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5학년도 한양대 정시논술 문제는 익숙한 ‘아이템’에서 출제됐다. 대한민국 고등학생들 중 배우 배용준과 그에 열광하는 일본인들에 대해 모르는 이가 없을 터이기 때문. 그러나 아이템이 쉽다고 문제까지 쉬운 건 아니다. 평소 배용준의 외모와 드라마 ‘겨울연가’, 남이섬에서 눈물 흘리는 일본 아줌마들에게만 흥미를 느낀 수험생이라면, ‘비판적 분석’이란 전제조건 때문에 용사마를 외계인보다 더 낯선 존재로 느꼈을지도 모른다.
“용사마 현상은 우리 사회가 왜곡된 민족주의적 자긍심을 갖게 했습니다. 일본의 중년여성들이 용사마에 열광했다고 해서 그것이 일본 전체가 한국 문화의 우수성을 인정한 것도 아니고, 우리나라 문화가 일본의 그것보다 발전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도 아닌데 말이죠. 또한 일본 중년주부들은 전후 세대로서 제대로 사랑받지 못하고 산 삶을 ‘겨울연가’ 식의 순수한 사랑에서 보상받으려 했습니다. 이것이 진정 그들 삶의 개선을 가져오지 않았지만요. 이렇듯 대중문화는 현대인의 행동과 사고를 지배합니다. 비판적으로 읽지 않으면 역기능에 휘말려 현대인은 ‘우중(愚衆)’으로 전락할 수 있습니다. 용사마는 하나의 예일 뿐입니다. 이런 식으로 문화 현상을 ‘비판적’으로 읽어내도록 요구한 겁니다.”
‘맞고 틀리고’ 떠나 ‘나는 이렇게 생각한다’를 글로 보여주는 것
직접 채점에 참여한 한양대 이도흠 교수(국문과)의 말이다. 그러나 이 교수는 “이러한 ‘비판적 사고’에 접근한 수험생은 전체의 10%에 지나지 않았다”고 말했다. 대다수 수험생들은 비판을 시도하긴 했는데, 자신이 무엇을 비판하는지도 잘 모르는 채 원고지를 꾸역꾸역 채워놓았다. 이 교수는 “사고가 제대로 정립되지 못한 결과”라고 평했다.
그렇다면 대학교수들이 ‘잘 쓴 글’이라고 꼽는 논술답안은 어떤 것일까. 서울대, 연세대, 고려대, 서강대, 한양대 등 주요 대학에서 논술시험 출제 및 채점에 관여한 교수들을 인터뷰했다.
교수들은 논술답안을 세 가지로 나눴다. ‘꽝논술’과 ‘명논술’, 그리고 ‘학원논술’. 꽝논술은 논술 문제의 핵심도 파악하지 못하고 내용도 문장도 엉망인 답안을 말한다. 명논술의 정의는 간단하다. ‘자신만의 창의적인 생각을 명료하고 논리적으로 서술한 글’이 그것이다.
사실 많은 대학의 논술 문제는 전혀 새롭지 않은 문제들이다. 2005학년도 서울대 정시논술 문제는 ‘사물에 대한 올바른 인식에 어떻게 도달할 수 있는지를 논술하시오’였다. 서강대는 ‘개인의 실존과 대중의 익명성에 관한 관점들이 나타난 제시문을 바탕으로 오늘날 한국 사회의 문제점을 논술하라’고 주문했다. 인식론, 실존, 현대사회의 익명성 등은 철학에서 아주 오랫동안 논의된 주제다. 논술 참고서라면 충분히 다루고도 남을 ‘평이한’ 주제다. 관건은 누구나 잘 알고 있는 주제에 대해 자신만의 생각을 독창적으로, 명료하게, 창의적으로 표현해내느냐다. 서울대 인문대학의 김모 교수는 “논술 교과서에서 읽고 외운 듯한 글을 써내기 때문에 비슷한 답안이 많다”고 지적하면서 “대학이 원하는 것은 정답이 아니라 자신만의 독자적인 생각이라는 걸 명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서강대 김영수 입학처장, 고려대 이남호 교수, 한양대 이도흠 교수 (왼쪽부터).
2005년 1월에 치러진 고려대 정시모집 논술고사 현장(왼쪽). 이화여대 입시 논술설명회에 참석한 학생들이 진지한 표정으로 경청하고 있다.
첫째, 글의 구조가 정형화됐다는 것이다. 서강대 김영수 입학처장(사회학)은 “기승전결로 나눠 쓰고, 본문에는 주어진 지문의 일부를 인용하고, 속담이나 사자성어로 마무리하는 정형화된 ‘프레임’이 자주 보인다”고 지적했다. 이런 전개는 자신만의 글쓰기 특색을 보여줄 수 없기 때문에 식상하다는 인상을 준다.
