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한강공원 뚝섬지구에서 열린 `영화 감상회`에서 시민들이 영화를 관람하고 있다.
센강에 비하면 한강은 훨씬 더 크고 아름답다. 비록 주변이 아파트 숲이 고 남북으로 뻗은 올림픽대로와 강변북로가 사람들의 접근을 가로막고 있지만, 깨끗하게 정비된 한강변은 많은 사람들이 찾고 싶어하는 곳이다. 12개의 시민공원이 조성돼 2003년 연인원 4410만명이 찾을 만큼 시민들의 사랑을 받고 있다. 2002년 2543만명에 비해 두 배 가까이 늘어난 수치다. 이는 주5일 근무제 등 사회 환경의 변화, 접근로 증설 등이 원인으로 분석된다.
서울을 찾는 외국인들도 한강을 서울의 대표적인 관광자원으로 꼽고 있으며, 실제 한강 유람선은 외국인들이 가장 많이 찾는 관광 코스이기도 하다. 한강종합개발이 완성된 1986년 이후 한강은 갈수록 세련돼가고 있고, 한강이 보이는 아파트의 경우 한강 조망권이라는 프리미엄이 붙어 그렇지 않은 곳보다 값이 훨씬 비싸다.
더욱이 최근엔 환경부나 서울시 등이 한강권역에 샛강 등 생태공원을 조성하고 있고, 한강유역환경청이나 환경단체들의 환경감시가 활발해져 한강이 더욱 아름다워지고 있다. 도시 한가운데인 밤섬이나 가까운 한강 하구가 철새도래지로 떠오른 지도 오래됐다. 늘 경제의 뒷전에 머물던 환경이 시민들의 주요 관심사로 떠오른 탓이다.
한강 대표 컨셉트 부재 … 주변 시설 엮어줄 ‘스토리’ 찾아야
여의도공원 한강 둔치에서 휴일을 만끽하고 있는 시민들.
8월5일 밤 한강시민공원 가운데 가장 아름답다는 선유도공원에서 만난 시민들도 같은 목소리였다. 이곳은 정수장을 생태교육장으로 바꾸고 카페와 정자 등으로 새롭게 단장해 개장 2년째를 맞고 있는데, 영등포 마포 등지의 주민들한테서 크게 사랑받는 공간이다. 공원은 열대야를 피해 산책 나온 이들로 크게 붐볐다. 어머니, 남편, 아이와 함께 나온 이명주씨(36·서울 영등포동)는 “서울 시내에 이렇게 예쁜 공원이 있다는 게 정말 믿기어지지 않는다”면서도 “교통편이 불편해 오고 가는 길이 힘들다. 여러 곳에서 셔틀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면 좋겠다”고 말했다.
이곳은 주차장이 좁아 대중교통을 이용해야 한다. 지하철 2호선 합정역에서 내리면 다리를 건너기 위해 좁은 통행로를 20분 정도 걸어야 하고, 남단에서는 버스를 이용해 선유도와 이어진 470m짜리 구름다리까지 접근할 수 있다.
선유도는 강 가운데 있는 섬이라는 특수성이 있지만, 여의도공원을 제외한 나머지 시민공원은 시민들이 편하게 접근하기가 어렵다. 한강시민공원사업소 측은 시민들의 이런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여러 곳에서 접근할 수 있게 접근로를 늘릴 계획이다. 서울시 관계자는 “시민들이 한강에 접근하기가 어렵고, 주로 강변 주민들이 이용한다는 한계가 있다”며 “한강변에 운동 시설과 공연장 등 여러 시설을 갖췄지만, 외지 사람들이나 외국인들이 한강변의 매력을 잘 모르기 때문에 여행사들도 이를 관광 상품화하지 못하는 것 같다”고 말했다.
그러나 무엇보다 한강에는 문화가 숨쉬는 공간이 아직 많지 않다. 시민공원도 대부분 단순 휴식 공간 또는 레포츠를 즐기는 공간으로 이용되고 있거나, 야외공연장이 몇 군데 조성돼 있는 정도다. 유람선 관광도 연안의 볼거리들과 이야기가 어우러지지 않는 단순한 배 타기에 그치고 있다. 문화연대 공간환경위원회 유재홍 박사는 “한강공원이나 주변 환경이 너무 인공적이고 과시적이며 이벤트를 위한 공간으로 꾸며져 있어 아쉽다”고 지적했다.
