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는 6월 4일과 5일 ‘주간동아’가 여론조사 전문기관 서던포스트에 의뢰해 경기도 거주 19세 이상 성인 남녀 808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 결과다. 유무선 자동응답방식(유선전화조사 70.9%, 무선전화조사 29.1%)의 조사로, 통계보정은 2018년 4월말 현재 행정자치부 주민등록인구통계에 따라 성·연령·지역별 가중치를 부여했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4%p 이며, 응답률은 2.4% 였다.(이하 여론조사와 관련한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인터넷 홈페이지(www.nesdc.go.kr) 참조)
경기도민 다수가 ‘일 잘할 것 같은 후보에게 한 표를 주겠다’고 마음먹고 있지만 경기도지사 선거전은 ‘형수 욕설’과 ‘여배우 스캔들’ ‘땅 투기 의혹’ 등 도덕성 논란으로 얼룩졌다.
음성파일 공개 효과는…
![5월 29일 서울 여의도 KBS에서 열린 2018 지방선거 경기도지사 후보 토론회에 참석한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자유한국당 남경필, 바른미래당 김영환, 정의당 이홍우 후보(왼쪽부터)가 토론회에 앞서 손을 맞잡고 있다. [국회사진취재단]](https://dimg.donga.com/ugc/CDB/WEEKLY/Article/5b/19/e1/e6/5b19e1e60cb9d2738de6.jpg)
5월 29일 서울 여의도 KBS에서 열린 2018 지방선거 경기도지사 후보 토론회에 참석한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자유한국당 남경필, 바른미래당 김영환, 정의당 이홍우 후보(왼쪽부터)가 토론회에 앞서 손을 맞잡고 있다. [국회사진취재단]
이 후보는 5월 13일 일찌감치 형수 욕설과 관련해 사과하고 진상을 스스로 공개했다. 이 후보는 “어머니에게 있을 수 없는 패륜행위를 하고 이 때문에 나와 심한 말다툼을 여러 차례 한 형님 부부는 시정 개입을 막는 나를 압박하려고 이를 몰래 녹음한 후 법원 명령을 무시한 채 (녹음파일을) 불법 유포했다”며 사건의 구체적 경위를 관련 자료와 함께 밝혔다.
욕설 녹음파일이 불법 논란으로 잠잠해진 사이 TV토론회에서는 바른미래당 김영환 후보가 이 후보를 향해 ‘여배우 스캔들’ 문제를 제기했다. 5월 29일 KBS 경기도지사 후보 토론회에서 김 후보는 이 후보에게 “만남을 갖던 여배우가 있지 않느냐”고 물었고, 이 후보는 “옛날에 만난 일이 있다”고 답했다. 이어 김 후보가 “얼마나 만났느냐”고 묻자 이 후보는 “여기는 청문회장이 아니다”라며 답변하지 않았다.
여배우 스캔들 논란은 6월 5일 MBC 상암스튜디오에서 열린 경기도지사 후보자 토론회에서도 이어졌다. 김 후보가 이 후보를 향해 ‘여배우 스캔들’ 문제를 집중적으로 제기했지만 이 후보는 김 후보의 거듭된 질문에 “그런 일 없다”고 일축했다.
지방선거=자유한국당 심판의 장?

스캔들 논란이 선거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응답자 비율(34.4%)과 남 후보 지지율(34.8%)이 비슷하고, 영향을 끼치지 않을 것이라는 응답자 비율(55.9%)과 이 후보 지지율(52.8%)이 비슷하게 나온 점이 눈에 띈다. 즉 지지 후보를 어느 정도 결정한 상황에서 스캔들 논란이 불거져 지지후보를 바꾸는 데 별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실제로 이 후보 지지자의 83.3%는 스캔들 논란이 선거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이라고 응답한 반면, 남 후보 지지자의 66%는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답했다.
특히 남 지사의 도정운영에 대한 호불호에 따라 스캔들 논란의 반응이 갈렸다. 남 지사가 도정운영을 잘했다고 한 응답자의 50.1%는 스캔들 논란이 선거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답했고, 도정운영을 잘 못 했다고 답한 응답자의 81.2%는 선거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이라고 답했다. 하지만 6월 7일 김 후보가 국회에서 ‘여배우 스캔들’과 관련해 구체적 정황을 밝힘에 따라 표심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주목된다.
