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천은 문경시 영순면 이목리와 예천군 풍양면 삼강리 사이의 삼강나루에서 낙동강 본류와 합류한다. 봉화 오전약수부터 흘러온 내성천도 여기서 만난다. 그렇게 세 물줄기가 만난다고 해서 삼강(三江)이다. 강줄기가 중요한 교통로였던 옛적에는 당연히 교통 요충지였던 곳이기도 하다. 안동 이남의 경상도 선비들이 문경새재를 거쳐 한양으로 가려면 어김없이 이곳 삼강나루를 건너야 했다. 또한 낙동강 물길을 거슬러온 소금과 세곡(稅穀)도 여기서부터는 육로를 이용해야 했다.
옛 시절의 삼강나루터에는 늘 뱃사공·짐꾼·견마잡이 등으로 북적거렸고, 그들을 상대로 한 주막집과 색주가 또한 한둘이 아니었다. 하지만 종로 육의전 거리처럼 흥청대던 옛 시절이 좀처럼 믿어지지 않을 만큼, 이젠 쓸쓸하고 스산한 나루터다. 그래도 수백년 묵은 회화나무 두 그루와 그 나무 아래의 초라한 주막집은 변함없이 제자리에 서 있다. 특히 이곳 주막은 빈 껍데기만 남은 게 아니라 여전히 주모가 살고 있는 주막집이다. 집주인은 미수(米壽·88세)에 들어선 유용녀 할머니인데, 지금도 간간이 찾아오는 길손을 반갑게 맞이한다. 바깥양반이 먼저 세상을 뜬 뒤 주막을 시작한 게 벌써 40년도 넘었단다.
합천 해인사 등 명소도 많아

이 ‘선산 농소의 은행나무’(천연기념물 제225호)는 400여년 전에 엄씨(嚴氏) 성을 가진 마을 사람이 심었다고 한다. 그러나 나무의 크기를 감안하면 그보다도 훨씬 더 해묵은 나무로 짐작된다. 이 나무의 높이는 약 25m에 이르는데, 지상 3m 높이에서 갈라진 3개의 가지가 비슷한 높이로 성장한 덕택에 수형(樹形)이 퍽 준수하다. 보면 절로 경외스런 마음이 생길 만하다. 실제로 농소 마을 주민들은 이 나무를 수호신으로 신성시할 뿐만 아니라 지금도 매년 음력 10월 오일(午日)마다 동제를 올린다고 한다.

성주 땅에 들어서자마자 가장 먼저 눈에 들어오는 것은 참외를 재배하는 비닐하우스들이다. 들녘마다 가득 찬 비닐하우스가 한낮의 햇살 아래 은빛 바다처럼 일렁인다. 이 지방에서 생산되는 성주참외가 우리나라 참외의 대명사가 되다시피 했지만, 같은 성주참외라도 그 품질과 맛은 천차만별이다. 그중 최고의 품질과 맛을 자랑하는 것은 성주군 수륜면 일대에서만 생산된다는 ‘가야산한방참외’다. 여느 성주참외보다 두세 배 더 비싸다는 가야산한방참외를 맛본 적이 있는데, 참외 맛이 그야말로 꿀맛이었다.

관(官)에서 세워놓은 도로 이정표도 부정확하기는 마찬가지다. 국도로 승격된 지가 얼마 안 된 탓인지는 몰라도, 이전의 지방도 표시가 그대로 남아 있는 곳이 허다하다. 어떤 구간에서는 국도로 표시된 이정표를 보고 한참 가다보면 갑자기 지방도로 격하되는 경우도 있다. 그럴 때마다 “새 길 좋아하다가 괜한 고생을 자초했다”는 생각마저 불쑥 들곤 한다.

사방이 가로막힌 산중(山中)의 국도는 거창 땅을 지나고 산청의 경호강과 밤머리재를 만난 뒤에도 한참 동안 계속되다가, 마침내 하동읍내의 섬진강변에 이르러서야 훤한 들녘을 가로지른다. 찻길과 나란히 달리는 섬진강의 물길은 몹시 느릿하게 흘러간다. 이젠 강 하구가 얼마 남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 강물이 남해 광양만 바다에 안길 즈음이면, 저 멀리 강원도 양양에서부터 숨가쁘게 달려온 59번 국도도 1400여 리의 기나긴 여정에 종지부를 찍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