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동아 233

..

유연한 사고·비전이 부족해요

마이클 헤이 변호사가 본 한국 기업…해외매각은 ‘일자리 창출’ 좋은 기회

  • 입력2005-10-26 12:06:00

  • 글자크기 설정 닫기
    유연한 사고·비전이 부족해요
    그의 말 한 마디 한 마디에서는 한국과 한국인에 대한 애정이 잔뜩 배어났다. 한국인 동료 변호사와 함께 술자리에서 폭탄주를 즐길 정도로 ‘한국적인’ 문화에 익숙한 그는 외국투자가에게 한국과 한국문화를 설명할 때가 가장 즐겁다고도 했다. 그래서인지 유창한 한국어로 늘어놓은 한국 기업에 대한 그의 충고는 더욱 값졌다.

    마이클 헤이. 스코틀랜드에서 영국인 아버지와 프랑스인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나 영국 프랑스 이중국적을 가지고 있고, 91년부터 법무법인 태평양에서 일하고 있는 뉴욕주 변호사. 외국인투자부문, 노동법, 국제중재 및 국제소송 관련 일을 하면서 한국 기업과 접촉할 기회가 많기 때문에 한국의 기업문화에 대해서도 밝다.

    그는 동양의 가부장적인 유교문화를 충분히 이해하고 장점도 많다고 인정하지만, 기업에서는 유연성을 떨어뜨리는 요인으로 작용한다고 지적했다. 유교적 질서 때문인지 기업의 의사결정 과정이 군대식으로 경직돼 있다는 것.

    “그런 한국 기업을 볼 때마다 취미인 경비행기 조종을 처음 배울 때 교관이 하던 말이 떠오르곤 합니다. 동양 사람들은 시험성적은 뛰어나지만 모형 비행기 조종실에서 모의 훈련을 받을 때 돌발상황에 부닥치면 어찌할 바를 모른다고 하더군요. 창의적인 생각 없이 위의 지시에만 길들여져 있기 때문이라고 봅니다. 오늘날 급변하는 기업경영 환경을 헤쳐나가기 위해서는 비행기 조종 때처럼 돌발적인 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 유연성이 무엇보다 필요합니다.”

    그는 한국 기업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것이 대왕(大王)이라고 했다. 한국 기업을 위해 국제 협상에 참여하다 보면 대왕과 같은 최고경영자의 막강한 권한을 자주 목격한다는 것.



    “임원들이 외국의 협상 상대와 며칠간을 밤새운 끝에 최종안을 마련해 사인만 남겨놓은 상태에서 하루 아침에 비토 놓는 최고경영자를 많이 봤습니다. 그들은 협상 당시 골프나 치며 협상에 전혀 관여하지 않고 있다가 아랫사람들이 애써 협상해놓은 것을 손바닥 뒤집듯 뒤엎어 버리곤 했습니다. 외국인들이 이해하지 못하는 것은 차치하고라도 결국은 자신의 기업에 불이익을 가져다주는 행동입니다.”

    그는 98년 12월3일 한국과 국제통화기금(IMF)이 양해각서를 체결한 다음날 뉴욕의 한 모임에서 “한국은 ‘기본적으로’ 2년 이내에 IMF 위기를 극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연설했을 정도로 한국의 저력을 믿는다. 한국이 그동안 일제침략 등 많은 어려움을 겪었지만 그때마다 슬기롭게 이겨낸 역사를 잘 알기 때문이다.

    그러나 앞으로 한국 기업이 세계 무대에서 경쟁하기 위해 필요한 조건을 충고하는 것도 잊지 않았다. 경영자들은 말할 것도 없고 일반직원들도 영어를 배워야 한다는 것. 이를 위해서는 직원들에게 해외연수 기회를 많이 주어야 한다고 말했다. 영어회화를 잘 한다는 것은 그들의 사고방식을 이해하는 실마리가 될 수 있고, 그럼으로써 세계무대에서 한국 기업의 이익을 더 잘 방어할 수 있다는 것.

    “영국의 권위있는 경제전문지 ‘파이낸셜 타임스’나 주간지 ‘이코노미스트’를 열심히 읽는 것도 세계시장의 흐름이나 비즈니스 기회를 포착하는 데 도움이 된다고 생각합니다.”

    또 무조건 ‘동양 최고’니 ‘세계 최대’니 하는 ‘최고병’에서 벗어나야 한다고 강조했다. 통제 가능한 규모를 벗어나면 위험할 뿐 아니라 외국인 눈에는 유치하기까지 하다는 것.

    그는 한국 기업에서 가장 취약한 부분이 비전이라고 지적했다. 영국에서는 흔히 ‘말은 비싸지 않다’(talk is cheap)고 하는데 비전이란 값싼 말과 다르다는 것. 실현 가능성 있는 독특한 아이디어 및 이를 실행할 수 있는 능력이 바로 비전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최근 외자유치와 관련, 일부에서 국부 유출 논란이 일고 있는 것에 대해 한국인의 심정을 이해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한국 기업의 해외매각을 ‘가보(家寶)를 팔아먹는’ 행위로만 볼 게 아니라 일자리를 창출하고 선진 경영기법을 전수할 수 있는 좋은 기회로 활용해야 한다고 충고했다.



    댓글 0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