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동아 1416

..

소비자 눈 속이는 기업들의 ‘꼼수’ 가격인상

고물가에 함량·용량 줄이는 스킴플레이션·슈링크플레이션 만연

  • reporterImage

    김우정 기자

    friend@donga.com

    입력2023-11-25 09:00:01

  • 글자크기 설정 닫기
    “옛날에는 1000원 한 장 주면 붕어빵 4마리를 먹을 수 있었는데, 얼마 전 노점에서 같은 값에 미니 붕어빵 3마리를 팔더라. 워낙 고물가 시대라 이 정도는 웃어넘겼는데, 대기업이 티도 안 나게 상품 중량이나 개수를 줄인다고 하니 소비자로서 속은 것 같아 불쾌하다.”(경기 고양시에 거주하는 30대 주부 이 모 씨)

    “(일부 기업이) 맥주나 냉동만두 값은 그대로 두고 양(量)만 줄였다는 것도 뉴스를 보고 뒤늦게 알았다. 대형마트에 가면 가격표에 제품 100g당 가격이 얼마인지 써 있긴 하지만, 같은 제품의 용량이 어떻게 변했는지 일일이 체크할 순 없지 않나. 체감상 월급보다 물가가 더 빠르게 오르는 데다, 내 집을 마련하면서 받은 대출 이자도 부담스러워 그냥 소비 자체를 줄이는 게 답인 것 같다.”(서울 마포구에 사는 40대 직장인 김 모 씨)

    정부 눈치 보며 소비자 저항 줄이려는 의도

    [사진· 각사 홈페이지]

    [사진· 각사 홈페이지]

    고물가 속에서 기업들의 ‘꼼수’ 가격인상이 기승을 부리고 있다. 가격 자체는 유지하되 제품 중량을 줄이는 ‘슈링크플레이션(shrinkflation)’과 제품 가격·중량은 그대로 둔 채 기존보다 저렴한 재료 비중을 높이는 ‘스킴플레이션(skimpflation)’이 대표적 사례다. 정부의 물가안정 기조에 정면 도전하지 않는 듯한 인상을 주면서 소비자의 심리적 저항도 최소화할 수 있다는 기업들의 계산이 반영된 결과로 보인다.

    올해 들어 국내 식품업계에 만연한 슈링크플레이션 사례가 언론과 소비자 레이더망에 여러 번 잡혔다. 해태제과는 7월 냉동만두 스테디셀러인 ‘고향만두’ 용량을 415g에서 378g으로 줄였다(인포그래픽 참조). 동원F&B는 6월 기존에 캔당 100g이던 ‘동원참치 라이트스탠더드’ 통조림 중량을 90g으로 낮췄다. OB맥주는 4월 ‘카스’ 번들 제품 용량을 캔당 375㎖에서 370㎖로 줄였다. 풀무원은 3월 ‘탱글뽀득 점보 핫도그’ 1봉지에 든 핫도그 개수를 기존 5개(500g)에서 4개(400g)로 줄였다.


    [사진· 각사 홈페이지]

    [사진· 각사 홈페이지]

    제품 가격과 전체 중량은 그대로 둔 채 재료 함량을 조정해 사실상 가격인상 효과를 노리는 스킴플레이션 시도도 적잖다. 롯데칠성음료는 7월 ‘과즙 100%’ 상품으로 유명했던 ‘델몬트 오렌지 주스’의 과즙 함량을 80%로, 기존 80%였던 제품은 45%로 낮췄다. 치킨 프랜차이즈 제너시스BBQ는 10월 자사 매장에서 쓰는 튀김용 기름을 기존 ‘100% 엑스트라 버진 올리브유’에서 ‘올리브유·해바라기유 50% 블렌딩 오일’로 변경한다고 밝혔다.



    식품업계에서는 원부자재 및 인건비 상승으로 가격인상 압박이 강해졌으나, 정부의 물가상승 억제 기조를 어길 수 없어 슈링크플레이션이나 스킴플레이션에 나섰다는 얘기가 나오고 있다. 하지만 다양한 형태로 가격을 인상한 상당수 식품업체의 3분기 영업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적게는 두 자릿수, 많게는 세 자릿수 성장률을 보인 것으로 드러나 소비자 원성은 더 높아지고 있다. 이은희 인하대 소비자학과 교수는 “대다수 기업의 슈링크플레이션, 스킴플레이션은 제품 용량과 재료 변화를 표시했다는 점에서 불법은 아니지만 일종의 소비자 기만에 가깝다”면서 “제품 단위가격이 얼마나 올랐고, 품질에 직접 영향을 끼치는 재료 함량이 어떻게 변했는지를 소비자가 실질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기업 고지 의무를 강화하는 등 조치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6년 만에 미국 추월한 한국 물가

