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동아 782

..

넌 TV 보니? 난 스마트 TV와 논다

똑똑한 ‘스마트 TV’는 신세계… 다양한 콘텐츠 확보가 성공 관건

  • 손영일 기자 scud2007@donga.com www.facebook.com/scud2007

    입력2011-04-11 09:17:00

  • 글자크기 설정 닫기
    넌 TV 보니? 난 스마트 TV와 논다
    “오늘은 김일 선수의 경기가 있는 날입니다. 밭일 마치신 분들은 모두 늦지 말고 저녁 7시까지 방앗간 방씨네로 오시길 바랍니다.”

    지금이야 프로 야구와 축구가 최고의 인기 스포츠지만, 1970년대만 해도 자타공인 최고의 인기 스포츠는 프로레슬링이었다. 프로레슬러 김일 선수가 일본 선수를 시원한 박치기로 물리치는 장면에서는 남녀노소 가릴 것 없이 열광했다.

    당시 이들이 한시도 눈을 떼지 않고 바라본 것은 마을에 한두 대 있을까 말까 한 흑백 TV였다. 하지만 자칫 중계시간을 놓치기라도 하면, 그것으로 끝이었다. 김일 선수의 박치기가 아무리 머릿속에 아른거려도 돌이킬 수 없었다. TV는 방송국에서 송출한 영상을 받아 단순히 전달하기만 하는 ‘바보상자’에 지나지 않았기 때문이다.

    바보상자에서 ‘즐기는 TV’로

    2011년 4월 현재 프로 스포츠 경기를 보려고 마을 주민 전체가 한곳에 모이지는 않는다. 월드컵 거리응원을 위해 서울시청 앞 광장에 모여 열광하는 것은 예외지만 말이다. 사람들은 대부분 개인 공간에서 가장 편안한 자세로 TV를 시청한다. 이제 흑백 TV는 영화에서나 등장할 뿐이다. 오늘날 TV는 화면에 등장한 인물의 땀구멍까지 그대로 보일 만큼 선명한 화질을 자랑한다.



    또한 1970년대처럼 중계시간을 놓쳤다고 그 경기를 영영 못 보는 것도 아니다. 프로야구 롯데자이언츠 마니아 이동준(30) 씨는 롯데 경기는 가능한 한 모두 챙겨 본다. 간혹 일 때문에 경기를 놓치면 인터넷을 통해서라도 반드시 본다. 하지만 컴퓨터 앞에 앉아 화면 가까이 몸을 숙여서 보는 것(lean forward)이 여간 불편하지 않았다. 게다가 화질도 좋지 않았다.

    이런 이씨에게 스마트 TV는 새로운 세상을 안겨줬다. 파자마나 속옷 차림으로 드러누운 채 TV를 보는 기존의 시청 형태(lean back)를 유지하면서도, 인터넷에 기반을 둔 다양한 서비스를 즐길 수 있기 때문이다. 흔히 인터넷 기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TV를 ‘커넥티드 TV’라고 한다. 스마트 TV 역시 인터넷 IP망을 연결한 커넥티드 TV의 일종으로, 스마트폰 운영체제를 탑재해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이하 앱)도 이용할 수 있다. 한마디로 스마트 TV는 가정용 TV에 인터넷과 스마트폰 기능까지 더한 ‘똑똑한 TV’다.

    이제는 TV에 붙여진 ‘바보상자’라는 달갑지 않은 별칭도 바꿔야 할지 모른다. 바보상자는 TV의 부정적 영향 때문에 생긴 별칭으로, 시청자가 방송 콘텐츠를 수동적으로 받아들인다는 점을 전제로 한 것이다. 하지만 스마트 TV 시대 사람들은 수동적인 시청에 만족하지 않는다. 자신이 선택한 콘텐츠를 TV에서 즐기려는 시청자의 욕구는 그 어느 때보다 강하다.

    이를 반영하듯 스마트 TV에서는 다양한 콘텐츠를 필요할 때마다 빼내서 사용하는 ‘즐기는 TV’가 가능하다. 특히 개별 앱을 통해 군더더기 정보를 없애고, 좋아하는 콘텐츠에 한 번에 접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롯데자이언츠 팬이라면 롯데자이언츠 앱을 선택해 들어가서 롯데의 주요 경기, 하이라이트 영상, 선수 인터뷰를 골라볼 수 있는 것이다.

    넌 TV 보니? 난 스마트 TV와 논다

    1970년대 최고 인기 스포츠 스타였던 ‘박치기 왕’ 고(故) 김일 선수의 챔피언 등극 모습.

    더군다나 스마트 TV는 방송국만의 일방적인 커뮤니케이션 수단이 아니다. 방송과 통신이 융합되고 개인컴퓨터(PC), 휴대전화, 디지털 카메라, 캠코더 등 다양한 기기와 연결되면서 쌍방향 커뮤니케이션 수단으로 각광받고 있다. 시청자는 스마트 TV를 보면서 친구와 트위터나 페이스북을 하고, 드라마 ‘시크릿가든’에서 현빈이 입었던 옷을 실시간으로 검색해 홈쇼핑에서 구입할 수 있다.

