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동아 1036

2016.05.04

특집 | 수면지옥, 잠을 許하라!

꿀잠에 연간 1조 원 펑펑

하루 수면 7시간 미만, 한국인 ‘잘 권리’에 눈떠…기능성 제품 오·남용 주의

  • 송화선 기자 spring@donga.com

    입력2016-05-03 09:41:27

  • 글자크기 설정 닫기
    ‘새도 자고 벌도 자고 도롱뇽도 자고 심지어 회충도 잔다.’

    과학저술가 캣 더프는 저서 ‘행복한 잠으로의 여행’에 이렇게 썼다. ‘이 행성에 존재하는’ 모든 생명체는 반드시 잠을 자야 한다는 얘기다. 우리도 체험적으로 알고 있다. 잠을 제대로 못 자면 피곤해 ‘살 수가 없다’는 걸 말이다.

    이는 과학적으로도 입증된다. 미국 로이터통신 기자 데이비드 랜들은 저서 ‘잠의 사생활’에서 제대로 잠을 이루지 못할 경우 ‘24시간이 지나기 전 혈압이 오르기 시작한다. 그리고 얼마 지나지 않아 대사에 이상이 생기기 시작해 탄수화물을 섭취하고 싶은 욕구가 아주 강렬해진다. 체온이 떨어지고 면역계도 약해진다. 수면박탈 상태가 너무 오래 지속되면 마음이 스스로에게 등을 돌려 마치 마약을 복용한 것처럼 환각과 환청을 경험한다. 그와 동시에 간단한 판단을 하거나 명백한 사실을 떠올리는 능력이 크게 떨어진다’고 했다.



    수면시간 짧을수록 자살 위험 높아져

    수면이 신체건강뿐 아니라 정서적 안정 유지에 관여하는 것을 보여주는 연구 결과도 있다. 박은철 연세대 보건대학원 교수와 유기봉 을지대 의료경영학과 교수 연구팀이 실시한 ‘청소년 수면 시간과 자살 행동의 상관성 분석’이다. 이 연구에 따르면 청소년의 수면시간이 짧을수록 자살 위험이 높아진다.



    수면부족은 뇌에 과음 못지않은 악영향도 미친다. 이번엔 1997년 호주 사우스오스트레일리아대 수면연구소 연구팀이 밝혀낸 내용이다. 연구진이 24시간 동안 잠을 자지 않은 사람의 뇌 기능을 조사한 결과 뇌 기능이 혈중알코올 농도 0.1과 같은 수준으로 떨어졌다. 운전할 경우 면허가 취소되는 수치다. 미국 심리학자 앤더스 에릭손 박사는 관찰 연구를 통해 어떤 분야에서든 최고 성과를 내는 사람은 평균 8시간 36분을 잔다고 공개했다. 에릭손 박사는 사람이 한 분야에서 성공하려면 약 10년간 1만 시간 정도의 훈련을 쌓아야 한다는 내용을 밝혀 세계적 명성을 얻은 학자다.

    문제는 이렇게 중요한 ‘잘 권리’가 현대 사회에서 심각하게 위협받고 있다는 점이다. 정해진 일정 안에 업무를 마무리해야 할 때, 중요한 시험을 앞두고 있을 때 사람들이 가장 쉽게 택하는 방법은 잠을 줄이는 것이다. 만성 수면부족 상태에 놓인 사람도 적잖다. 두 자녀를 키우는 금융권 직장인 박현정 씨는 “아침에 일어나면 가장 먼저 커피를 마신다. 몸에 커피가 들어가야 비로소 뇌가 작동하는 걸 느낄 수 있다”고 했다. 그는 이후에도 오전 근무 중 한 잔, 점심식사 후 한 잔, 오후에 한 잔, 퇴근 전 한 잔 등 습관적으로 최소 다섯 잔의 커피를 마신다. 커피를 줄여야겠다는 생각도 하지만, 한 번이라도 거르면 심각하게 졸음이 쏟아져 일을 할 수가 없을 지경이 된다고 한다. 서울 송파구에서 약국을 운영하는 한 약사는 “기능성드링크제와 카페인제제 등을 수시로 구매하는 ‘단골’이 적잖다. 한 분은 입에 약을 털어 넣으며 ‘하루 종일 잠만 잤으면 좋겠어요’ 하고 나가더라”고 했다.

    보건복지부와 질병관리본부가 올해 초 펴낸 ‘2014 국민건강통계’에 따르면 한국인의 평균 수면시간은 6.8시간이다. 하루 중 앉아서 보내는 시간(7.5시간)보다 짧고, 성인 권장 수면시간(7~9시간)에도 못 미친다. 한국은 각종 조사에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가운데 가장 일을 많이 하고, 잠을 적게 자는 나라로 꼽힌다.

