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동아 231

..

추락하는 JP, 날개가 없다

‘정치 텃밭’ 40년만의 흉작 … 정치 역정 최대 위기

  • 입력2006-05-19 10:52:00

  • 글자크기 설정 닫기
    추락하는 JP, 날개가 없다
    새 천년의 첫 선거인 4·13총선 결과를 읽어내려는 많은 정치분석가들이 내놓는 가장 큰 화두는 아마 ‘3김시대의 청산’일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자민련의 침몰과 김종필명예총재(JP)의 추락은 그 확실한 징후인 셈이다.

    2000년 벽두에 시민단체들은 JP에게 ‘지나간 천년의 구시대 인물’이라는 딱지를 붙여 정계은퇴를 ‘권고’했다. 그 여파였을까. 이번 총선에서 유권자들은 JP에게 등을 돌렸다. 50석의 당당한 제3당이던 자민련이 교섭단체도 못만드는 17석의 미니정당으로 전락했고, ‘JP 맨’들이 줄줄이 낙선했다. 비례대표라는 안전망에 있던 JP만이 ‘살아남은 자의 슬픔’을 느끼게 만들었다.

    물론 이같은 무참한 결과는 JP와 자민련이 스스로 자초한 결과일 수 있다. ‘보수’라는 이름 아래 변화를 수용하길 거부했고 “이런 버릇없는 놈들”이라고 냅다 소리를 질렀다. 아니, ‘젊은 것들’이 JP에게 변할 수 있는 여지를 주지 않았는지 모른다. 이미 수십년 동안 자신을 괴롭혀온 묵은 상처에다 아예 ‘퇴물’이라는 불도장을 찍어버렸기 때문이다.

    어쨌든 JP는 저항했다. 김대중대통령의 측근들이 주도한 ‘음모극’이라고. 시민단체라는 홍위병을 내세워 ‘조반유리’(造反有理·반란에는 다 이유가 있다)라는 문화혁명 논리로 자신을 죽이려 하고 있다며, 자신은 배신당했다며 동정을 사려 했다.

    하지만 그를 동정하는 사람은 많지 않았다. JP 말이라면 그저 고개를 끄덕이던 충청도 사람들마저 고개를 절래절래 흔들고 말았다. 그런 민심이 바로 이번 선거결과로 나타났고 JP로서는 40년 정치역정에 최대의 위기를 맞게 된 것이다.



    과거에도 위기는 많았다. 박정희정권에서 수차례 ‘자의반타의반(自意半他意半) 외유’에 나서야 했고 80년 신군부에 의해 부패인사로 낙인찍혀 정치규제에 묶이는 수모도 당했지만 그에겐 충청도라는 ‘믿는 구석’이 있었다. 그러나 이번의 경우는 달랐다. 충청도 사람들 상당수가 JP 대신 이인제(李仁濟)라는 새로운 ‘대안’에 표를 준 것이다.

    JP는 선거 직전까지도 이런 분위기를 믿지 않았다. 선거 전날인 4월12일 충청권을 헬기로 순회하던 JP는 각종 여론조사 결과를 보고받고도 “적어도 지역구에서만 35석 안팎은 된다”고 장담했다. 그러면서 늘상 하던 우스갯소리도 잊지 않았다. “충청도 사람들은 그저 ‘몰러유’ 하다가 답답해서 발길을 돌릴 때 쯤에야 ‘근디, 그 표가 어디 가남유’ 하는 사람들”이라고. 그래서 “충청도는 까봐야 안다”고.

    그러나 참담한 결과가 나온 13일, JP의 충격은 컸다. JP는 다음날 새벽까지 2층 침실에서 TV 앞을 떠나지 않았다. 마지막까지 설마 설마 하면서. 하지만 이내 뭔지 모를 분노에 사로잡혔고 쉽게 진정이 되지 않았다. 부인 박영옥여사가 위로의 말을 하려 해도 “시끄러”라고 소리를 질러 말조차 붙이지 못할 정도였다고 한다. 결과가 확실해진 14일 새벽 3시가 넘어 JP는 일부 당선자들에게 전화를 걸었다. “수고했다. 일간 한번 보자”고. 특히 강창희의원에겐 “이거 엉망진창이 됐구먼…”이라며 말을 잇지 못했다고 한다.

    그리고 JP는 청구동 자택 문을 걸어잠그고 2층 침실에서 꼼짝도 하지 않았다. 급기야 15일 이한동총재를 비롯한 당직자 7명이 들이닥쳤지만 파자마 바람으로 이들을 맞았다. 파자마 차림은 앞으로 집 밖에 나가지 않겠다는 일종의 ‘시위’로 해석됐다. 위기가 닥치면 항상 그랬듯이 JP는 칩거하면서 ‘깊은 침묵’으로 들어갔다고 사람들은 말했다.

    그러자 측근들 사이에선 즉각 JP의 ‘필사즉생’(必死卽生)이라는 말이 나왔다. “한번쯤 JP가 죽었다 살아나야 한다. 그래야 자민련이 살아난다”고 했다. JP의 정계은퇴나 2선후퇴 가능성을 에둘러 말한 것이다.

