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갤러리의 개관 기념전으로 열리고 있는 사진작가 주명덕의 작품전 ‘1968년, 인천 차이나타운’은 부초 같은 이방인들의 삶을 담고 있다. 전시에 등장한 작품 33점은 작가가 34년 전인 1968년에 촬영한 사진들이다. 지금은 몇 군데의 중국음식점으로 간신히 명맥을 잇고 있다는 인천시 중구 선린동의 차이나타운. 오정희가 소설 ‘중국인 거리’에서 ‘겨우내 북풍이 실어 나르는 탄가루로 그늘지고, 거무죽죽한 공기 속에 해는 낮달처럼 희미하게 걸려 있었다’고 묘사했던 그 거리다.
전후의 궁핍함 연민의 정 물씬
주명덕의 사진 속에 등장한 차이나타운은 한 세대 전에 이미 쇠락일로를 겪고 있는 모습이다. 낡아빠진 벽돌집과 나무 창틀. 2층에 발코니가 얹혀진 가옥구조는 확실히 낯설다. 한 판잣집의 간판에는 ‘Chinese Restaurant’이라는 영문이 적혀 있다. 거리를 오가는 사람들의 옷차림과 눈매에도 이방의 느낌은 확연하다. 아주 오래된 듯 남루한 거리와 그 거리에 정물처럼 머물러 있는 사람들. 비쩍 마른 개와 고양이들. 그것만으로도 사진 속의 풍경은 우울하다.
‘1968년, 인천 차이나타운’에는 어린이와 노인이 유난히 많이 등장한다. 얼굴 윤곽에 중국인의 느낌이 이미 뚜렷하게 드러나는 아이들은 나이보다 훨씬 더 조숙한 표정을 짓고 있다. 한 세대 전에 이 사진에 찍혔던 아이들은 지금 어디서 무얼 하고 있을까. 그들은 인천 차이나타운이 몰락한 후에도 여전히 한국에 머물러 있을까.
그나마 어린아이들에 비하면 노인들은 이미 생명체의 느낌이 없다. 그들은 마치 거리나 건물의 일부처럼 보인다. 주름으로 가득한 노인의 얼굴은 차이나타운의 모습이나 다름없다. 노인의 무기력함과 차이나타운의 운명이 일순 겹쳐지며 이방의 페이소스는 더욱 짙어진다.
‘1968년, 인천 차이나타운’을 찍을 당시 주명덕은 신예에서 중견으로 막 발돋움하던 사진작가였다. 일간지의 사진기자로 출발한 작가는 1964년 서울에서 열린 첫번째 개인전 ‘홀트씨 고아원’을 통해 문화계에 등장했다. ‘홀트씨 고아원’은 혼혈 고아들을 주제로 삼은 전시였다. 유난히 하얗거나 검은 피부에 곱슬머리의 아이들. 다리가 없는, 혹은 맨발의 남루한 아이들을 담은 사진으로 그는 다큐멘터리 사진이 무엇인지를 한국에 알렸다. 그가 사진에 담아낸 현실은 슬프고도 우울했으며 전후의 궁핍함으로 가득했다.
‘1968년, 인천 차이나타운’도 이 ‘홀트씨 고아원’의 연장선상에 있다. 1968년 ‘월간중앙’이 ‘한국의 이방’ 시리즈를 매달 게재하면서 첫번째로 택한 주제가 바로 인천에 있는 한국 유일의 차이나타운이었다. 잡지에서는 처음 시도된 포토에세이 형식의 연재를 통해 주명덕은 차이나타운을 비롯해 미군 기지촌, 무당촌, 고아원 등 우리 사회의 그늘을 카메라에 담았다. 불교 사찰과 장승, 풍경 등에 주력하고 있는 작가의 최근 행보와는 대조적이다. 그는 이 같은 초기 경향에 대해 “사진의 본질은 기록이다. 사회의 아픈 부분을 기록으로 보여주려 했다. 그래서 20대에 찍은 사진들은 대부분 그러한 사진들이다. 그러나 과거에 사진이 했던 역할을 지금은 TV가 빼앗아가 버렸다”고 말한 바 있다.
주명덕은 1968년 당시 차이나타운에 대한 사진을 잡지에 게재하면서 이와 같은 짤막한 서문을 썼다.
“인천의 서쪽 끝, 부두를 굽어보는 언덕의 ‘차이나타운’은 이국적인 페이소스가 감돈다. 개항 이래로 화교들이 이곳에 모여들어 제1차 세계대전이 끝날 무렵에는 지금 보는 중국인촌으로 완성되었다. 한국전쟁이 터지고 홍콩과의 교역 중심이 부산으로 옮겨가면서 쇠퇴일로, 이제는 거의 ‘고스트타운’이 돼버렸다. 타일로 새로 단장한 집도 있으나 이국에서 영고(榮枯)를 겪는 소수민족의 무상한 운명이 돌뿌리 하나에까지 스며 있다.”
주명덕의 사진에는 희망의 빛이 별로 보이지 않는다. 사진 속에 담긴 삶의 모습은 냉정하고도 엄숙하다. 그 냉정함 속에서 스쳐 지나가는 연민의 시선을 읽었다면, 그것은 나만의 착각일까(7월17일까지. 문의: 02-418-13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