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동아 733

2010.04.27

열일곱 소녀를 사랑했던 어느 시인

‘은교’

  • 한기호 한국출판마케팅연구소장 khhan21@hanmail.net

    입력2010-04-20 16:20:00

  • 글자크기 설정 닫기
    열일곱 소녀를 사랑했던 어느 시인

    박범신 지음/ 문학동네 펴냄/ 408쪽/ 1만2000원

    곧은 정신, 높은 품격, 고요한 카리스마 등 고결한 이미지의 시인 이적요가 죽은 지 1년이 됐다. 칠십 평생 12권의 시집을 펴낸 시인은 유언과 함께 노트 하나를 남겼다. 시인의 사후처리를 위임받은 Q변호사는 유언대로 시인 사후 1년이 돼 노트를 공개하기로 했다. 그러나 막상 노트를 읽고 나서는 충격적인 내용 때문에 공개를 망설인다.

    노트에서 시인은 열일곱 소녀 한은교를 두고 벌인 갈등 때문에 베스트셀러 ‘심장’의 작가이자 제자인 서지우를 살해했다고 고백한다. 이뿐 아니라 평생 시만 써온 것으로 알려진 시인이 제자의 이름을 빌려 포르노그래피에 가까운 통속소설을 연달아 발표해 제자를 인기작가로 키웠다는 사실도 드러난다. 시인보다 여섯 달 앞서 자동차 사고로 죽은 서른여섯 살 서지우는 시인을 지극정성으로 봉양한 아들 같은 존재였다. 스승의 행동에 불안을 느낀 서지우도 은교에게 따로 일기를 남겼다. 그 사실을 안 Q변호사는 노트와 일기를 함께 읽어가며 두 사람이 은교를 놓고 벌인 애증의 전말을 찾아낸다.

    은교는 시인에게 평생 갈망했으나 이루지 못한 로망으로 다가온다. 평생 자신만만했던 시인의 이성은 은교의 ‘옴씬한’ 발목 인대를 한 번 접촉하자마자 죽어지내던 자신의 페니스가 불끈 일어서는 경험을 하고는 단번에 무너지고 만다. 위장소설로 작가 행세를 해야 하는 콤플렉스에 시달리던 서지우는 자신이 소개해준 은교를 바라보는 스승의 눈빛이 심상치 않다는 것을 깨닫고는 은교에게 집착하기 시작한다.

    서지우가 차 안에서 은교와 키스하는 모습을 본 다음부터 스승과 제자는 심하게 삐걱거린다. 이후 두 사람 사이엔 사제지간의 정겨움이 사라지고, 애증은 파국을 향해 치닫는다. 자신의 생일잔치를 함께 벌인 날, 잠에서 깬 시인은 자신의 집 2층 서재 침대에서 서지우와 은교가 벌이는 섹스 장면을 목격하고 서지우를 살해하기로 결심한다.

    시인은 서지우 차바퀴 바람을 모두 빼 차를 쓸 수 없게 만든 뒤 자신의 자동차 핸들을 조작하고 차가 쉽게 폭발하도록 연료 호스에 구멍을 낸다. 어쩔 수 없이 스승의 차로 약속장소에 가던 서지우는 스승의 눈길이 심상찮음을 느끼고 정비공장에 들러 스승의 음모를 알아내고 차를 수리한다. 하지만 그는 스승과의 관계를 회복할 수 없다는 사실 때문에 흐르는 눈물을 주체하지 못하다가 트럭과 부딪친 뒤 벼랑으로 떨어져 목숨을 잃고 만다. 서지우가 죽은 뒤 시인은 모든 치료를 거부하고 술을 주식으로 삼는 자학적인 방법으로 자신을 ‘처형’하기로 결심한다.



    시인은 은교에게 보내는 마지막 편지에서 그녀를 “불멸의 내 ‘젊은 신부’이고, 내 영원한 ‘처녀’이며, 생애의 마지막에 홀연히 나타나 애처롭게 발밑을 밝혀주었던 나의 등롱 같은 누이”라고 표현한다. 그러나 은교는 Q변호사에게 시인과 서지우가 서로 너무 깊이 사랑하는 바람에 자신이 낄 자리가 없어 소외감을 느꼈다고 말한다. Q변호사는 은교의 그 말이야말로 시인과 서지우의 비극적 관계를 풀 가장 핵심적이고 본질적인 열쇠라는 것을 느낀다.

    평생 원고지만 고집했던 박범신은 올해 초부터 컴퓨터 자판을 두드려 장편소설 ‘은교’를 블로그에 한 달 반 만에 폭풍처럼 써 올렸다고 밝혔다. 막상 작품을 쓰기 시작하니 스스로를 제어할 수 없을 정도였다고도 했다.

    박범신은 1993년 절필을 선언하고 유배자처럼 지내다가 1997년에 ‘흰소가 끄는 수레’를 내놓았다. 그 소설집에 수록된 ‘제비나비의 꿈’은 수업 시간에 아버지가 대중작가라고 비판받는 것이 괴로워 가출했다가 돌아온 대학생이 아버지와 함께 밭에서 일하며 나눈 대화로 구성된 글이다. 자신이 절필에 이른 사연을 간접적으로 밝힌 셈이다. 개인이 집단으로부터 치명적으로 소외받는 장면이 연속적으로 등장하는 이 소설은 읽는 이의 감정마저 제어할 정도로 치밀한 묘사가 돋보였다. 이로써 박범신은 자신이 형편없는 대중작가가 아니라는 사실을 충분히 입증했다.

    작가는 히말라야를 배경으로 인간 의지의 수직적 한계를 그린 ‘촐라체’, 역사적 시간을 통한 꿈의 수평적인 정한(情恨)을 그린 ‘고산자’ 그리고 “비로소 실존의 현실로 돌아와 존재의 내밀한 욕망과 그 근원을 감히 탐험하고 기록”한 ‘은교’를 ‘갈망(渴望)의 3부작’이라고 했다. 솔직히 나는 앞의 두 소설은 끝까지 읽어내지 못했다. 그러나 인터넷의 소설쓰기가 어떠해야 하는지를 정확하게 보여주기도 하는 ‘은교’는 정신없이 몰입해 단숨에 읽었다. 인간의 내면에 잠재한 열정과 연민, 달리 말하면 동전의 양면처럼 함께 딱 달라붙은 애증이라는 실체를 적나라하게 보여주는 이 소설에서 내 마음속 욕망의 양극단을 끔찍할 정도로 확인하면서.



    댓글 0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