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동아 1009

..

살아 숨쉬는 1960년대 맛

서울 충무로 맛집

  • 박정배 푸드칼럼니스트 whitesudal@naver.com

    입력2015-10-19 13:52:00

  • 글자크기 설정 닫기
    살아 숨쉬는 1960년대 맛

    ‘진고개’의 소불고기.

    서울 충무로는 좁은 골목마다 식당들이 가득하다. 19세기 말 북창동 ‘태화관’ 주변으로 중국인들이 터를 잡았고, 일본인들은 명동과 충무로 일대에 자리 잡았다. 지금의 충무로 자리는 일제강점기 ‘본정통’으로 불리며 전성기를 구가했다. 지금 충무로 위쪽은 진고개라고 불렀다. 진고개란 명칭은 비가 오면 진흙이 넘쳐나던 고갯마루라는 뜻에서 유래했다.

    진고개는 일제강점기부터 쇠고기로 유명했다. 지금도 충무로에는 소불고기로 유명한 ‘진고개’란 식당이 있다. 1963년 문을 연 ‘진고개’는 육수형 서울 불고기의 전형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다. 육수를 담을 수 있는 투구형 불고기판이 50년대 서울에 등장한 것은 전쟁통에 고기가 부족했기 때문이다. 이전의 석쇠형 불고기는 안심이나 등심 같은 고급 부위를 사용한 반면, 육수형 불고기는 허벅지나 엉덩이 같은 하급 부위를 양념육수에 재우고 채소를 가득 담아 먹는 음식이었다.

    1965년 중급 음식점을 조사한 통계를 보면 샐러리맨이 가장 선호하는 외식은 1위 냉면, 2위 불고기백반, 3위 설렁탕, 4위 비빔밥(1965년 5월 20일자 ‘경향신문’) 순이었을 만큼 60년대 불고기는 대중적인 외식으로 자리 잡았다. ‘진고개’의 소불고기는 다른 불고기집에 비해 간이 세지 않고 심심한 편이다. 초창기에는 설탕과 간장을 많이 사용했지만 80년대 이후 건강에 대한 인식이 사회 전반에 걸쳐 공감대를 형성하면서 맛이 순해졌다.

    충무로 하면 떠오르는 단어는 영화다. 1990년대 이전까지 충무로는 영화인의 거리였다. 혼분식장려운동이 한창이던 69년 충무로에선 영화인들이 만든 분식점이 들어서 장안의 화제였다. 69년 7월 10일자 ‘경향신문’ 기사를 보자.

    ‘영화배우들이 직영하는 분식센터 월화의 집이 영업을 시작한 첫날인 10일 상오 9시 라면 일곱 그릇을 거뜬히 팔아치웠다. 이날 당번을 맡은 신영균 군과 최은희 양은 ‘이렇게만 계속 장사가 된다면 하루 500그릇은 문제없이 팔 자신이 있다’고 기염을 토했다.’



    지금 충무로에서 ‘월화의 집’은 사라졌지만 1968년 문을 연 ‘사랑방칼국수’란 분식집은 여전히 영업 중이다. 칼국수를 좋아하는 사람치고 이 집을 한 번 방문하지 않은 사람이 없을 정도로 유명하지만 여전히 싸고 맛은 변함없다. 내장을 제거한 멸치를 24시간 우려낸 맑은 국물은 이 집 칼국수의 상징이다. 맑고 경쾌하지만 경박하지 않다. 면발은 사온 것이지만 롤러로 다시 밀고 뽑아 써서 그리 나쁘지 않다. 이 집의 또 다른 메뉴인 통닭백숙도 유명하다. 퇴근 후 직장인들의 소주 안주로 제격이다. 1.2kg의 닭을 사용해 양도 푸짐한 편이다. 충무로 ‘맛집’답게 배창호 감독의 영화 ‘고래사냥’에도 등장했다.

    ‘사랑방칼국수’ 근처에는 곰탕과 꼬리곰탕으로 유명한 ‘파주옥’이 있다. 경기 평택의 곰탕명문 ‘파주옥’이 1970년대 분점 형식으로 자리 잡은 곳이다. 사골로 곤 탁하고 진한 70년대 곰탕의 본모습을 잘 간직하고 있다. 70년대 중반 문을 연 ‘충무로 쭈구미불고기’ 역시 저녁 술자리 단골집으로 오랫동안 영화인과 직장인에게 사랑받아온 집이다. 살아 있는 주꾸미를 양념해 내놓아 탄력이 좋다. 양념 조개관자도 있다. 매콤, 달콤한 양념이 과하지 않다.

    충무로 뒷골목은 재개발을 하지 않은 덕에 1940년대 골목 모습 그대로다. 60년대부터 본격화된 외식문화와 식당들이 여전히 건재한 곳이다.

    살아 숨쉬는 1960년대 맛

    ‘충무로 쭈꾸미불고기’의 주꾸미구이(왼쪽)와 ‘파주옥’의 꼬리곰탕.





    댓글 0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