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동아 1435

..

구릿값 상승으로 청신호 켜진 한국 수출… 원유 가격 상승은 악재

[홍춘욱의 경제와 투자] 과거 원유가 상승이 구리보다 가파르면 코스피 급락

  • 홍춘욱 이코노미스트·프리즘투자자문 대표

    입력2024-04-18 09:00:01

  • 글자크기 설정 닫기
    최근 원자재 시장 흐름이 심상치 않다.

    4월 1일 코코아 가격이 사상 처음으로 톤당 1만 달러(약 1350만 원)를 돌파한 가운데 금, 구리, 원유 등 다른 원자재 가격도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그중 구리는 한국 경제는 물론, 주식시장 흐름과도 밀접한 연관이 있어 주목할 수밖에 없다.

    구리, 한국 수출제품 가격 선행지표

    ‘그래프1’은 2007년 이후 구리 가격과 코스피의 관계를 나타내는데, 구리는 종종 강력한 선행성을 보여준다. 특히 2008년과 2011년, 2021년 구리 가격이 급락세로 돌아선 후 코스피가 급락한 모습을 볼 수 있다. 왜 이런 현상이 벌어지는지 자세히 살펴보자.

    구리 가격 변동이 한국 증시 흐름에 선행하는 가장 직접적 이유는 바로 수출 때문이다. 한국 수출금액지수와 구리 가격의 관계를 살펴보면 구리 가격이 강력한 선행성을 보이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한국 주식시장은 수출 흐름에 민감하게 반응하기에 수출이 개선되는 국면에선 주식시장 분위기도 개선되곤 한다.

    이 대목에서 이런 연관성이 단순한 우연에 불과한 것인지, 아니면 실제 경제적 요인에 의한 것인지 궁금증을 느끼는 독자가 많을 것이다. 필자는 구리가 ‘닥터 코퍼(Dr. Copper)’라는 별명 그대로 강력한 경기 예측력을 지닌다고 보는 쪽이다. 구리는 전기차부터 고속철도, 스마트폰에 이르기까지 안 쓰이는 곳이 없을 정도이기 때문이다. 은이 전도성 면에서는 뛰어나지만 구리는 가격이 톤 단위로 매겨질 정도로 싸기에 구리가 없는 현대 문명을 생각하기란 힘들다.



    이런 구리 가격이 최근 상승세를 보이는 데는 세계 최대 제조 생산국인 중국이 대대적인 제조업 투자를 천명한 것이 요인으로 작용했다. 강력한 디플레이션(물가하락)에 직면한 중국이 쓸 수 있는 경기부양 카드는 크게 두 가지다. 하나는 이구환신(以舊換新), 즉 이전에 사용하던 구형 가전제품을 새것으로 바꿀 때 나라에서 보조금을 지급하는 방안이다. 다른 하나는 대대적인 토목 프로젝트를 시행함으로써 주택 부문에서 해고된 이들에게 일자리를 찾아주는 방안이다.

    중국은 현재 이 두 가지 방안 가운데 전자를 선택한 것으로 보인다. 후자를 시행하지 않는 이유는 중국이 건설한 고속철도역 상당수가 운영 정지 상태이거나 정차가 줄어드는 등 경제성이 떨어지고 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중국 정부가 자국 제조업체의 매출 촉진을 위해 대대적으로 자금을 집행할 것이라는 소식에 구리 시장이 반응한 것은 당연한 일이라 할 수 있다. 반면 구리 가격과 함께 움직이던 철강제품 가격이 폭락한 것을 보면 중국 경제가 세계 원자재 시장에서 어느 정도 영향력을 지녔는지 알 수 있지 않나 싶다.

    주식시장 조정 출현 가능성 존재

    그렇다면 한국 경제 앞에 좋은 일만 남았을까. 안타깝게도 악재도 함께 찾아왔음을 잊지 말아야 할 것 같다. 구리 가격만 오르면 좋았겠지만 이스라엘과 이란 간 긴장감이 높아지면서 유가도 상승세를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과거 한국 경제를 돌아보면 특히 구리보다 원유 가격 상승이 더 빨라지는 시기에 주식시장이 버티지 못하고 하락하는 경우가 잦았다.

    가장 대표적 시기가 2021년 하반기다. 당시 구리 가격 상승 탄력이 서서히 꺾이는 가운데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위험이 부각되며 유가 상승세가 본격화됐다. 이후 구리/원유 가격 비율이 가파른 하락세를 보이기 시작했다(그래프2 참조). 기름 한 방울 나지 않는 한국 경제 입장에서 원유 가격 인상은 원가 부담을 높이는 반면, 구리 가격 상승 제약은 기업 마진이 줄어들게 만든다.

    더 나아가 구리와 달리 원유는 소비자 지출에도 직접적 영향을 미친다. 휘발유 가격과 전기요금이 인상될 때 물가가 들썩이고 한국은행의 통화정책 기조도 달라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최근 구리 가격 상승은 한국 수출에 매우 긍정적 뉴스임이 분명하지만, 구리/원유 가격 비율 하락이 더욱 가팔라질 경우 시장 조정이 출현할 수 있음을 인지할 필요가 있다.

    *유튜브와 포털에서 각각 ‘매거진동아’와 ‘투벤저스’를 검색해 팔로잉하시면 기사 외에도 동영상 등 다채로운 투자 정보를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댓글 0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