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동아 973

..

초저금리에 맞서는 3가지 전략

일·자산운용·절세 삼각편대 구성하라

  • 이상건 미래에셋 은퇴연구소 상무 sg.lee@miraeasset.com

    입력2015-01-26 13:20:00

  • 글자크기 설정 닫기
    초저금리에 맞서는 3가지 전략

    2014년 3월 17일 서울 종로구 청계천로 한국투자증권 종각지점에서 직장인 이유경 씨(왼쪽)가 소득공제장기펀드 가입 신청서를 쓰고 있다.

    “금리는 다른 자산가격에 중력처럼 작용합니다. 금리가 높을 때는 자산가격을 끌어내리는 힘도 커진다는 말입니다.”

    2014년 5월 최고 투자자로 꼽히는 워런 버핏이 미국 경제 채널 CNBC와 인터뷰에서 한 말이다. 금리의 높낮이에 따라 다른 자산들의 상대적 가치가 변한다. 10% 이상의 고금리라면 사람들은 주식이나 부동산보다 예금이나 채권을 선호할 것이다. 고금리가 중력처럼 작용해 다른 자산가격을 끌어내리기 때문이다. 반대로 초저금리 환경에서는 다른 자산의 상대적 가치가 올라갈 확률이 높다.

    최근 금리 동향에서 눈에 띄는 것이 있다. 바로 일부 은행에서 3년 만기 정기예금 금리를 1%대로 낮춘 것이다. 3년 만기 상품은 1년이나 2년짜리에 비해 금리를 더 줘야 한다. 긴 시간지평에 대한 보상이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은행들이 3년 중기 금리를 낮춘 것은 앞으로도 금리가 오르지 않는다는 쪽에 베팅했음을 의미한다. 대출 금리도 하향 추세다. 심지어 2%대 부동산담보대출까지 등장했다. 부동산담보대출 금리는 3%를 마지노선으로 여겼는데, 이번에 그 선을 넘는 대출 상품이 나타난 것이다.

    예금 금리가 1%대, 대출 금리가 2%대로 떨어지면 금리라는 중력은 어떻게 작용할까. 일차적으로 지적할 수 있는 것은 초저금리 국면에 진입함에 따라 일(인적자산)의 가치가 상대적으로 올라가고, 필요한 은퇴자금은 급증하는 현상이 나타난다는 점이다.

    1%대 예금, 2%대 대출 등장



    자산으로서 인적자산은 매월 이자를 지급하는 채권이나 월지급식 예금 등과 비슷한 성격을 지닌다. 목돈을 넣어두고 생활비를 뽑아 쓰는 구조라는 얘기다. 예를 들어 매월 100만 원씩 급여를 받는다는 것은 매월 100만 원씩 이자를 받는 것과 같다고 할 수 있다. 매월 100만 원씩 이자를 받기 위해서는 금리 5%일 경우 2억4000만 원이 있어야 한다(계산상 편의를 위해 세금은 고려하지 않았음). 금리 3%라면 4억 원으로 금액이 올라간다. 2%와 1%라면 각각 6억 원, 12억 원으로 가파르게 상승한다. 금리가 3% 이하일 때부터 금액 상승률이 크게 높아진다. 그래서 금리 3%인 지점을 ‘금리 티핑 포인트’라 한다.

    금리가 낮아질수록 필요한 은퇴자금도 급증한다. 은퇴 후 연간 2000만 원의 이자로 생활한다고 가정해보자. 이자가 발생하는 안정적인 금융자산을 이용해 이 자금을 조달하려면, 금리가 5%일 때는 4억 원의 현금이 필요하지만 4%는 5억 원, 3%는 약 7억 원, 2%일 때는 10억 원이 필요하다. 금리가 1%라면 20억 원이 있어야 한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변화율’이다. 5%에서 4%로의 변화율보다 3%에서 2%로 낮아질 때의 변화율이 크다. 2%에서 1%로 떨어지면 변화율이 100%나 된다.

    초저금리에 맞서는 3가지 전략
    5% 이상 고금리 구간에서는 금리가 1%p 하락할 때 필요자금은 25% 이하의 변화율을 보이지만 3% 이하 초저금리 구간에서는 50% 이상 급격하게 상승한다. 1%p가 만들어내는 변화율의 크기가 금리가 낮아질수록 더 커지는 현상이 나타난다. 이런 현상이 시사하는 점은 초저금리 상황에서는 수익률을 1% 더 높이면 필요자금 부담을 상대적으로 많이 줄일 수 있다는 것이다. 같은 1%라도 고금리 시절 1%보다 초저금리 시절 1%가 더욱 효용이 큰 것이다.

