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월 8일 서울유스호스텔에서 열린 서울 다르크 포럼.
일본에서는 약물중독자 상당수가 감옥에서 사회로 나오기 전 민간 사회복귀센터 ‘다르크(DARC·Drug Addiction Rehabilitation Center)’에서 생활하며 재사회화를 거친다. 약물중독자들은 하루에 세 번 이상 생활개선 미팅에 참여하는데, 이 자리에서 자신의 아픔을 과감없이 드러내면 먼저 중독에서 벗어난 사람들이 지지를 보내면서 살아갈 힘을 준다. 일본 다르크는 1985년 개소해 현재 70여 개로 확대됐고, 800여 명이 머물며 정상적인 삶을 꿈꾼다.
반면 한국에는 약물중독자를 돕는 민간 사회복귀센터가 드물다. 한국 다르크는 6월 서울 양천구 한 다세대주택에 개소해 7월 첫 입소자를 받았다. 기자가 7월 현장을 방문했을 때 일본 다르크에서 마쓰우라 요시아키(한국 다르크 대표) 씨와 교대로 방문하는 스태프 유키(가명·34) 씨가 한국인 스태프 1명, 약물중독자 1명과 함께 기거하며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었다.
왕따에서 벗어나려고 약물 손대
포럼은 참여자들이 한 명 한 명 단상에 올라 자기 경험담을 들려주면 통역이 그 내용을 전달하는 식으로 진행됐다. 일본 ‘선배’들이 한국 ‘후배’들에게 들려준 희망의 메시지를 정리해본다.
A(한국인) 한국 다르크가 개소한 지 8개월 정도 됐다. 25년 동안 중독자로 살았고 10년 간 정신병원, 재활센터 등에서 치료를 받았다. 그동안 가족, 건강, 친구 모두를 잃었다. 2010년 일본 다르크에서 회복한 의존자가 다른 의존자들을 인도하는 시스템을 보고 효과적이라고 생각해 한국에 도입하는 데 앞장섰다. 한국에는 약물중독자를 위한 재활 시설이 전무하다. 지금도 작은 방 안에서 홀로 숙식을 해결하며 뭘 해야 할지 모르는 사람이 많다. 내 주변에도 그런 사람이 있는데 이들이 회복할 수 없는 길로 갈까 봐 걱정된다. 48세는 큰 꿈을 꾸기에는 늦은 나이다. 하지만 나는 같은 처지에 놓인 사람들을 다시 살아가게 하고 싶다. 다음 주에 일본에 가서 재교육을 받은 뒤 회복하고 싶은 분들에게 좋은 메시지를 전하고 싶다.
B(일본인) 사랑하는 아내, 중학교 2학년인 아들과 살고 있다. 교토에 있는 다르크에서 운전을 가르치는 스태프로 일한다. 재일한국인인 데다 어머니가 술집에서 일하다 나를 낳아 왕따를 당했다. 18세 때 일터에서 동료가 약물을 권했는데, 거절하면 업신여기고 따돌릴까 봐 손을 댔다. 그때는 동료들이 나를 따돌리지 않는 것만으로도 고마웠다. 24세에 처음 정신병원에 갔다. 나체로 다니거나 여성 스타킹을 수집하는 일이 반복됐기 때문에 일상생활이 어려웠다. 그곳에서 다르크를 소개받았는데, 모임에서 솔직하게 내 얘기를 하자 사람들이 박수를 치면서 격려해줬다. 예전에는 ‘오늘만’이라도 즐기자며 약물을 했지만, 지금은 언제 죽을지 모르기 때문에 ‘오늘만’이라도 진심으로 잘 보내고 싶다. 더는 고통스럽게 살고 싶지 않다.
C(한국인) 중독자들에게 마약이 좋지 않다는 메시지를 전하면서 나 자신이 좋아졌다. 남들에게 마약을 하지 마라고 떠들고 다니면서 양심상 내가 할 수는 없지 않나. 내 몸은 마약 후유증으로 망가졌다. 3년 동안 18번 수술했고, 허리가 아파서 목발을 짚고 다닌다. 맑은 정신으로 사는 게 얼마나 감사한 일인가.
