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동아 406

2003.10.23

‘안 된다’ 펄펄 뛰다 이젠 ‘군침’

음반사, 온라인 음악서비스 벅스뮤직 맹공 … 무료 사이트 석권 MP3 파일 팔 속셈

  • 송홍근 기자 carrot@donga.com

    입력2003-10-15 14:55:00

  • 글자크기 설정 닫기
    ‘안 된다’ 펄펄 뛰다 이젠 ‘군침’

    음반사와의 소송으로 창사 이래 최대 위기에 처한 벅스는 법원 판결에도 불구하고 최신가요 서비스를 계속하고 있다.

    주부 우모씨(29·서울 노원구 중계동)는 매일 아침 인터넷에 접속해 음악을 듣는 것으로 하루 일과를 시작한다. 우씨가 일어나자마자 접속하는 사이트는 ‘벅스뮤직’(www. bugsmusic.co.kr). 그는 “서울지법(판사 송봉준)이 한국음원제작자협회가 요구한 온라인 음악서비스 업체인 벅스의 도메인 가압류 신청을 받아들였다”는 한 신문의 10월10일자 기사를 읽고 실소를 금치 못했다. 벅스뮤직이 문을 닫더라도 ‘소리바다’ ‘당나귀’ 등 공짜로 음악을 들을 수 있는 방법이 널려 있는데 음반사들이 시대 변화를 무시하고 ‘엉뚱한 짓’을 한다는 생각이 들었기 때문이다.

    회원 수 1400만명으로 한국 시장의 75%를 석권하고 있는, 사실상 세계 최대의 온라인 음악서비스 업체인 벅스는 창사 이래 최대 위기를 겪고 있다. 도메인 가압류뿐만 아니라 법원이 최근 두 차례나 SM엔터테인먼트, YBM서울음반 등이 제기한 음반복제 금지 가처분 신청을 받아들여 최신곡 1만여 곡의 온라인서비스를 중단해야 할 상황에 처해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사무실 곳곳에 ‘세상아 덤벼라, 벅스가 간다’는 구호를 붙여놓은 벅스 직원들은 “법원의 최종판결이 내려지지 않는 한 서비스를 중단하는 일은 절대 없다”고 강조했다.

    그렇다면 벅스뮤직에 잇따라 맹공을 퍼붓고 있는 음반사들의 속셈은 무엇일까. 음반 판매량 저하로 홍역을 앓고 있는 음반사들의 첫번째 타깃은 ‘소리바다’였다. 소리바다와의 소송에서 음반사들은 법적으로는 승리했지만 결과적으로는 패배했다. 소리바다는 현재 ‘합법적으로’ 서비스를 계속하고 있다. 중앙서버를 거치지 않고 개인들이 1대 1로 파일을 주고받는 방식으로 서비스를 전환한 것. 소리바다뿐만 아니라 ‘당나귀’ ‘고부기’ ‘구루구루’ 등 공짜로 음악을 내려받을 수 있는, 즉 1대 1 파일공유(P2P)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이트는 널려 있다.

    시장 점유율 50%→75%로 늘어나

    ‘안 된다’ 펄펄 뛰다 이젠 ‘군침’
    소리바다와의 소송을 통해 MP3 파일의 유통을 봉쇄하는 게 사실상 불가능하다는 것을 깨우친 음반사들이 MP3 파일 유통을 막기 위해 벅스뮤직을 공격했을 리는 없다. 소리바다와의 소송으로 망신을 당한 음반사들이 벅스뮤직을 물고늘어진 이유는 다른 데 있다. 기존의 음악사이트를 옥죄어 무료 음악사이트들이 만들어놓은 시장을 석권하겠다는 게 음반사들의 속셈이다. ‘MP3 파일이 밉다’며 징징대던 음반사들이 ‘MP3 파일을 직접 팔아 돈을 벌어보자’는 쪽으로 방향을 전환한 것이다.



    음악 사이트 ‘www.ilikepop.com’을 직접 운영하고 있는 SM엔터테인먼트를 비롯해 음반사들은 현재 경쟁적으로 인터넷 음악 시장에 교두보를 마련하고 있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기존의 업체들에게 음원 사용료를 받겠다는 것은 구실일 뿐 속셈은 직접 음악사이트를 운영하면서 MP3 파일을 돈을 받고 팔겠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벅스의 한 관계자는 “합의를 하고 음원 사용료를 지불할 용의는 있으나 순이익이 10억원 가량 나오는 회사에 연간 840억원대에 달하는 액수를 요구한 것은 문을 닫으라는 것과 다름없다”고 답답한 심경을 토로했다.

    그렇다면 MP3 파일을 직접 팔아 돈을 벌겠다는 음반사들의 계획은 성공할 수 있을까. 법원의 벅스뮤직에 대한 서비스 중단 결정 이후 겁을 먹은 다른 음악사이트들이 유료화하면서 오히려 벅스뮤직의 시장 점유율은 50%에서 75%로 늘어났다. 네티즌들이 공짜를 찾아 움직인 것이다. 벅스뮤직 외에도 P2P 서비스의 형태로 무료로 음악을 내려받을 수 있는 사이트는 부지기수다.

    따라서 MP3 파일의 무제한적 유통을 막을 수 없는 상황에서 기존 업체들이 만들어놓은 시장을 빼앗겠다는 음반사들의 발상은 자충수가 될 가능성이 높다. 또 소리바다의 사례에서 미뤄볼 수 있듯 음악사이트의 대체 프로그램은 나날이 진화한다. 살충제를 뿌릴수록 해충의 면역력은 더 강화되는 것처럼 말이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음반사들이 음악사이트에 적절한 수준의 음원 사용료를 요구하고 MP3 시장을 키우는 게 음반사에게 오히려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댓글 0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