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반적으로 공을 컨트롤할 때 가장 장애가 되는 것은 리듬감 상실이다. 샷을 할 때 이론에 집착한 나머지 자신의 리듬감을 잃어버리면 큰 낭패를 보기 쉽다.
싱글 골퍼가 되기 위해 필요한 컨트롤 샷 중 가장 많이 쓰이는 것이 드로 샷과 페이드 샷인데, 이는 자신만의 일정한 리듬감이 있을 때 시도하는 게 좋다. 그렇지 않다면 한 타를 손해보더라도 돌아가는 것이 훨씬 현명한 방법이다. 먼저 드로 샷을 구사하려면 백스윙은 좀더 낮게 해야 한다(사진 1). 백스윙 시 약간 플랫한 느낌으로 들어주고(사진 2), 다운스윙은 컨트롤하려는 마음에 상체가 먼저 나오지 않도록 확실한 하체 리드를 한 뒤 임팩트하고 오른팔이 왼팔을 휘감는 느낌으로 강하게 릴리스한다(사진 3).
페이드 샷을 구사하려면 스탠스를 오픈하지 말고 왼발을 약간 닫아준다(사진 4). 백스윙은 좀더 가파르게 가져가고, 그러기 위해 백스윙 시 왼쪽 어깨를 약간 더 떨어뜨린다(사진 5). 드로 샷과 마찬가지로 확실한 하체 리드와 함께 임팩트 후 왼팔로 릴리스 동작을 하면서 오른쪽 어깨를 약간 올리며 타깃을 향해 힘차게 밀어준다(사진 6).

러프에서


로프트가 큰 클럽일수록 잔디의 저항을 적게 받기 때문에 클럽이 빠져나오기 쉽고, 결과적으로 거리 손실이나 실수 확률이 적어진다. 또한 어드레스 시 페어웨이에서(사진 2)와 달리 헤드를 살짝 들어(사진 3) 백스윙을 시작할 때(사진 4) 클럽 헤드가 러프의 저항을 받지 않도록 하는 것도 중요하다.

공이 디봇에 들어가 있다면 먼저 디봇의 깊이를 파악하자. 얕은 디봇은 부담 없이 공의 위치를 오른발 쪽에 두고 임팩트 위주로 펀치 샷을 구사한다. 여기서 펀치 샷을 해주는 것은 톱볼의 위험을 조금이라도 줄이기 위해서다. 그러나 디봇의 깊이가 깊다면 다음 샷을 기약하고 숏 아이언으로 디봇을 우선적으로 탈출하는 것이 안정된 플레이와 점수 관리에도 좋다.
공의 탄도 알아보는 방법
러프에서 나무나 장애물을 넘기려 할 때는 공이 어느 정도 떠야 하는지를 판단해야 한다. 자신이 선택한 클럽이 어느 정도 뜰 것인지에 대한 정확한 느낌이 없으면 손목을 무리하게 쓰거나 헤드업의 실수 때문에 더 나쁜 위치로 들어가게 된다.
자신의 클럽이 어느 정도 높이로 떠서 나아갈지를 확인할 수 있는방법은 클럽을 공 옆에 내려놓고 발로 페이스를 지면과 수평이 되게 밟아보는 것이다. 이때 그립이 가리키는 곳이 바로 공이 나아갈 각도다.

|
주간동아 577호 (p52~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