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동아 458

..

모든 작품 깊은 역사성 … 내면적 풍경 투영 ‘영상 시인’

  • 이명희/ 성균관대 영화과 강사 mhimages@hotmail.com

    입력2004-10-29 17:53:00

  • 글자크기 설정 닫기
    모든 작품 깊은 역사성 … 내면적 풍경 투영 ‘영상 시인’
    “시간은 끊을 수 없다. 과거와 현재와 미래는 3차원이 아니라 1차원이다. 동양의 시간관처럼 그리스에도 시적인 시간관이 있었다. ‘시간은 바닷가에서 끊임없이 조약돌을 갖고 노는 아이와 같다’고 한 고대 철학자 헤라클레이토스처럼 내게 시간은 시이기도 하다. 시간은 시작과 끝이 없지만, 기억은 유령처럼 현재를 반복하여 드나들고, 인간에게 기억은 삶의 시작이다.”(테오 앙겔로풀로스 감독)

    1970년 유럽에선 유명한 두 편의 영화 ‘범죄의 재구성’이 만들어졌다. 루마니아의 핀틸리에 감독과 그리스의 앙겔로풀로스 감독은 같은 제목의 데뷔작으로 영화사에 이름을 남긴다.

    그 후 앙겔로풀로스는 ‘1936년의 나날’(1972), ‘유랑극단’(75), ‘사냥꾼들’(77), ‘알렉산더 대왕’(80), ‘시테라섬으로의 여행’(84), ‘비키퍼’(86)와 ‘안개 속의 풍경’(88), ‘학의 멈춰진 발걸음’(90), ‘율리시즈의 시선’(95) 등을 만들었다. 영화 대부분이 칸과 베니스 영화제에서 대상·심사위원 대상·감독상·각본상 등을 수상함으로써 예술성을 인정받았고, 거장 감독의 반열에 올라섰다.

    그의 전 작품이 회고전을 통해 우리나라에서 이제야 소개돼 애석한데 서울에서 10월22일까지 단 일주일 동안만 소개된다는 건 더욱 유감스러웠다. 그러나 어지럽고 폭발적인 영상과 재미가 점령한 영화가에도 예술과 문화의 가치를 옹호하는 극장이 있어서 다행이기도 하다. 영화의 신화가 된 테오 앙겔로풀로스는 이에 맞춰 서울을 찾았고 광화문 씨네큐브에서 관객과의 대화 시간을 마련했다. 감독의 대답마다 박수 소리가 끊이지 않았다.

    테오 앙겔로풀로스의 모든 영화는 유장하게 흐르는 강물 같은 시간을 보여준다. 영화 ‘비키퍼’(10월27일 개봉)에서도, ‘영원과 하루’(11월19일 개봉, 아래 사진)에서도 ‘흐르는 강물에 두 번 발을 담글 수 없다’는 서글픈 진리를 느낄 수 있다. 기억의 시간을 통해 하루 동안 영원을 가로지르는 시인의 이야기인 ‘영원과 하루’는 지나가버린 인생의 엘레지이며, 엘레니 카라인드루의 음악을 잊을 수 없게 한다. 98년 칸영화제 황금종려상 수상작이다.



    스토리 구조가 분명한 ‘비키퍼’는 늙은 양봉꾼과 소녀 사이의 사랑 이야기를 대사 없이 관조적 영상으로 그려낸 작품으로 감독이 천착해온 시간의 상징성을 느낄 수 있다. 조각난 과거를 살고 있는 노년의 주인공 스피로와 현재를 살고 있는 소녀. 그들의 결합은 추문이지만, 결별은 파국과 정체성의 부정을 상징한다.

    나치 파시즘의 점령과 민란과 독재로 점철된 역사를 살아온 감독의 모든 작품에는 깊은 역사성이 반영되어 있다. 그의 역사는 한국의 그것과 몹시 닮았다. 98년 그리스에서 만난 감독은 필자에게 이런 말을 들려주었다.

    “80년 도쿄에서 ‘알렉산더 대왕’을 소개할 때였다. 그때 히로시마 박물관에 들러 원폭의 재난과 끔찍한 참상을 찍은 사진을 보고 있을 때, 한 중년남자가 눈물을 흘리며 내게 다가왔다. 그는 자신이 한국인이라고 소개하고 점령과 민족 내전과 독재가 그려져 있는 내 영화를 보았다고 했다. 그러면서 ‘당신의 영화는 바로 나의 이야기’라고 말했다. 나는 무척 감동했다. 한국은 멀리 있지만 자신의 이야기라고 말하는 사람이 있다는 점 때문이다.”

    그러나 그는 역사가로서가 아니라 기억, 희망과 환멸을 통해 예술가로서 역사를 그린다. ‘유랑극단’과 ‘시테라섬으로의 여행’은 역사의 고단한 오디세이다. 화면의 치밀한 구도, 롱테이크(한 장면을 끊지 않고 길게 찍는 촬영방식)로 독특한 연출 스타일을 자랑하는 그의 모든 영화에 등장하는 풍경의 요소들, 안개 겨울 눈 비 바다 등은 역사를 여행하는 주인공을 둘러싼 세상의 모습이며 분위기다. 내면적 풍경을 투영하는 이런 풍경은 감독만의 독특한 미학이기도 하다.



    영화의 창

    댓글 0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