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동아 264

..

‘친절’에 대한 기억은 가슴속에 오래 남는다

  • 입력2005-06-10 13:41:00

  • 글자크기 설정 닫기
    11월23일은 전 미국 사람들이 고향을 찾느라 거리를 메우는 추수감사절이다. 뉴욕과 같은 일부 대도시는 예외지만 일년에 단 한번 미국의 모든 상점들이 문을 내리는 날이다. 한 연로한 여교수가 타향살이하는 우리 가족을 저녁 식사에 초대했다. 우리 가족이 사는 곳이 캐나다와 가까워 당초 캐나다 여행을 계획했지만 미국을 아는 것이 우선이라는 결론을 내려 초대에 응했다.

    이메일로 주소와 전화번호를 보내와 시간에 맞춰 출발했다. 이곳 버몬트주는 산이 많고 물이 많아 미국의 대도시를 연상하면 전혀 상상이 안 될 정도로 시골스럽다. 그 교수의 집도 주소만 갖고 찾기는 쉽지 않았다. 산속 어디에 있는지 갈래 길을 찾기 어려웠던 것. 차를 산속 한 모퉁이에 새워두고 온 길을 되짚어보는데 마침 어머니와 딸이 탄 차 한 대가 옆에 멈추어 섰다. 어디를 찾느냐고 물어 주소를 알려주자 그 아주머니는 설명하기 쉽지 않으니 길 안내를 하겠다고 했다. 미안하니 말로만 알려달라고 해도 그 시골 아주머니와 딸은 웃으면서 따라오라는 것이 아닌가.

    앞차를 따라가다 보니 우리가 길을 잘못 들어도 한참 잘못 들었다는 것을 알았다. 그들은 15분 정도를 다시 되짚어가 우리가 가야 할 집 앞까지 정확하게 안내해 줬다. 우리 부부는 너무 감사해 뭐라고 감사의 표시를 해야 할지 모르겠다고 하니 그들은 이렇게 안내를 해준 것만으로도 기쁨이라며 서둘러 떠났다.

    한국사람들의 길 안내와는 사뭇 대조적이라고 느껴졌다. 문화적으로 ‘원칙’ ‘정확성’ 또는 ‘구체성’ 등등의 단어들과는 친숙하지 않아서 그런지, 서울과 같은 대도시나 지방의 중소도시를 다니다 길을 물으면 구체적인 말 안내보다는 ‘대강’의 손짓과 표정으로 순간을 모면하려는 중년의 아저씨, 아주머니들을 만나기가 어렵지 않다. 특히 갑작스럽게 외국인이라도 만나게 되면 무조건 회피하려는 경향을 보인다. 이는 언어적인 불편함 때문만은 아닌 것 같다.

    산 속에서의 15분 인연. 친절을 넘어 감동으로 다가온 미국 시골 아주머니와 딸. 17세기 초 북아메리카에 처음 발을 내딛었던 유럽의 개척자들이 토착민들이 보여준 사랑과 인정의 선물들(호박과 옥수수를 삶아주고 크렌베리와 칠면조를 대접했던 인간적인 환대와 한해의 수확)에 대해 감사를 드렸던 추수감사절. 그들은 훈훈함보다는 각박함에 친숙한 아스팔트 세대인 우리에게 ‘Thanksgiving’, 즉 감사의 의미가 무엇인지를 확실하게 각인시켜줬다.



    다시 한번 ‘옛날’을 되돌아보게 한 잊을 수 없는 추억을 선사해 준 미국인 모녀, 또 일본의 전통여관에서 숙박한 다음날 짐을 꾸려 대문을 나오자 우리가 시야에서 사라질 때까지 허리를 굽혀 정중히 인사하던 일본인 모녀를 생각할 때 매너는 역시 단순한 친절의 차원을 넘어선 감동과 감격임을 알 수 있다. 머리보다는 마음속의 기억으로 남는 뜨거운 그 무엇이다.



    댓글 0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