둘째, 주제와 맞지 않는 엉뚱한 사례를 억지로 끼워 맞추는 것이다. 2005학년도 정시논술 채점에 참여한 연세대 신형기 교수(국문과)는 “미리 준비한 레고 조각을 가지고 와서 맥락에 맞지 않는데도 억지로 끼워 맞추는 경우를 자주 본다”고 말했다. 환경, 북핵, 인간소외, 노령화, 포스트모더니즘 등 각각의 ‘이슈’에서 써먹을 수 있는 이야기를 한 단락씩 미리 준비한 다음 비슷한 이슈가 출제되면 어떻게든 써먹기 위해 견강부회(牽强附會)라 하더라도 글 속에 ‘레고 조각’을 우겨넣는다는 것. 신 교수는 “이는 글의 개성적 관점이 상실되는 원인이자, 전체적인 논지 전개를 흩뜨리는 결과를 가져온다”고 지적했다.
주제 벗어난 사례·유식한 척 어려운 말 인용 땐 ‘감점’
이렇게 미리 준비한 레고 조각은 여러 학생들에게서 똑같이 반복되기도 해 채점하는 교수들을 ‘짜증나게’ 만든다. 2005학년도 고려대 정시논술 출제위원장이었던 이남호 교수(국문과)는 “2005학년도 논술시험에서는 잘 알려지지도 않은 나폴레옹이 한 말을 인용한 논술 시험지가 여러 장 발견됐다. 아무래도 논술학원에서 배웠거나 참고서를 보고 외운 것 같다”며 “남들과 똑같은 표현을 쓰면 자기 생각이 없다고 판단해 감점을 한다”고 말했다.
셋째, 자신도 충분히 이해하지 못한 구절이나 사례를 가져다 쓰는 것이다. 신형기 교수는 “어떤 학생이 ‘장 보드리야르가 말하기를 ~라고 했다’고 썼는데 가만 읽어보니까 자신도 잘 이해하지 못하면서 쓴 티가 났다”면서 “그저 유식하게 보이면 점수를 잘 받을 것처럼 오해하는데, 오히려 역효과를 불러온다”고 충고했다.
군더더기 문장은 글쓰기 실력과 사고력 부족 드러내는 일
대학교수들이 말하는 ‘감점을 피하는 비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지시문과 제시문을 철저하게 따르라는 것. 논술시험에서 기본적으로 평가하는 것은 주어진 제시문을 얼마나 깊이 있게 읽고 지시문을 얼마나 정확하게 따르느냐다. 2006학년도 논술문제 출제위원장을 맡은 고려대 A 교수는 “지시문과 무관한 서술을 하는 경우를 종종 보는데, 이는 지시한 바를 이해하지 못했거나, 잊었거나, 논리적 정합성이 미흡하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말의 낭비’ 또한 줄여야 한다. ‘지금부터 이러한 문제에 대한 원인에 대해 생각해보기로 하겠다’는 등의 쓸데없는 문장을 줄이라는 것이다. 이남호 교수는 “곧바로 원인에 대해 서술하면 된다. 이런 문장은 군더더기에 불과하다”며 “원고지 3분의 1을 이런 ‘낭비성 문장’으로 채우는 수험생도 있는데, 이는 자신의 글쓰기 실력과 사고력이 부족하다는 걸 드러내는 일이다”고 말했다. 이 교수는 또 “별 내용도 없는데 몇 번 읽어도 무슨 내용인지 파악이 안 되는 ‘안 읽히는 논술’이 있다”고 지적했다. 이 또한 사고의 정리가 잘 되어 있지 않아 나타나는 현상이다.
대학 입시전형에서 논술 비중이 강화되는 추세임은 더 이상 의심할 나위가 없다. 수험생들 간의 변별력을 높이기 위한 목적도 있지만 그게 전부는 아니다. 21세기의 대학교육에서 ‘글쓰기’는 핵심 자질이다. 때문에 21세기의 대학은 ‘글 잘 쓰는’ 인재를 선호한다. 최근 각 대학들이 ‘글쓰기 클리닉’ 과정을 운영하는 것도 이러한 시대적 요구 때문이다. 서울대 글쓰기교실의 김태환 선임연구원은 “지식의 양적 팽창이 날로 심화되면서 이제는 엄청난 양의 지식을 자신의 것으로 소화해 새로운 지식을 창출하는 인재가 필요한 시대”라면서 “지식의 소화는 독서력이, 새로운 지식의 창조는 글쓰기 능력이 담보한다”고 강조했다. 단순히 논술시험을 잘 보기 위한 목적이 아니라, 21세기가 요구하는 지성인이 되기 위해서 글쓰기 실력을 함양할 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