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제역 후폭풍으로 인한 우유대란에 대한 우려가 사실상 기우인 것으로 드러났다. 2월 10일 농림수산식품부(이하 농식품부)는 “올해 원유 생산량은 지난해보다 8% 줄어든 반면 수요는 0.1% 정도 늘어나 연간 23만4000t의 원유 공급 부족이 예상된다”고 밝혔다. 특히 초중학교 개학철인 3월에 학교 급식으로 우유 수요가 급증할 것으로 예상되면서 언론들은 ‘우유대란’이 일 것이라는 기사를 일제히 내보냈다. TV와 라디오에서 우유업체들의 광고가 사라지면서 3월 우유대란설은 더욱 설득력을 얻었다. 우유업체들이 공급을 맞추지 못할 것으로 판단해 광고를 중단했다는 게 그 근거다.
하지만 ‘주간동아’ 확인 결과 우유업체 관계자들은 “1, 2월은 우유 판매 비수기로 예년에도 광고를 하지 않았는데 황당하다(C우유)” “광고 재계약 시점이었을 뿐 이번 사태와 전혀 관련이 없다(A유업)”라며 기존 보도가 과장됐다고 지적했다. 이어 “우유 생산량이 감소한 것은 사실이지만 우유 수급에 큰 차질은 없을 전망”이며 “당분간은 우유가격 인상 역시 없을 것”이라고 입을 모았다.
국내 대형 우유업체 중 하나인 A유업은 우유 생산량이 10% 정도 줄었다. A유업 홍보팀 관계자는 “구제역이 장기간 이어진다면 전망이 달라질 수 있다. 하지만 구제역이 곧 끝난다는 전제 아래서 우유대란은 없다. 기존에 워낙 우유 생산량이 많았기 때문에 이를 상쇄하면 유통에 큰 문제가 없다”고 전했다. “일부 업체가 우유 배달을 중지한다고 각 가정에 통보했다”는 한 일간지의 보도에 대해선 “해당 업체는 중소업체다. 중소업체는 워낙 전체 생산 물량이 적기 때문에 이 가운데 10% 정도만 줄어도 우유 공급에 큰 영향을 받을 수 있다”고 말했다. 시장 점유율이 큰 대형 업체들은 그 정도로 타격을 입지 않는다는 이야기다.
학교 급식 비중은 10% 정도에 불과
B유업 관계자 역시 “우유 공급에 차질은 없을 것”이라며 이렇게 설명했다.
“지금까지 생산된 원유에서 우선적으로 우유를 만들고 잉여 원유로 2차 유가공 제품을 만들었다. 유가공 제품에 들어가던 잉여 원유를 우유에만 돌려도 공급에는 큰 문제가 없다.”
소비자가 우려하는 일 중 하나는 학교 급식용 우유가 부족해지는 것. 그러나 전체 우유 공급량 중 학교 급식 우유가 차지하는 비중은 10% 정도에 불과하다. 게다가 업계와 정부 모두 학교 급식용 우유를 최우선으로 공급하겠다는 방침을 내놓았다. 2월 10일 농식품부가 발표한 ‘우유 수급 안정대책’의 주요 골자는 그동안의 ‘잉여 원유 감축정책’을 ‘원유 증산정책’으로 바꾸고, 유제품 수급안정을 위해 할당관세 등을 탄력적으로 운용한다는 것이다.
