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DA 업체들이 이동통신사의 신규가입자에 대한 보조금 지급 중단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PDA(개인휴대 단말기) 업체들이 고사 위기에 처했다. 재고는 쌓여가고 수요는 없다. 좀처럼 ‘뜰’ 기미가 보이지 않는 PDA 시장에서 재고를 쌓아놓고 악전고투하고 있는 PDA 생산업체들은 요즈음 하루하루가 살얼음판을 걷는 듯하다. “이러다 줄도산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까지 나올 정도다. S사의 한 임원은 “사업을 접는 것을 고려하는 업체도 있다”며 “시장이 성장하기는커녕 오히려 오그라들고 있다”고 한탄했다.
수요 부족으로 휘청대던 PDA 업체가 직격탄을 맞은 것은 SK텔레콤이 8월부터 신규가입자에 대한 단말기 보조금 지급을 전면 중단하면서다. 올 3월부터 PDA에 대한 보조금 지급이 사실상 금지된 것을 고려하면 SK텔레콤이 ‘뒤늦게’ 관련 법령에 따른 것이다. 그동안 SK텔레콤이 ‘암묵적으로’ 보조금을 지급할 수 있었던 것은 정부가 보조금 지급에 대해 ‘오락가락 행보’를 보였기 때문. 정부는 PDA 구입자가 보조금을 받을 수 있도록 올 초부터 관계 법령 개정작업을 추진해왔으나 지지부진한 상태다.
PDA는 미래의 성장엔진으로 지목되는 제품군 중 하나다. 한국의 PDA 기술은 세계적으로도 경쟁력을 갖춘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데이터 중심의 초기 PDA 시장에선 대만 등에 크게 밀렸으나 PDA가 무선인터넷과 결합되면서 만들어진 ‘진보된’ PDA 분야에선 상당한 기술력을 확보하고 있다. 내수시장만 살아난다면 이를 기반으로 수출시장에서 엄청난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다는 게 업계 관계자들의 공통된 견해다.
재고 쌓인 단말기 업체들 고사 위기
정보통신부(이하 정통부) 역시 이 같은 견해에 동의한다. 정통부가 보조금 관련 법령을 개정하려 한 것도 PDA 분야에서 기술력 있는 기업이 좀더 쉽게 경쟁력을 갖출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다. PDA 업체들은 올 상반기 정부가 당초 방침대로 PDA에 대해선 보조금 지급을 허용할 것이라고 예상해 첨단제품을 잇따라 개발하는 등 생산을 크게 늘려왔다. 그런데 정통부의 관계 법령 개정작업이 지지부진하면서 재고가 쌓이고 신규시장에 대한 기대가 송두리째 물거품이 된 것이다.
정통부가 원칙적으로 보조금을 지급하는 게 바람직하다고 여기면서도 법령 개정작업에 소극적인 것은 통신 3사의 정치권에 대한 집요한 로비에 데었기 때문이다. 통신 3사는 이해득실을 따지며 민주당을 상대로 치열한 로비를 벌였다. SK텔레콤은 PDA에 대한 보조금 지급에 찬성하는 쪽이었고 휴대전화 시장보다 PDA에서 ‘더 뒤떨어진’ LG텔레콤은 보조금 지급에 반대했다. 보조금 지급이 허용될 경우에는 SK텔레콤보다 더 많은 보조금을 지급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가 만들어져야 한다는 게 LG텔레콤의 요구. 결국 LG텔레콤의 주장과 이를 그대로 받아들인 민주당 의원들의 반발로 정통부는 물러설 수밖에 없었다.
정통부는 PDA 업체의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중소 벤처기업에 대한 지원 차원에서도 보조금 지급이 필요하다고 보고 있다. 또 현재 PDA 시장은 전체 휴대전화 시장의 3%에 불과해 보조금이 사업자간의 유효경쟁을 저해하지 않는다는 게 업계와 정통부의 견해다. 정통부 관계자는 “보조금 지급 허용 방안을 계속 모색해나갈 것”이라면서도 “국회의원들이 안 된다고 하고 업계 최하위 업체가 제 앞가림도 못하면서 아전인수격으로 로비를 벌이며 계속 물귀신 작전에 나서는데 무슨 방법이 있겠느냐”고 말했다.
핀란드의 노키아는 현재 보조금을 지원받으며 관련 시장 형성에 나서고 있다고 한다. 반면 한국 시장은 PDA에서 구현되는 각종 콘텐츠는 쏟아지고 있으나 정작 사용자는 크게 늘고 있지 않다. 노키아가 마냥 부러운 업계는 정부와 정치권에 눈물 어린 호소를 하고 있다. “자리를 잡을 때까지만 기회를 달라”고. 업계의 한 관계자는 “PDA 보급이 늘어나면 결국 통신업체에도 이익이 돌아가는데 왜들 그러는지 모르겠다”며 “통신업체들의 밥그릇 챙기기와 빗나간 로비전에 우리만 죽게 생겼다”고 한숨을 내쉬었다.
