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의원이 또다시 위기에 몰린 것은 2004년 4월 총선 때 각종 홍보물과 방송토론회 등에서 거론한 ‘경력’이 문제였다. 이 의원 측은 당시 ‘20대에 부군수급인 최연소 보좌관이 됐다’는 요지의 홍보 내용을 반복적으로 유권자들에게 전달했다. 표면적으로는 별 문제가 없어 보이지만 이 표현에는 몇 가지 사실 관계와 다른 부분이 숨어 있다.
당장 ‘부군수급 보좌관이 됐다’는 표현만 해도 그렇다. 이에 대한 근거 자료를 현실적으로 제시하기 힘든 상태이기 때문. 물론 그가 노무현 의원 보좌관으로 활동한 것은 천하가 다 아는 사실이다. 그러나 당시 노 의원 비서실은 임금 풀제를 시행했기 때문에 국회 사무처에 이 의원이 등록되지 않았다.
국회에서 ‘공식’ 인정하는 보좌관과 비서는 ‘5명’이지만, 당시 노 의원은 정책개발 등을 이유로 8명의 보좌진을 뽑아 썼다. 이 때문에 국회에 공식 등록하지 않은 ‘스태프’가 불가피하게 나올 수밖에 없었고, 이 의원도 이 경우에 해당한다는 것이 한 측근의 설명이다. 이를 허위사실 공표로 모는 것은 부당하다는 것. 당시 이 의원이 ‘공식 스태프’가 되지 못했던 것은 운동권 전력으로 구속 수감돼 공무원 임용 자격을 제한한 국가공무원법 제33조의 조건을 충족하지 못한 점도 현실적인 이유가 됐던 것으로 알려졌다.
녹색사민당 전씨가 이 의원의 보좌관 경력을 문제삼은 것은 지난해 10월. 당시 검찰은 전씨의 문제제기에 대해 불기소 처분을 내렸다. 그러나 전씨는 다시 “20대에 부군수급인 최연소 보좌관이 됐다”는 등 허위사실을 공표해 선거법을 위반했는데도 검찰이 불기소처분을 내린 것은 위법하다며 재정 신청을 냈고 이를 법원이 받아들인 것.
법률가들의 시각은 엇갈린다. 유권자를 현혹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허위사실을 공표했다는 지적과 국회 등록과 관계없이 실질적으로 노 의원 보좌관직을 역임한 만큼 허위사실이 아니라는 동정론이 비슷한 세를 형성한다. 춘천지법 영월지원에 회부된 이 사건에서 이 의원은 벌금 100만원 이상의 형이 확정되면 의원직을 잃게 된다.
이 의원은 거듭되는 불운에도 서울대 그린바이오 첨단연구단지를 지역구에 유치해 정치적으로는 나름대로 성과를 거두었다. 2009년 12월 조성될 이 첨단연구단지에는 서울대와 강원도, 평창군이 2300억원을 투입할 계획이다. 인구 5만명의 산골동네에 2300억원의 거액이 지원되는 것은 이례적인 일이다. 2003년 7월 체코 프라하에서 열린 국제올림픽위원회(IOC) 총회에서 캐나다 밴쿠버에 역전패한 악몽에서 평창을 구해줄 인물로 이 의원을 꼽는다. 때문에 지역민들은 이어지는 이 의원의 불운이 안타깝기만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