지금껏 낙농진흥회와 정부, 각 유업체는 원유량(쿼터량) 상한제를 실시해 우유가 초과 생산돼 버려지거나 부족하게 생산되는 일을 막아왔다. 원유 증산정책은 구제역 후폭풍이 사라질 때까지 한시적으로 원유의 쿼터량을 확대하는 것으로, 정부는 농가별로 기존에 짜냈던 원유량(낙농진흥회 현행 기준)의 4~5%를 더 짤 수 있도록 허용할 방침. 이에 따라 각 유업체는 지금까지 제값을 주지 않았던 쿼터량 상회 원유에 대해 앞으로 2년 동안 정상 가격을 지급해야 한다. 쿼터량의 제한을 받지 않는 협동조합(서울우유 등) 및 일부 유업체는 자체적으로 증량을 추진해 부족한 원유 생산량을 충당하게 했다. 즉, 지금껏 가격 폭락 때문에 생산하지 않았던 원유 여유분을 제값을 받고 제공하도록 해 농가, 유업체, 소비자 누구도 피해를 입지 않게 하겠다는 계산이다. 여기에다 유가공 제품에 들어가던 원유를 모두 우유 공급으로 돌리게 하면 마시는 우유의 부족 현상은 일어날 가능성이 전무하다는 게 정부와 유업체의 주장이다.
사실 지금까지 유가공품을 생산하는 데 쓰는 원유는 구제역 사태 이전에도 부족한 실정이었다. 이런 상황에서 유가공용 원유를 마시는 우유 쪽으로 돌리면 유가공품 가격 폭등과 같은 파국이 올 수 있다는 의구심이 들지만 정부는 이 문제를 유가공품의 대폭 수입으로 해결한다는 계획이다. 정부는 2~6월 중 수입되는 탈지·전지분유에 대해 무관세나 저율관세를 적용하고 수입량을 크게 늘리기로 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구제역 파동으로 인한 우유 또는 유제품 가격 인상은 어불성설이라는 게 정부, 유업체의 한결같은 반응이다. 더욱이 우유 가격은 원유의 시장수급 상태로 정해지는 게 아니라 정부, 낙농단체, 업계 등의 협의에 따라 최종 결정되기 때문에 가격 인상이 쉽지 않다는 지적. 농식품부 축산경영과 이성주 사무관은 “우유 가격은 보통 원유 가격, 공장도 가격, 소비자 가격 등 유통 단계별로 정해지는데 원유 가격 결정은 낙농진흥법에 따라 정부, 업계 인사 등 15인으로 구성된 낙농진흥회 이사회에서 협의를 통해 결정한다”며 “원유 인상 결정에 시간이 5~6개월 걸리는데 쿼터 확대와 유제품 수입관세 철폐 등으로 원유 공급이 늘 것이기 때문에 가격이 상승할 요인이 사라질 것”이라고 예상했다. 따라서 원유가가 오르지 않는데 우유업체들이 자체적으로 우유 또는 유제품의 가격을 크게 올릴 수는 없을 것이라는 게 정부의 판단이다.
서울우유 가격 인상 번복 해프닝
한편 대형 우유업체들이 아직까지 큰 피해는 입지 않았다고 입을 모으는 가운데, 서울우유만은 일부 타격이 있을 것이라는 소문이 파다하다. 서울우유의 주요 원유 집유지가 경기도에 몰렸는데, 구제역 파동으로 인한 피해 낙농가의 상당수가 경기도에 분포돼 있기 때문이다. 낙농진흥회에 따르면 구제역으로 살처분된 젖소 두수는 2월 9일 기준으로 서울·인천·경기 지역이 87.1%, 강원도 7.5%, 경상북도 2.5%, 충청북도 1.1%, 충청남도 1.87% 정도다. 서울우유 측은 “경기도에 집유지가 90% 이상 차지하는 게 사실이다. 그 때문에 원유 생산량이 10~13% 줄었다. 하지만 전체 낙농가 6300여 곳 중 서울우유가 보유한 농가는 2100여 곳으로 워낙 보유농가가 많아 전체 원유 생산량에는 큰 타격이 없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문제는 서울우유가 전체 학교 급식용 우유 공급에서 65% 이상을 차지한다는 점. 서울우유 측은 “학생들이 먹는 급식 우유를 최우선으로 공급할 예정이라 크게 염려할 일이 아니다”라고 잘라 말한다.