    스마트 TV의 부상은 기존 TV 시장의 판도마저 뿌리째 흔들고 있다. 그동안 TV 제조사들은 ‘흑백에서 컬러’‘SD(디지털 표준)에서 HD(고선명)’처럼 화질이나 디자인 등 하드웨어 중심의 경쟁을 벌여왔다. 그러다 보니 ‘더 크고 더 깨끗하게’나오는 것에 사활을 걸었다. 하지만 ‘보는 TV’에서 ‘즐기는 TV’로 패러다임이 바뀌기 시작하면서, 하드웨어가 아닌 인터넷 서비스와 앱 같은 소프트웨어로 경쟁하는 체제로 탈바꿈했다.

    스마트 TV 시장의 성장 여력은 무궁무진하다. 스마트 TV를 포함한 커넥티드 TV 시장은 2010년을 기점으로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시장조사기관 ‘디스플레이서치(DisplaySearch)’는 전 세계 커넥티드 TV 시장 규모가 2009년 1517만여 대에서 2014년 1억2270만여 대로 5년 만에 10배가량 성장할 것으로 내다봤다(표 1). 삼성전자 관계자는 “2011년 한 해에만 작년보다 2000만여 대가 늘어난 6438만여 대의 시장 규모를 형성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그 결과 향후 전체 TV 시장도 스마트 TV 위주로 재편될 것으로 보인다. 2010년 KT경제경영연구소는 2013년이면 국내에서 판매되는 전체 262만 대의 TV 가운데 스마트 TV가 131만 대를 차지해 국내 TV 시장의 절반 정도가 될 것으로 내다봤다(표 2).

    시장 절반은 스마트 TV

    넌 TV 보니? 난 스마트 TV와 논다

    ‘보는 TV’에서 ‘즐기는 TV’로 패러다임이 바뀌면서 전 세계 TV 시장도 스마트 TV 위주로 재편될 것으로 예상된다.

    ‘황금 알을 낳는 거위’를 기업이 그냥 놔둘 리 없다. 스마트 TV 시장의 주도권을 잡으려는 글로벌 TV 전쟁도 한층 가열되고 있다. 삼성전자와 LG전자 등 전통적인 TV 제조업체는 말할 것도 없고, 스마트폰으로 휴대전화 시장을 강타한 애플과 인터넷 서비스업의 새로운 강자 구글 등 플랫폼 업체까지 뛰어들어 치열한 경쟁을 벌인다. 삼성전자와 LG전자는 그동안 TV 시장에서 쌓아온 제조 역량에서 비교우위를 점하고 있다. 반면 애플과 구글은 각각 앱스토어 생태계와 안드로이드라는 개방형 플랫폼 및 검색서비스를 내세워 스마트 TV 시대의 패자 자리를 노린다.

    승부는 스마트 TV 제조사들이 얼마나 다양한 콘텐츠를 확보하느냐에 따라 갈릴 것으로 보인다. 미국과 프랑스에서 실시한 소비자 조사에 따르면, 영화 같은 미디어 콘텐츠에 지출을 많이 하는 소비자일수록 방송 서비스에도 지출을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디어 콘텐츠를 많이 시청할수록 그에 대한 요구도 다양하고 강하다는 방증이다.

    이는 커넥티드 TV의 일종인 IPTV 실패 사례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과거 IPTV 사업자는 이구동성으로 차별화된 콘텐츠를 선보일 것이라고 했지만 SK브로드밴드, KT쿡, LG유플러스 등 모든 사업자가 다른 유료 방송과의 차별화에 어려움을 겪었다. 서울과학기술대 매체공학과 최성진 교수는 “스마트 TV를 구현하는 것이 기술적으로 어렵진 않지만 실질적으로 필요한 콘텐츠는 턱없이 부족한 만큼, 차별화된 콘텐츠를 얼마나 확보하느냐가 성공의 관건”이라고 지적했다.

    이런 상황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경우, 지난해 기준 5년 연속 전 세계 TV 시장에서 1위를 차지한 삼성전자는 경쟁사들에 비해 스마트 TV 시장에서도 한발 앞선 것으로 평가받는다. 세계 최초로 TV용 앱을 개발한 뒤 자체 앱스토어인 ‘삼성 앱스 TV’(http://tv.samsungapps.com)를 통해 비디오, 게임, 오락, 스포츠, 라이프스타일, 인포메이션 등 원하는 콘텐츠를 소비자가 직접 선택해 즐길 수 있도록 했기 때문이다(22쪽 참조).

    다양한 콘텐츠를 확보하는 것 외에도 네트워크 용량, 콘텐츠 보안, 시청자의 시청 행태 등 많은 변수가 스마트 TV 앞에 숙제로 놓여 있다. 결코 만만하지 않은 숙제지만, 그렇다고 스마트 TV라는 대세를 거스를 수는 없을 것으로 보인다. 똑똑해진 시청자를 따라잡으려는 바보상자의 변신은 현재진행형이다.

    넌 TV 보니? 난 스마트 TV와 논다




    댓글 0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