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동아 592

..

‘아리랑 목동’에서 ‘오 필승 코리아’까지

음악성보다 대중적 접근성이 인기 좌우 … 수많은 응원가 ‘반짝’ 후 사라져

  • 축구 칼럼니스트 prague@naver.com

    입력2007-06-27 18:37:00

  • 글자크기 설정 닫기
    ‘아리랑 목동’에서 ‘오 필승 코리아’까지

    리버풀의 상징은 세기의 라이벌 맨체스터 유나이티드와 마찬가지로 붉은색이다.

    록그룹 ‘백두산’의 드러머 출신으로 대지를 뒤흔드는 장대한 타악의 세계에 몰입해온 최소리 씨는 2006년 봄, 월드컵 직전에 ‘아리랑 파티’를 발표하면서 이 곡이 ‘진정한’ 응원가가 되길 바랐다. 당시 거의 모든 방송, 기업, 가수들이 저마다 ‘공식’ 응원가를 급조하던 터라 그는 몇 년 동안 공들인 웅혼한 타악이 응원가가 되길 바랐던 것이다. 그러나 그의 음악은 널리 알려지지 못했다. 아울러 당시 급조된 수많은 ‘공식’ 응원가들도 한순간 반짝했다 사라졌다.

    원래 응원가란 그렇게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다. 2002년 한일월드컵 때 열정적으로 불렸던 ‘오 필승 코리아’를 대체할 만한 노래나 구호가 아직까지도 없다. 왜? ‘오 필승 코리아’가 음악적으로 훨씬 뛰어나서? 아니다. 오직 한 가지, 대중이 마음에서 우러나와 자연스럽게, 그리고 뜨겁게 부른 것이냐 아니냐 하는 엄연한 차이만 있을 뿐이다.

    야구장에선 ‘부산 갈매기’ 불후의 응원 명곡

    한국 스포츠 역사에서 응원이란 70년대 ‘아리랑 목동’과 ‘3·3·7 박수’를 시작으로, 3군 사관학교 체육대회의 일사분란한 군가를 넘어 90년대 들어서야 하나의 일상 문화로 자리잡았다. 본부석의 귀빈에게 보여주기 위한 관제동원식 응원이 90년대의 문화 자율성과 함께 사라진 것이다. 하지만 ‘응원가’만큼은 제자리를 맴돌았다. ‘이기자, 이기자, 이겨야 한다’로 유명한 ‘대한건아 노래’식의 군사 문화적 틀을 벗어나지 못했던 것이다.

    극단적인 예지만, 맨체스터 유나이티드(이하 맨유) 팬들이 박지성을 위해 부른 노래의 가사가 문제 된 적이 있다. ‘네가 어디에 있든 간에 너희 나라에서는 개고기를 먹지’라는 내용 때문이었다. 하지만 민족주의적 비난은 일어나지 않았다. 박지성을 응원한다는 점에서 맨유 팬이나 국내 팬이나 심정은 다르지 않을 것이며, 특히 이어지는 가사가 일종의 유럽식 응원 문화의 한 단면을 보여줬기 때문이다. 문제의 응원가는 ‘하지만 시청에서 쥐를 잡아먹는 리버풀 놈들보다는 낫지’라고 이어진다. 지금은 첼시와 아스날까지 명문 대결에 합류했지만, 잉글랜드 축구 역사는 역시 맨유와 리버풀의 라이벌전이 핵심. 그래서 양 팀은 서로 선의와 악의가 뒤섞인 응원가를 쏟아낸다. ‘세상의 어떤 놈과도 잘 수 있지만 너희들과는 결코 안 해’ 이런 식이다.



    물론 최고 응원가로 꼽히는 리버풀 서포터스의 ‘You will never walk alone(그대 결코 혼자 걷지 않으리)’처럼 아름다운 곡도 많다. ‘폭풍을 헤쳐나갈 때 고개를 높이 들라. 어둠을 두려워 말라. 폭풍의 끝에는 황금빛 하늘과 종달새의 달콤한 노래가 있을지니 그대 결코 혼자 걷지 않으리.’

    그렇다면 국내 스포츠 현장에서 가장 아름다운 응원가는? 아무래도 아직은 축구보다 야구 쪽이다. 70년대 고향을 등지고 서울로 올라온 사람들이 자신의 혈연 정체성을 가장 분명하게 확인할 수 있었던 매개가 바로 고교야구다. 그 열기를 고스란히 이어받은 프로야구의 강고한 지역 정체성을 프로축구는 따라잡지 못하고 있다. 그래서 다음과 같은 열렬한 응원가는 야구장에서만 울려퍼진다.

    ‘지금은 그 어디서 내 생각 잊었는가. 꽃처럼 어여쁜 그 이름도 고왔던 순이, 순이야.’ 바로 부산의 광팬, 롯데 자이언츠의 영원한 팬들이 소리 높여 부르는 잔인할 정도로 아름다운 응원가 ‘부산 갈매기’다. ‘파도치는 부둣가에 지나간 일들이 가슴에 남았는데 부산 갈매기, 부산 갈매기. 너는 정녕 나를 잊었나.’



    댓글 0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