“견딜 수 있을 만한 수준이다. 아직까지는 줄어든 원유 수준이 2차 유가공품으로 가는 잉여 원유량에 영향을 주는 수준이다. 정부가 내놓은 유가공품에 대한 한시적 무관세 조치가 이뤄지면 유가공품 원료를 저가에 수입할 수 있고 일부 원유 부족 현상은 완전히 해소될 수 있다. 크게 걱정하지 않는다.”
이와 관련해 서울우유는 2월 16일 가공업계, 외식업계에 3월 1일부터 우유 공급가격을 23% 정도에서 최대 66%까지 올린다는 공문을 보냈다가 반나절 만에 이를 철회했다. 서울우유 관계자는 “업소 공급용 원료가 워낙 대량이라 지금까지 대폭 할인한 특수 가격으로 공급했다. 원유량이 줄어들어 이를 원가격으로 받겠다는 것뿐”이라고 가격 인상 이유를 밝혔으나 다시 “실무 부서의 의사 타진 과정에 오류가 있었다”며 그 계획을 없던 일로 만들었다.
하지만 ‘주간동아’ 확인 결과 우유업체 관계자들은 “1, 2월은 우유 판매 비수기로 예년에도 광고를 하지 않았는데 황당하다(C우유)” “광고 재계약 시점이었을 뿐 이번 사태와 전혀 관련이 없다(A유업)”라며 기존 보도가 과장됐다고 지적했다. 이어 “우유 생산량이 감소한 것은 사실이지만 우유 수급에 큰 차질은 없을 전망”이며 “당분간은 우유가격 인상 역시 없을 것”이라고 입을 모았다.
국내 대형 우유업체 중 하나인 A유업은 우유 생산량이 10% 정도 줄었다. A유업 홍보팀 관계자는 “구제역이 장기간 이어진다면 전망이 달라질 수 있다. 하지만 구제역이 곧 끝난다는 전제 아래서 우유대란은 없다. 기존에 워낙 우유 생산량이 많았기 때문에 이를 상쇄하면 유통에 큰 문제가 없다”고 전했다. “일부 업체가 우유 배달을 중지한다고 각 가정에 통보했다”는 한 일간지의 보도에 대해선 “해당 업체는 중소업체다. 중소업체는 워낙 전체 생산 물량이 적기 때문에 이 가운데 10% 정도만 줄어도 우유 공급에 큰 영향을 받을 수 있다”고 말했다. 시장 점유율이 큰 대형 업체들은 그 정도로 타격을 입지 않는다는 이야기다.
학교 급식 비중은 10% 정도에 불과
B유업 관계자 역시 “우유 공급에 차질은 없을 것”이라며 이렇게 설명했다.
“지금까지 생산된 원유에서 우선적으로 우유를 만들고 잉여 원유로 2차 유가공 제품을 만들었다. 유가공 제품에 들어가던 잉여 원유를 우유에만 돌려도 공급에는 큰 문제가 없다.”
소비자가 우려하는 일 중 하나는 학교 급식용 우유가 부족해지는 것. 그러나 전체 우유 공급량 중 학교 급식 우유가 차지하는 비중은 10% 정도에 불과하다. 게다가 업계와 정부 모두 학교 급식용 우유를 최우선으로 공급하겠다는 방침을 내놓았다. 2월 10일 농식품부가 발표한 ‘우유 수급 안정대책’의 주요 골자는 그동안의 ‘잉여 원유 감축정책’을 ‘원유 증산정책’으로 바꾸고, 유제품 수급안정을 위해 할당관세 등을 탄력적으로 운용한다는 것이다.