    1%대의 예금이 등장하는 지금 같은 초저금리 시대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일(인적자산)과 중위험·중수익 추구, 절세 등 3가지 전략을 입체적으로 짜야 한다. 인적자산은 연봉 같은 돈의 크기보다 평생총소득의 개념으로 접근해야 한다. 장수 시대에는 연봉이 적더라도 오래 일하는 것이 인적자산의 가치를 높이는 길이다.

    중위험·중수익 전략은 분산투자를 통해 실현할 수 있다. 고금리 구조에서는 안전자산과 위험자산에 분산하는 것만으로도 충분히 자산 배분이 가능하다. 즉 이자 수익이 있는 채권 같은 자산과 위험자산인 주식에 분산해도 포트폴리오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었다. 하지만 초저금리 환경에서는 이런 단순한 자산 배분만으로는 수익률 제고가 어렵고 리스크도 높아진다. 이자 수익은 별 볼 일 없는데 주식 리스크는 고스란히 떠안아야 하기 때문이다.

    중위험·중수익 전략을 추구하기 위해서는 넓게 분산해야 한다. 다양한 지역과 자산에 분산투자하면 최고는 아니더라도 중간 정도의 수익률은 낼 수 있다. 2004년부터 2014년까지 매년 최고 수익률을 기록한 투자처는 바뀌었다(표 참조). 예를 들어 2007년에는 신흥국 주식이 압도적인 1위를 기록했지만 서브프라임 금융위기가 발발한 2008년에는 지역을 막론하고 주식이 마이너스 수익률을 보였다. 채권만 살아남았다.

    다양한 지역과 자산에 분산투자하라

    만일 선진국 주식, 신흥국 주식, 국내 주식, 선진국 채권, 신흥국 채권, 국내 채권에 동일한 비율로 자산 배분했다면 어떠했을까. 최고는 아니었다. 7개 투자처 중 3번째 혹은 4번째 순위를 기록했다. 대박은 아니었지만 쪽박도 아니었다. 국내외 자산에 골고루 분산투자한 결과, 적어도 수익률 최하위는 면할 수 있었고 손실 변동폭도 줄일 수 있었다.

    만일 큰 수익을 노리고 매년 최고 수익을 낸 대상을 쫓아다녔다면 최악의 수익률을 기록했을 확률이 높다. 가령 국내 주식에만 투자했을 경우 1~2년 단위로 천당과 지옥을 오갔을 공산이 크다. 지역과 투자 대상을 넓게 해 분산투자한다면 안정성은 높이면서도 적정 수익률을 거둘 수 있다. 이것이 바로 분산투자를 통한 중위험·중수익 추구 전략이다.

    2014년 연말정산 논란에서도 드러났듯이 이제 세금 이슈는 보편적 주제가 될 것이다. 재산의 많고 적음에 따라 세금을 바라보는 시대는 끝났다. 세금은 재산 규모에 상관없이 자산관리의 보편적 이슈로 자리 잡게 될 것이다. 고령화가 진척되고 정부 재정이 나빠지며 저성장·감속 경제로 부(富)의 파이가 작아진 세상에서는 세금을 둘러싼 이해 갈등이 항상성을 가질 수밖에 없다.

    게다가 지금은 초저금리 시대다. 초저금리 시대로 갈수록 확실한 수익 원천인 절세는 자산운용의 필수과제다. 연금저축계좌, 비과세종합저축제도, 소득공제장기펀드, 재형저축, 10년 이상 장기성 보험 등 세제혜택 관련 상품은 자격이 되면 무조건 가입해야 한다고 생각해야 한다.

    초저금리를 이겨내기 위해서는 일(인적자산), 자산운용, 절세의 삼각편대를 잘 구성해야 한다. 평생총소득 관점에서 일을 보고, 넓은 분산투자로 중위험·중수익 전략을 추구하며, 절세를 통한 실질수익률 제고를 통해 한국 경제사에 처음 얼굴을 드러낸 초저금리와 맞서 싸워나가야 한다.



    댓글 0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