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직위원장 인선과 관련한 주무부처는 문화체육관광부(이하 문광부). 문광부는 현재 대통령실과 긴밀히 의논하면서 제2차관 산하 체육국을 중심으로 올림픽조직위원회(OOC·이하 조직위) 구성을 위한 실무 작업을 벌이고 있다. 문광부가 실무부처라곤 하지만, 결국 조직위원장 자리는 대통령이 최종 낙점할 것이라는 게 일반적 관측이다.
평창 유치 확정 직후 조직위원장 후보로 거론된 사람은 3명이었다. 평창동계올림픽유치위원장을 맡아 대회 유치에 결정적 공을 세운 한진그룹 조양호 회장과 대한체육회 박용성 회장, 김진선 특임대사가 그 주인공이다. 조직위원장을 향한 이들 세 후보의 신경전은 언론 보도 등을 통해 간접적으로 드러났다.
조양호 평창유치위원장.(왼쪽) 박용성 대한체육회장.(오른쪽)
조 유치위원장은 유치 성공 이후 가진 ‘동아일보’와의 인터뷰에서 “조직위원장을 맡고 싶지 않느냐”는 질문에 “개인적인 욕심보다 국가적 신뢰를 지켜야 한다. 주위에서 인정해준다면 영광”이라고 대답했다. 그러자 대한체육회 차원에서도 박 회장을 조직위원장 후보로 띄우려는 움직임이 나타났다. 영자신문 ‘코리아타임스’는 7월 14일자 보도에서 “올림픽조직위원장은 국제올림픽위원회(IOC)와 수시로 접촉해야 하는 자리다. 그런 점에서 국가올림픽위원장을 겸하는 대한체육회장이 가장 적합한 인물이 아니겠느냐”는 대한체육회 관계자의 언급을 전했다.
언론을 통한 신경전이 뜨거워지자, 실무를 맡은 문광부는 조직위원장 인선과 관련해 ‘함구령’을 내렸다. 문광부 박선규 2차관은 “실무 차원에서 검토하는 조직위원장 후보자의 이름이 자꾸 거론되면 불필요한 갈등을 부추길 수 있기 때문에 입단속을 시켰다”고 말했다.
그러나 8월 하순부터 강원도와 문광부 등에서 또다시 조직위원장 후보자 이름을 거론하기 시작했다. 기존 3명 외에도 이명박 정부에서 초대 국무총리를 지낸 한승수 전 총리 이름이 새로이 등장했다. 한 전 총리는 강원도 출신으로 주미대사와 외교통상부 장관, 국무총리를 역임했으며 2005년에는 2014평창동계올림픽유치위원장을 지내기도 했다.
88서울올림픽 초대 조직위원장을 지낸 김용식 위원장의 이력(주미대사, 외무부 장관 등)과 한 전 총리가 걸어온 길이 유사하다는 점을 강점으로 거론하는 사람도 많다. 정부 한 관계자는 “효율적인 대회 준비를 위해 중량감 있는 인물이 조직위원장을 맡아야 한다는 논리가 힘을 얻으면서 최근 한 전 총리 이름을 거론하는 것 같다”며 분위기를 전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조직위원장 인선은 ‘총리’를 임명하는 것 이상으로 고려해야 할 요소가 많다”면서 “특히 IOC와의 소통도 중요하기 때문에 국제무대에서 얼마만큼 인정받을 수 있느냐도 고려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국내에서 여러 부처의 의견을 조율해 효과적인 대회 준비를 하자면 관(官)의 생리를 잘 아는 인사가 유리할 수 있다”고 말했다.
한승수 전 국무총리.(왼쪽) 김진선 평창유치위 특임대사.(오른쪽)
그러나 아직 한 전 총리 쪽으로 조직위원장 인선이 기울었다고 보긴 어렵다. 정부의 또 다른 관계자는 “최광식 문광부 장관 후보자의 사례를 보라”면서 “8월 30일 개각 발표 때까지 언론에서 이름 한 번 거론하지 않았지만 결국 장관에 내정되지 않았나. 조직위원장 인선을 둘러싸고 이런저런 얘기가 많이 나오지만, 실제론 전혀 다른 인사가 최종 낙점을 받을 수 있다. 또 이름이 자주 거론된다고 유리한 것도 아니다”라고 말했다.
조직위 구성 실무를 책임지는 박선규 2차관은 “지금까지 조직위원장 후보로 여러 명의 이름을 자천타천으로 거론하지만, 정부 차원에서 본격적으로 검토 단계에 들어간 것은 아니다”라고 선을 그었다. 또한 “대구세계육상선수권대회 이후 원점에서 다시 논의를 시작할 예정”이라면서 “여러 사람에게 ‘조직위원장 적임자가 있다면 누구든 좋으니 추천해달라’고 요청했다”고 말했다.
88서울올림픽 이후 30년 만에 다시 한국에서 여는 올림픽대회인 평창동계올림픽을 책임지고 준비해나갈 초대 조직위원장에 과연 누가 임명될까. 정부는 조직위 구성을 늦어도 9월 말까지 마칠 예정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