    하지만 JP는 그런 사람이 아니었다. 그는 지금껏 한번도 자신을 완전히 버려본 적이 없다. 굴곡 많은 역정의 삶이었다지만 권력에 의한 직접적 위해(危害)에 직면해본 적이 없고 칼끝이 다가오면 예민한 감각으로 서둘러 몸을 낮췄다. ‘정면돌파’라느니 하는 단어는 JP의 사전엔 없었다. 아니나 다를까. JP는 16일 한가롭게도 측근들과 서울 근교로 나가 골프를 즐겼다. ‘도둑골프’를 즐기려다 사진기자에게 들켜버린 것이다. JP의 외출이 알려지면서 청구동 골목에 기자들이 진을 치고 JP의 귀가를 기다리자 JP는 결국 ‘장기외박’을 하면서까지 외부의 시선을 피해버렸다. 상심(傷心)의 시간은 이제 끝났음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이제 측근들은 새삼 강조한다. “선거가 끝나고 나서야 충청도 사람들이 ‘아뿔사, 우리가 JP를 잠시 잊었구나’라며 후회하고 있다. 충청권 사람들은 항상 일 저질러 놓고 한발짝 늦게 반성한다”고. 그러면서 “JP가 이렇게 맥없이 물러난다면 지난 40년간의 JP는 뭐가 되느냐”고 항변한다.

    그러나 JP가 다시 정치의 전면에 나서기까진 시간이 꽤 필요할 듯하다. 자민련이 당선자 영입을 통해 교섭단체를 구성한다면 유유자적하며 캐스팅보트 역할을 즐길 수 있겠지만 이는 결코 쉽지 않은 일이다. 그래서 ‘백기투항’이냐, ‘공중분해’냐의 갈림길에 선다 해도 자민련은 여전히 값 나가는 존재일 수밖에 없다. 물론 JP가 당선자 17명을 흔들림없이 지켜낸다는 전제 아래서다.

    결국 당분간 JP에게 남은 일은 자기 식구를 온전히 보전하면서 기다리는 것 뿐이다. 언제나 그랬듯이.

    극우논리 억지 꿰맞추기 흔적 역력

    당 지도부 "지나친 논리적 비약" 공개 불가 결정


    16대총선이 한창이던 지난 4월6일 자민련의 인터넷홈페이지(http://www.jamin.or.kr)의 ‘HOT TOPIC’란에는 ‘재야급진 시민세력의 사상적 실체를 밝힌다’는 제목과 함께 다음과 같은 목차가 떠올랐다.

    Ⅰ.본질

    Ⅱ.사상적 배경

    1.최장집의 ‘제2건국’ 정의

    2.대통령정책자문기획위원회와 제2건국위의 실체

    Ⅲ.급진이론 주창의 양태

    1.개혁신당 창당의 의도

    2.급진이론의 주창자들(이재정의 ‘시민연대론’의 실체, 이창복의 급진세력의 정치세력화론, 김성재의 사상적 배경)

    Ⅳ.총선시민연대와 현 정권의 연계의혹 근거

    Ⅴ.청와대의 전략적 오류

    Ⅵ.재야급진세력의 숨겨진 음모

    목차만 봐선 한 편의 ‘논문’처럼 보인다. 꽤나 궁금증을 자아내게 하는…. 그러나 선거가 끝나도록 그 이상의 내용은 나오지 않았다. 이유는 당 지도부가 ‘공개불가’ 방침을 세웠기 때문이라고 당 관계자는 설명했다. JP도 ‘논문’의 내용을 읽어보고 요약본을 측근들에게 나눠 읽어보도록 했다고 한다.

    이 ‘논문’은 총선시민연대의 낙선운동에 맞서 시민단체와 정면대결을 위해 준비한 보고서. 자민련이 제기한 이른바 ‘음모론’의 근거가 되는 자료 및 대응방안이 담겨 있다. 28쪽 분량으로 원 제목은 ‘재야 시민세력의 정치관여에 대한 사상적 배경과 실체(DJ정권의 사상적 실체와 음모를 밝힌다)’. 작성일은 3월24일.보고서의 내용인즉, “김대중대통령의 재야시절 이론제공자인 최장집 한상진 황태연 등 진보혁신인사들이 정부와 시민단체의 연대를 적극 추진해야 한다는 논리를 개발, 그들이 염원하는 ‘중도적 사회주의’를 기도하던 중 신당창당 과정에서 김상근 이재정 이창복 김성재 등이 전면에 나서 자민련의 대체세력으로 재야 시민단체를 정치권에 동참시켰다”는 게 주요골자.

    이에 따라 총선연대의 낙선운동을 “재야급진세력의 기틀을 마련할 수 있는 ‘진보정당’을 꾀하는 과정에서 파생된 정치공작”이라고 규정했다. 그러면서 급진이론가들이 주창해온 논리들을 소개, 나름대로 해석하고 커넥션 의혹의 근거로 △좌경사상에 가까운 대통령 주변인사들 △재야시민단체 경력자들의 정부참여 △총선연대 사람들의 정권주변 포진 △시민단체의 신관변단체화 및 비리 등을 제시하고 있다.

    하지만 전반적으로 논리적 비약이 많은데다 몇몇 자료들을 얼기설기 엮어 자민련의 ‘극우논리’에 억지로 꿰맞춘 듯한 미완성작. 한 당직자도 “내용이 너무 성기다”고 평했다. 당 지도부가 총선전 활용을 꺼린 것도 이 때문인 듯하다.

    어쨌든 4·13총선 결과 총선연대의 낙선운동은 자민련에 엄청난 타격을 줬다. 낙선대상으로 찍힌 자민련후보 중 살아남은 사람은 원철희 당선자 하나였다. 이같은 결과를 놓고 당 관계자들은 “총선연대에 의한 자민련 대학살”이라고 분개했고 뒤늦게 “차라리 시민단체와 한 판 붙어보기나 할 걸 그랬다”는 말도 나오고 있다.




    댓글 0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