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린지페스티벌은 원래 1947년 에딘버러 페스티벌에 초대받지 못한 젊은 공연단체들이 자발적으로 벌인 행사였으며 지금은 비주류, 언더그라운드 축제를 일컫는 말로 쓰인다. 올해 일곱 번째를 맞는 서울프린지페스티벌은 이제 대표적인 아시아 젊은이들의 문화축제가 되어 일본에서 벤치마킹하기도 했다.
올해 ‘서울프린지페스티벌 2004’는 8월20일 밤 서울 홍익대 앞 ‘걷고 싶은 거리’ 특설 무대에서 폭발하듯 시작했다. 이번 축제의 주제는 지난 7년을 되돌아보며 ‘나의 살던 고향은 꽃 피는 프린지’(Fringe Old Boys Come Back Home!)로 정해졌다. 개막 행사의 출연자들은 그동안 프린지 혹은 홍대 앞이 낳은 언더그라운드 스타들이었다. 이들은 축제 기간 동안 각각 공연을 갖게 되므로, 개막 공연자들은 올해 축제의 성격을 대략 보여주기도 한다.

이어 등장한 ‘가관’은 이제 제도권 무용을 희화화하는 창작 무용단으로 제법 지명도가 있다. 종이를 부풀려 만든 우스꽝스런 하얀 발레복을 입은 남자 무용수들은 ‘은하철도 999’에 맞춰 춤을 추었고, 관객들은 큰 호응을 해주었다.


올해 개막 공연은 곧바로 동네 놀이터로 밀려났던 다른 해와 달리 8월20일부터 22일까지 3일 동안 ‘걷고 싶은 거리’ 전체에서 열리게 되었다. 또한 공연장 옆에서는 거리 전시가 이뤄지고 있다.
개막 공연에 나섰던 아티스트들을 포함해 무려 120여 밴드가 ‘고성방가’ 섹션으로 인디 음악의 터전이 된 라이브 클럽 10여곳에서 공연을 한다. ‘노알콜 노니코틴’의 록키드 공연(8월29일, 롤링스톤즈2)이나 여성 보컬밴드 공연 ‘여우들의 반란’(9월5일, 재머스)처럼 독특한 테마를 가진 것이 특징이다.
화랑이나 미술관이 아니라 홍대 앞 ‘대안공간’들인 ‘아트 스페이스 휴’, ‘멀티스페이스 키친’, ‘갤러리 한티’ 등에서는 ‘내부공사’라는 섹션으로 ‘비주류 이미지 왕국의 도래’라는 주제의 전시를 연다. 아마도 홍대 앞 대안공간들은 프린지페스티벌이 시작된 이래 가장 커다란 성장을 보인 주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어려운 환경에서도 수적으로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을 뿐 아니라 아시아 미술계의 주목을 이끌어내는 데도 성공했기 때문이다.

프린지페스티벌이 협찬사들이 탐을 낼 만큼 규모나 형식면에서 크게 성장하고 있지만 줄곧 ‘2%가 부족하다’는 느낌이 드는 건 왜일까. 음악이든 미술이든 몇몇 아티스트를 제외하고는 진지한 발전과 각성보다 발랄함과 치기의 자기 복제가 더 눈에 띄어서일 수도 있고, 너무나 ‘안정’적인 문화행사에 대한 위기감일 수도 있다. 또한 인디와 언더그라운드 문화가 80년대 민족 민중 문화에 빚을 지고 있기에 그 치열함만은 간직하기를 바라기 때문이기도 하다.
서울프린지페스티벌 2004는 홍대 앞 거리와 공연, 전시장에서 9월5일까지 이어지며 전시는 정오부터, 공연은 오후 2시에 시작한다. 자세한 프로그램은 홈페이지(www.seoulfringe. net)에서 볼 수 있다.
주간동아 450호 (p84~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