지금껏 낙농진흥회와 정부, 각 유업체는 원유량(쿼터량) 상한제를 실시해 우유가 초과 생산돼 버려지거나 부족하게 생산되는 일을 막아왔다. 원유 증산정책은 구제역 후폭풍이 사라질 때까지 한시적으로 원유의 쿼터량을 확대하는 것으로, 정부는 농가별로 기존에 짜냈던 원유량(낙농진흥회 현행 기준)의 4~5%를 더 짤 수 있도록 허용할 방침. 이에 따라 각 유업체는 지금까지 제값을 주지 않았던 쿼터량 상회 원유에 대해 앞으로 2년 동안 정상 가격을 지급해야 한다. 쿼터량의 제한을 받지 않는 협동조합(서울우유 등) 및 일부 유업체는 자체적으로 증량을 추진해 부족한 원유 생산량을 충당하게 했다. 즉, 지금껏 가격 폭락 때문에 생산하지 않았던 원유 여유분을 제값을 받고 제공하도록 해 농가, 유업체, 소비자 누구도 피해를 입지 않게 하겠다는 계산이다. 여기에다 유가공 제품에 들어가던 원유를 모두 우유 공급으로 돌리게 하면 마시는 우유의 부족 현상은 일어날 가능성이 전무하다는 게 정부와 유업체의 주장이다.
사실 지금까지 유가공품을 생산하는 데 쓰는 원유는 구제역 사태 이전에도 부족한 실정이었다. 이런 상황에서 유가공용 원유를 마시는 우유 쪽으로 돌리면 유가공품 가격 폭등과 같은 파국이 올 수 있다는 의구심이 들지만 정부는 이 문제를 유가공품의 대폭 수입으로 해결한다는 계획이다. 정부는 2~6월 중 수입되는 탈지·전지분유에 대해 무관세나 저율관세를 적용하고 수입량을 크게 늘리기로 했다.
경기도 고양시 성사동의 한 젖소 농가에서 젖소들이 백신을 맞고 있다.
서울우유 가격 인상 번복 해프닝
한편 대형 우유업체들이 아직까지 큰 피해는 입지 않았다고 입을 모으는 가운데, 서울우유만은 일부 타격이 있을 것이라는 소문이 파다하다. 서울우유의 주요 원유 집유지가 경기도에 몰렸는데, 구제역 파동으로 인한 피해 낙농가의 상당수가 경기도에 분포돼 있기 때문이다. 낙농진흥회에 따르면 구제역으로 살처분된 젖소 두수는 2월 9일 기준으로 서울·인천·경기 지역이 87.1%, 강원도 7.5%, 경상북도 2.5%, 충청북도 1.1%, 충청남도 1.87% 정도다. 서울우유 측은 “경기도에 집유지가 90% 이상 차지하는 게 사실이다. 그 때문에 원유 생산량이 10~13% 줄었다. 하지만 전체 낙농가 6300여 곳 중 서울우유가 보유한 농가는 2100여 곳으로 워낙 보유농가가 많아 전체 원유 생산량에는 큰 타격이 없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문제는 서울우유가 전체 학교 급식용 우유 공급에서 65% 이상을 차지한다는 점. 서울우유 측은 “학생들이 먹는 급식 우유를 최우선으로 공급할 예정이라 크게 염려할 일이 아니다”라고 잘라 말한다.
“견딜 수 있을 만한 수준이다. 아직까지는 줄어든 원유 수준이 2차 유가공품으로 가는 잉여 원유량에 영향을 주는 수준이다. 정부가 내놓은 유가공품에 대한 한시적 무관세 조치가 이뤄지면 유가공품 원료를 저가에 수입할 수 있고 일부 원유 부족 현상은 완전히 해소될 수 있다. 크게 걱정하지 않는다.”
이와 관련해 서울우유는 2월 16일 가공업계, 외식업계에 3월 1일부터 우유 공급가격을 23% 정도에서 최대 66%까지 올린다는 공문을 보냈다가 반나절 만에 이를 철회했다. 서울우유 관계자는 “업소 공급용 원료가 워낙 대량이라 지금까지 대폭 할인한 특수 가격으로 공급했다. 원유량이 줄어들어 이를 원가격으로 받겠다는 것뿐”이라고 가격 인상 이유를 밝혔으나 다시 “실무 부서의 의사 타진 과정에 오류가 있었다”며 그 계획을 없던 일로 만들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