수요 부족으로 휘청대던 PDA 업체가 직격탄을 맞은 것은 SK텔레콤이 8월부터 신규가입자에 대한 단말기 보조금 지급을 전면 중단하면서다. 올 3월부터 PDA에 대한 보조금 지급이 사실상 금지된 것을 고려하면 SK텔레콤이 ‘뒤늦게’ 관련 법령에 따른 것이다. 그동안 SK텔레콤이 ‘암묵적으로’ 보조금을 지급할 수 있었던 것은 정부가 보조금 지급에 대해 ‘오락가락 행보’를 보였기 때문. 정부는 PDA 구입자가 보조금을 받을 수 있도록 올 초부터 관계 법령 개정작업을 추진해왔으나 지지부진한 상태다.
PDA는 미래의 성장엔진으로 지목되는 제품군 중 하나다. 한국의 PDA 기술은 세계적으로도 경쟁력을 갖춘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데이터 중심의 초기 PDA 시장에선 대만 등에 크게 밀렸으나 PDA가 무선인터넷과 결합되면서 만들어진 ‘진보된’ PDA 분야에선 상당한 기술력을 확보하고 있다. 내수시장만 살아난다면 이를 기반으로 수출시장에서 엄청난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다는 게 업계 관계자들의 공통된 견해다.
재고 쌓인 단말기 업체들 고사 위기
정보통신부(이하 정통부) 역시 이 같은 견해에 동의한다. 정통부가 보조금 관련 법령을 개정하려 한 것도 PDA 분야에서 기술력 있는 기업이 좀더 쉽게 경쟁력을 갖출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다. PDA 업체들은 올 상반기 정부가 당초 방침대로 PDA에 대해선 보조금 지급을 허용할 것이라고 예상해 첨단제품을 잇따라 개발하는 등 생산을 크게 늘려왔다. 그런데 정통부의 관계 법령 개정작업이 지지부진하면서 재고가 쌓이고 신규시장에 대한 기대가 송두리째 물거품이 된 것이다.
정통부가 원칙적으로 보조금을 지급하는 게 바람직하다고 여기면서도 법령 개정작업에 소극적인 것은 통신 3사의 정치권에 대한 집요한 로비에 데었기 때문이다. 통신 3사는 이해득실을 따지며 민주당을 상대로 치열한 로비를 벌였다. SK텔레콤은 PDA에 대한 보조금 지급에 찬성하는 쪽이었고 휴대전화 시장보다 PDA에서 ‘더 뒤떨어진’ LG텔레콤은 보조금 지급에 반대했다. 보조금 지급이 허용될 경우에는 SK텔레콤보다 더 많은 보조금을 지급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가 만들어져야 한다는 게 LG텔레콤의 요구. 결국 LG텔레콤의 주장과 이를 그대로 받아들인 민주당 의원들의 반발로 정통부는 물러설 수밖에 없었다.
정통부는 PDA 업체의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중소 벤처기업에 대한 지원 차원에서도 보조금 지급이 필요하다고 보고 있다. 또 현재 PDA 시장은 전체 휴대전화 시장의 3%에 불과해 보조금이 사업자간의 유효경쟁을 저해하지 않는다는 게 업계와 정통부의 견해다. 정통부 관계자는 “보조금 지급 허용 방안을 계속 모색해나갈 것”이라면서도 “국회의원들이 안 된다고 하고 업계 최하위 업체가 제 앞가림도 못하면서 아전인수격으로 로비를 벌이며 계속 물귀신 작전에 나서는데 무슨 방법이 있겠느냐”고 말했다.
핀란드의 노키아는 현재 보조금을 지원받으며 관련 시장 형성에 나서고 있다고 한다. 반면 한국 시장은 PDA에서 구현되는 각종 콘텐츠는 쏟아지고 있으나 정작 사용자는 크게 늘고 있지 않다. 노키아가 마냥 부러운 업계는 정부와 정치권에 눈물 어린 호소를 하고 있다. “자리를 잡을 때까지만 기회를 달라”고. 업계의 한 관계자는 “PDA 보급이 늘어나면 결국 통신업체에도 이익이 돌아가는데 왜들 그러는지 모르겠다”며 “통신업체들의 밥그릇 챙기기와 빗나간 로비전에 우리만 죽게 생겼다”고 한숨을 내쉬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