로 팬덤을 형성해가야 한다는 얘기다. 

    누구나 음악을 만들고 누구나 데뷔할 수 있지만 누구나 성공할 수는 없는 시대, 자기 음악을 하려는 이들이 생겼으면 한다. 다른 콘텐츠 비즈니스들이 그렇듯, 음악도 이제 콘텐츠 자체만으로는 성공을 도모하기 힘들어졌다. 중요한 건 지속가능성이다.



    댓글 0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