    꼼수 가격인상은 해외도 비슷하다. 미국 글로벌 소비재업체 P&G는 최근 ‘차밍 울트라 화장지’의 롤당 화장지 장수를 기존 264장에서 244장으로 줄였다. 소비자들이 화장지를 구입할 때 개수는 따질지언정 롤당 장수까지 신경 쓰지 않는 점을 교묘히 노린 것으로 보인다. 주류 제품의 알코올 함량을 줄이는 드링크플레이션(drinkflation)도 등장했다. 17세기 설립된 영국 최고(最古) 맥주 양조장 브랜드 ‘셰퍼드 님’은 자사 제품의 알코올 함량을 슬그머니 줄였다가 구설에 올랐다. 이 회사는 ‘비숍스 핑거’ ‘스핏파이어’ 맥주의 알코올 도수를 각각 5.4%에서 5.2%, 4.5%에서 4.2%로 낮췄다. 영국 정부가 같은 용량의 술이라도 알코올 도수에 따라 주세를 차등 적용하기로 하자 꼼수를 쓴 것이다.


    추경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가운데)이 11월 14일 서울 용산구 한 대형마트에서 주요 품목의 물가를 점검하고 있다. [뉴시스]

    추경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가운데)이 11월 14일 서울 용산구 한 대형마트에서 주요 품목의 물가를 점검하고 있다. [뉴시스]

    물가상승 행진은 일부 품목에 국한되는 얘기가 아니다. 통계청에 따르면 10월 국내 소비자물가는 지난해보다 3.8% 올라 6년 만에 미국을 제쳤다(그래프 참조). 1월 전년 동기 대비 5.2% 급등한 국내 물가상승률은 7월 2.3%까지 낮아졌으나 하반기 들어 상승폭을 키웠다. 최근 추경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한 언론 인터뷰에서 “11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3.6% 안팎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고물가에 가계 경제가 위축된 가운데 눈속임 가격인상까지 횡행하자 정부도 시장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추 부총리는 11월 14일 서울 용산구 한 대형마트를 직접 찾아 물가 점검에 나섰다. 이날 추 부총리는 슈링크플레이션에 대해 “정직한 경영 방식이 아니다”라며 “가격뿐 아니라 함량과 중량도 소비자가 정확히 알 수 있도록 표시해야 하고, 정확하지 않으면 현행 법규에 따라 엄정하게 제재를 받아야 한다”고 경고했다. 앞서 농림축산식품부는 11월 12일 배추·사과·달걀·쌀 등 농축산물 14개 품목, 햄버거·피자·치킨 등 외식 메뉴 5개 품목, 우유·빵·라면·아이스크림 등 가공식품 9개 품목의 가격을 상시 점검하겠다고 밝혔다. 가공식품의 경우 품목마다 사무관급 ‘물가 관리 전담자’까지 지정하기로 했다.

    식품업계의 꼼수 가격인상을 규제하려는 움직임은 해외도 마찬가지다. 프랑스는 재정경제장관이 ‘슈링크플레이션과 전쟁’을 선포한 데 이어, 기업이 제품 용량을 바꿀 경우 변경 사항을 소비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크게 표기하는 것을 의무화하는 법안을 정부 차원에서 발의했다. 캐나다 경제당국은 소비자 권익을 해치는 슈링크플레이션, 스킴플레이션 같은 행위를 적발하는 태스크포스(TF)를 출범했다. 독일, 러시아, 브라질도 기업의 슈링크플레이션 대응 법안을 발의하거나 시행하고 있다.

    “품목별 가격 관리, 물가 잡혔다는 착시효과 우려”

    정부가 품목별로 물가를 관리하는 것이 실효성은 크지 않을 수 있다는 지적도 있다. 석병훈 이화여대 경제학과 교수는 “정부가 특정 품목의 가격인상을 사실상 막고 있는 가운데 원부자재 가격이 높아지자 기업들이 제품 중량을 줄이는 등 꼼수 가격인상에 나선 상황”이라며 “자유시장경제에서 기업의 제품 가격인상을 언제까지고 막을 수 없는 노릇이고, 어느 순간 가격이 큰 폭으로 오르면 물가가 한꺼번에 급등할 수 있다”고 말했다. 석 교수는 “품목별 가격을 잡는 조치는 자칫 물가가 안정됐다는 착시효과를 가져올 수 있는데, 기준금리 결정의 근거 중 하나인 소비자물가지수가 왜곡될 경우 도리어 국민이 고금리-고물가에 더 오랫동안 노출될 가능성도 있다”고 덧붙였다.

    *유튜브와 포털에서 각각 ‘매거진동아’와 ‘투벤저스’를 검색해 팔로잉하시면 기사 외에도 동영상 등 다채로운 투자 정보를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김우정 기자

    김우정 기자

    안녕하세요. 주간동아 김우정 기자입니다. 정치, 산업, 부동산 등 여러분이 궁금한 모든 이슈를 취재합니다.

    [영상] “코스닥 안정성장형 기업, 주식시장 안 좋을 때가 투자 기회”

    김건희 여사 특검 수사 받나... 尹 대통령 직무정지로 ‘거부권’ 행사 제약

    댓글 0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