D(일본인) 중독됐을 때는 음식을 넘길 수 없었는데 맛있는 김치를 먹을 수 있어 기뻤다. 도쿄 빈민가에서 살던 10세 때 동네 형이 약물을 권해 시작했다. 약에 취한 상태로 살았기 때문에 일본어를 읽고 쓸 줄 모른다. 함께 약물을 하던 여자가 두 번 임신중절수술을 받고 세 번째 임신했을 때 결혼했다. 귀여운 딸이 태어나 각오를 다졌지만, 더 열심히 일하려고 동료와 각성제를 복용했다. 처음에는 에너지가 더 생기는 것 같았지만 의존도가 심해져 일을 할 수 없었다. 25세에 정신병원에 간 뒤 다르크를 만났다. 바로 좋아지지는 않았지만 그 뒤로 24년 동안 약물 없이 살고 있다. 이웃 반대로 다르크를 만드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 지금은 정착해 50여 명과 생활하고 있다. 돌아갈 때 김 50인분을 사 가야 한다(웃음).
E(한국인) 지금 55세로, 2006년부터 혼자 산다. 평탄하게 살았지만 30세 때 약을 배운 뒤 경마, 도박에까지 손을 대 가정이 네 번이나 깨졌다. 이제 그만 인생을 마무리할 때가 되지 않았나 하는 나약한 마음을 먹기도 했다. 하지만 병을 알려야 병을 고칠 수 있다는 말을 떠올리며 주변 사람들에게 내 상태를 알렸고, 지지를 받고 있다. 지난 1년 동안 노력해서 헤어졌던 누나, 아들, 며느리를 만날 수 있었다. 가족을 생각하며 ‘단약’을 하겠다. 오늘 한국 중독자들을 돕기 위해 오신 일본분들에게 경의를 표한다.
올 7월 서울 다르크 첫 입소자가(가운데) 상담을 받고 있다.
F(일본인 약물중독자 어머니) 아들이 고등학교를 다니면서 약물을 했고, 결국 대학을 그만뒀다. 정상적인 사회생활이 불가능한데도 정신병원에서 이상 소견을 듣지 못했다. 다만 그곳에서 “약물중독에서 벗어나려면 가족이 변해야 한다”는 말을 들었다. 나는 1994년부터 일주일에 한 번씩 알코올중독 재발방지를 돕는 가족모임에 나갔다. 그러다가 약물중독자 가족모임이 있으면 좋겠다 싶어 오사카에 모임을 만들었다. 더는 살아갈 이유가 없다고 절망했지만 모임 덕분에 아들과 관계가 좋아졌다. 아들을 평가하지 않고 있는 그대로 바라보는 법을 배웠기 때문이다. 같은 어려움을 겪는 사람들이 서로 돕는 것이 중요하다고 본다.
G(일본인) 19세 때 친구가 권유해 약물을 시작했다. 각성제 한 방이면 괴력이 생기는 것 같았다. 그러다가 어느 날 사람을 때려 죽였다. 죄책감이 들었지만 할 수 있는 일이라곤 약물에 빠지는 것뿐이었다. 부모님을 위협해 돈을 뜯어냈고, 14년 동안 약물에 빠져 살았다. 여자 스타킹을 얼굴에 쓰고 있는 것을 보고 급기야 어머니가 경찰에 신고했다. 감옥에서 나온 후 다르크로 들어갔다. 그곳에는 새끼손가락이 없는 사람도 있고 온몸에 문신을 새긴 사람도 많아서 처음엔 무섭고 위축감도 들었지만, 여자 팬티를 훔친 것과 같은 수치스러운 경험에도 모두 깊이 공감해줬다. 그 덕분에 솔직히 말하는 것의 중요성을 알았고, 17년 동안 약물을 끊을 수 있었다. 우리 마을 인근에서 지진이 일어나 2만여 명이 죽었는데, 죽은 사람 가족들이 고통을 못 잊고 약물이나 알코올 등에 의존하면서 살까 봐 걱정이다.
H(일본인) 한국에도 우리 같은 사람이 많을 것이다. 이 일을 하면서 행복하게 사는 사람이 정말 적다는 걸 느낀다. 일본에서 한국 다르크를 위한 모금운동을 할 때 많은 사람이 의구심을 보였지만 도와준 사람도 많아서 3000만 원을 모을 수 있었다. 약물중독자들은 자신을 지원해준 누군가의 마음을 잊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