이번 지방선거에 대한 성격 규정도 후보 지지율에 영향을 끼친 것으로 보인다. 경기도민을 대상으로 한 여론조사에서 응답자 절반에 가까운 49.6%는 더불어민주당 주장처럼 이번 지방선거를 남북화해 분위기를 해치는 자유한국당 심판의 장으로 여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에 비해 최저임금 등 소득주도성장 실패에 따른 문재인 정부 경제심판의 장이 돼야 한다는 응답은 32.9%에 그쳤다(그래프3 참조).
북핵 해결과 평화 정착을 위한 남북, 북·미 관계 개선에 대한 노력이 이번 지방선거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보느냐는 물음에 경기도민 65%는 ‘영향이 있을 것’이라고 답했다. 이번 지방선거가 싱가포르에서 개최되는 북·미 정상회담 다음 날 치러진다는 점에서 북·미 정상회담 결과에 따른 영향도 무시하지 못할 변수로 등장한 셈이다.
문재인 대통령에 대한 국정운영 지지율은 71.3%였다. 즉 높은 대통령 국정운영 지지율과 남북, 북·미 관계가 선거에 끼치는 영향 등 지방선거를 둘러싼 외부적 환경 요소가 녹음파일 공개와 여배우 스캔들 논란 등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이슈들을 덮어 이 후보에게 유리하게 작용하고 있는 셈이다.
더불어민주당 정당 지지율 역시 52.6%로 이 후보 지지율과 비슷했다. 선거는 후보자 간 대결구도이기도 하지만, 실제로는 정당 대 정당의 대결구도라는 점을 경기도지사 선거 여론조사는 극명하게 보여주고 있다. 자유한국당 정당 지지율 21.3%보다 남 후보 지지율(34.8%)이 10%p 이상 높게 나타난 것은 남 후보가 지난 4년간 도지사로서 도정을 잘 이끌었다는 평가가 반영된 결과로 보인다. 남 지사의 도정운영 평가에서 경기도민의 51.6%는 잘했다고 평가했고, 잘 못 했다는 평가는 34.0%에 그쳤다. 이 같은 여론조사 결과는 남 지사가 이번 지방선거에서 정당의 후광효과를 누리지 못하고 개인기로 선거를 치르고 있다는 방증인 셈이다.
이 후보의 우세는 지방선거 때까지 지속될 수 있을까. ‘현재 후보를 투표 당일까지 계속 지지하겠느냐’는 물음에 응답자의 76.8%는 계속 지지하겠다고 했고, 19.1%는 지지후보를 바꿀 수 있다고 답했다. 이번 여론조사에서 이 후보와 남 후보 간 지지율 격차가 18%p로 적잖은 편이다. 그렇지만 19.1%의 유권자가 투표 막판 변심 가능성이 남아 있다는 점은 이 후보에게는 불안 요소, 뒤쫓는 남 후보에게는 한 가닥 희망이 될 것으로 보인다.
이재정의 재선이냐, 송주명과 임해규의 역전이냐

경기도교육감 선거는 현직 교육감인 이재정 후보를 민주진보 단일후보인 송주명 후보와 보수진영 단일후보로 나선 임해규 후보가 압박하는 모양새다.
즉 경기도교육감 선거는 보수 후보 한 명에 진보 후보가 여럿 출마해 막판 유권자 표심이 누구에게 쏠리느냐에 따라 결과가 달라질 수 있다는 관측이 많다. 특히 송 후보는 경기지역 시민단체들이 추진한 민주진보 경기도교육감 단일후보 경선을 통해 본선에 진출했다. 단일후보 경선에는 송 후보 외에도 정진후 전 정의당 원내대표, 이성대 신안산대 교수, 구희현 416교육연구소 이사장, 박창규 전국교직원노동조합 초대 경기지부장 등이 참여했다.
주간동아 조사에서 투표할 후보를 결정하지 않은 유보층은 27.1%에 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