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상수. 한.글.상.상.’에 전시된 작품은 모두 한글이라는 재료를 부려 만든 것이다. 안상수는 타이포그래피, 즉 글자를 이용해 텍스트의 시각성을 높이는 작업을 25년째 해오고 있다. 그러나 타이포그래피를 단순히 문자 디자인 정도로 생각하면 오산이다.

글자 자체를 조형의 도구로 삼은 안상수의 작품에서 가장 놀라운 것은 상상력의 폭이다. 다다이즘의 선구자 마르셀 뒤샹에게 바친 ‘문자도: 마르셀에의 경의’에서 뒤통수에 자신의 이름 머리글자인 ㅇ과 ㅅ 모양을 새겨 이발을 하는가 하면, 한글의 마지막 자음인 ㅎ의 꼭지를 늘여 알파벳의 두문자 a로 연결시킨 ‘a, 그리고 ㅎ까지’ 등 작가의 상상력은 거침이 없다. 이 같은 상상력은 ‘언어는 별이었다… 의미가 되어… 땅에 떨어졌다’와 ‘한글 만다라’에서 절정에 달한다. 그의 상상을 통해 한글은 우주와 삼라만상의 이치에까지 가 닿는다.

로댕갤러리와 9개월간 머리를 맞대고 준비한 이 개인전을 안상수는 “유쾌한 작업이었다”고 말했다. “전시는 작가의 작품인 동시에 기획자의 작품이기도 합니다. 이번 전시는 로댕갤러리가 나를 나름의 방식으로 해석했다고도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나는 거기에 맞춰 나를 표현했지요.”


“처음에는 그저 근사한 글자꼴을 만들려고 했지만 잘 안 되었어요. 한글의 조형원리를 탐구하다가 안상수체까지 가게 되었죠. 또 한글은 그 자체로 디자인적인 미감을 가지고 있습니다. 처음부터 조형적 원리를 가지고 탄생한 글자이기 때문입니다.”
전통문양과 한글, 이상(李箱)의 시와 타이포그래피를 연결하기도 한 그의 상상력은 최근 한글의 상형성을 향해 가고 있다. 그는 쐐기문자나 상형문자 같은 고대문자를 보면 거의 ‘빨려 들어갈 것 같은’ 매력을 느낀다. “한자 같은 상형문자가 표음문자를 추구하고 표음문자인 한글은 상형문자를 추구하는 것 같아요. 컴퓨터 아이콘 중에도 휴지통이 있고 거기에 문서를 버릴 수 있잖아요? 새로운 현대의 상형문자가 등장한 셈이죠.”
전시작품 중에는 흰 페인트로 칠해진 ‘한글 대문’이 있다. 로댕갤러리측이 작가의 집 대문을 삼고초려 끝에 가져와 전시한 것이다. 한글 자모를 용접해 붙인 흰색 문은 마치 경쾌한 조형의 세계로 들어가는 입구처럼 보였다. 그 문을 밀고 문자의 우주 속으로 들어가 보고 싶은 충동에 문득 손이 꿈틀거렸다(7월21일까지. 문의 : 02-2259-7781).
주간동아 337호 (p84~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