    이렇게 생체리듬을 거슬러 잠을 통제한 대가는 수면장애다. 국민건강보험공단에 따르면 2010년 28만9500명이던 국내 수면장애 환자 수는 지난해 45만5900명으로 5년 사이 60% 가까이 늘었다. 수면장애에는 자고 싶어도 제대로 자지 못하는 불면증, 시도 때도 없이 잠이 쏟아지는 기면증, 수면 중 호흡장애 등이 포함된다. 조양제 연세대 신촌세브란스병원 수면건강센터 교수(신경과 전문의)는 “국제적으로 인정되는 수면장애 종류는 80가지가 넘는다. 과로와 불규칙한 생활 등의 영향으로 잠을 잘 자지 못하는 사람이 계속 늘어나는 추세”라고 밝혔다.

    이렇다 보니 산업계도 ‘자는 문제 해결’에 관심을 기울이는 모양새다. 숙면을 도와준다는 베개, 매트리스, 귀마개부터 눈 주위를 적절한 강도로 마사지해 잠이 잘 들게 한다는 안대, 긴장 완화용 백색소음을 들려주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멜라토닌 분비를 활성화하는 인공조명기 등 전자제품도 속속 출시되고 있다. 입 벌림 방지 밴드, 코골이 방지 클립 등 아이디어 상품과 수면 유도용 아로마 제품, 차 등도 인기다. 알약 형태의 건강보조식품과 호르몬제제 등도 널리 팔리고 있다. 시장조사 전문업체 야노경제연구소에 따르면 한국의 수면 관련 제품 시장은 연 1조~1조5000억 원 규모다.

    그러나 이런 제품이 잠을 잘 자는 데 도움이 되는지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다. 한 수면 전문가는 “전자제품의 경우 전자파나 청색광을 배출해 오히려 숙면에 방해가 될 수 있다. 수면의 질을 측정해 숙면에 도움을 준다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도 대부분 사람이 수면 중 얼마나 몸을 뒤척이는지 등을 파악하는 것으로, 수면장애를 근본적으로 개선하기에는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고혈압, 심부전, 뇌경색 유발도

    잠을 잘 자려고 임의로 약물을 복용하는 것은 더욱 주의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있다. 박한선 성안드레아병원 정신과장(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은 “수면장애를 일으키는 원인은 매우 다양하다. 이를 해결하지 않은 채 잠에 빠져들게 만드는 약을 반복해 먹으면 오히려 문제가 악화될 수 있다”고 했다. 성분이나 기전을 알 수 없는 약물뿐 아니라 정식 허가를 받은 약물 복용도 위험하기는 마찬가지라고 한다.

    박 과장에 따르면 수면제는 약물 특성과 작용 시간, 강도 등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뉜다. 그는 “약국에서 흔히 구할 수 있는 항히스타민계열 수면제는 잠은 잘 들게 하지만 수면의 질을 떨어뜨리는 단점이 있다. 벤조디아제핀계열 약물도 코골이나 피로감을 악화하는 경우가 있다. 또 내성이 잘 생겨 장기간 사용하기 어렵다. 최근 내성 발생 경향이 낮다는 이유로 선호되는 비벤조디아제핀계열 수면제 또한 100% 안전하다고 할 수는 없다”며 “수면제가 2차적 수면장애를 유발하는 경우가 있는 만큼, 잠을 자는 데 문제가 있는 것 같다고 느끼면 반드시 전문의의 도움을 받아 원인을 파악하고 해결 방법을 찾아야 한다”고 조언했다.

    박동선 숨이비인후과 수면클리닉 원장(국제수면 전문의)도 “수면장애가 계속되면 고혈압, 심부전, 뇌경색 등 각종 질환을 일으켜 삶의 질이 크게 떨어질 수 있다. 증상을 방치하거나 개인적으로 해결하려 하지 말고 병원을 찾는 게 좋다”고 조언했다.

    최근 의료계에서는 수면다원검사를 통해 수면장애 원인을 파악한 뒤 신경과, 이비인후과, 정신건강의학과 등 다양한 분야 전문의가 협진해 해결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50쪽 기사 참조). 이제는 어느 병원에 가든 의사가 문진하며 “잠은 잘 주무십니까”라고 물을 만큼 수면에 대한 의료계 전반의 관심도 높아진 상태다.

    물론 중요한 건 이런 얘기를 들을 만큼 건강에 문제가 생기기 전 알아서 잘 자는 것이다. 미국 뇌과학자 마커스 라이클 박사는 자기공명영상(MRI) 촬영을 통해 인간 뇌의 상당 부분이 정신적으로 아무 활동도 하지 않을 때, 즉 잠을 자거나 멍하니 앉아 있는 시간에 오히려 활성화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이는 ‘인간 뇌는 많이 사용할수록 개발된다’는 기존 가설을 뒤집는 것이다. 이제 많은 과학자는 인간이 뇌에 충분한 휴식을 줄 때 영어단어 암기 같은 서술 기억(declarative memory)뿐 아니라, 피아노 연주법 숙달 같은 절차기억(procedural memory)도 더욱 강화된다는 사실에 동의한다. 다음 날 중요한 시험이나 연주가 있다면 밤새워 공부하고 연습하는 것보다 한 시간 더 푹 자는 것이 오히려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얘기다. 결국, 잠이 보약이다. 건강을 지키고, 행복한 삶을 유지하고, 심지어 더 똑똑해지기 위해 우리는 오늘 더 많이 자야 한다.





    댓글 0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