서울시정개발연구원 이무용 박사는 무엇보다 한강에 ‘스토리’가 없다는 점을 아쉬워했다. 한강에서 교각 조명시설 설치로 아름다운 야경을 볼 수 있고 유람선을 탈 수 있으며 산책과 레포츠를 즐길 수 있지만, 그런 것을 한데 묶어줄 이야기가 없다는 것이다. 그는 “우선 한강 하면 떠오르는 이미지, 즉 한강의 대표 컨셉트를 잡아야 한다”며 “다음으로 한강변의 역사유적과 고급공연, 다양한 문화예술 행위들이 한데 어우러지게 하고, 수십만명의 인파가 몰리는 세계불꽃축제처럼 아기자기한 볼거리들을 많이 만들어야 한다”고 조언했다.
선박의 무사 항해를 기원하는 마포 나루굿의 상징인 황포돛배.
중앙대 김영애 겸임교수(미술사)는 “한강도 나일강처럼 문화적 다양성이 넘쳐나게 해야 한다”며 “한국도 문화의 중심은 한강이다. 한강의 시원에서부터 하류까지 강을 끼고 형성된 모든 문화를 서울 한복판에 모으는 축제도 고려해볼 만하다”고 제안했다. 또 “우선 마포나루, 황포돛배, 송파산대놀이, 정자, 재래시장 등 한강을 중심으로 형성됐던 옛 문화를 복원하고 설화와 역사를 살리는 일이 중요하다”며 “더불어 아파트와 도로만 보이는 강변 조경에 변화를 주고, 콘크리트로 설치한 호안을 자연친화적으로 바꾸어야 한다”고 말했다.
문화관광부(이하 문광부) 내에서도 그동안 한강을 문화·관광 차원에서 제대로 접근하지 못했다는 자성이 일고 있다. 6월 이창동 전 장관이 마포구 당인동에 있는 서울화력발전소(옛 이름 당인리발전소)를 문화공간으로 바꾸는 방안을 발표한 것도 같은 맥락이다. 당시 이 전 장관은 “시설의 노후화로 발전소로서 수명이 다한 서울화력발전소를 문화부가 매입해 국제적 문화·관광의 명소로 육성할 계획이다”며 “이곳을 공연장·전시장·도서관·예술 카페 등으로 바꿔 각종 문화예술 행사와 이벤트, 세미나가 열리는 ‘살아 있는 문화현장’으로 만들겠다”고 밝혔다.
해외에선 강마다 전설 덧입히고 공연장 만들어 관광객 유혹
2003년 9월27일 관광축제의 일환으로 여의도 한강시민공원에서 펼쳐진 불꽃 공연.
한강은 아직 우리 마음속에서 멀리 있다. 가까이 갈 수는 있지만 우리 마음을 잡아끄는 매력이 부족하다. 한강을 주변 시민들만의 강이 아닌 서울시민, 더 나아가 우리나라 전체를 대표하는 한강으로 만들기 위해 무엇을 채워넣어야 할까.
호주와 뉴질랜드에는 다리에서 번지점프를 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있으며, 공중에서 경치를 감상할 수 있는 헬기투어도 인기를 끌고 있다. 영국은 템스강 주변에 하수관을 묻으면서 강폭이 줄어들자 그 공간을 극장과 공연장을 낀 녹지공간으로 조성해 시민들이 한적하게 쉴 수 있게 했다. 야경이 훌륭한 곳만을 돌아다니는 나이트버스를 운영하고 있는 홍콩, 작은 낭떠러지에 지나지 않는 로렐라이언덕에 전설을 덧입히고 연안의 운치 있는 집들로 관광객을 끌어들이고 있는 독일 등의 사례를 벤치마킹할 필요가 있지 않을까. 전문가들은 무엇보다 과시용 이벤트가 아닌 우리 식 정체성을 지닌 문화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입을 모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