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대통령의 거듭된 유감 표명에도 불교계의 반발이 쉽게 가라앉지 않고 있다. 추석연휴 직후인 9월16일 광주와 전남지역 불교계가 또다시 어청수 경찰청장의 퇴진을 촉구하고 나섰다.
하지만 정부가 예의주시하는 것은 영남지역 불교계의 움직임이다. 불교계 반발이 ‘발화(發火)’된 곳이 바로 영남지역이기 때문이다. 7월2일 영남지역 주지들이 ‘종교편향 규탄성명서’를 발표하면서 불교계의 반발은 전국으로 확산됐다. 9월8일 이 대통령이 ‘국민과의 대화’를 통해 불교계에 유감을 표명한 이틀 뒤인 10일 불교계 지도자가 대거 집결한 곳도 대구 동화사다.
불교 : 기독교 : 천주교 = 43 : 34 : 20
한나라당이 최근 부산지역을 시작으로 불교계 달래기에 적극 나선 것도 나름의 이유가 있다. 불교계 교세가 절대적인 곳이 부산과 대구, 경상남북도(이하 경남북) 등 영남지역인 까닭이다. 그렇다면 영남지역의 불교도는 얼마나 될까? 전국 각 지역의 종교별 인구 분포는 또 얼마나 다를까?
‘주간동아’는 이러한 궁금증을 풀기 위해 통계청의 2005년 인구총조사 통계자료 중 전국 시·군·구별 종교인 현황을 분석했다. 인구총조사는 5년 주기, 종교인 현황 조사는 10년 주기로 이뤄진다.
인구총조사 통계자료에 따르면 2005년 현재 총인구 4700여 만명 중 불교, 기독교, 천주교 등 어떤 종교든 믿는 사람은 2497만여 명이었다. 전체 인구의 53.1%가 종교인인 것. 종교별로 보면 불교가 1072만여 명(종교인 가운데 43%)으로 가장 많았고, 기독교 861만여 명(34.5%), 천주교 514만여 명(20.6%) 순이었다.
각 종교의 지역별 성향을 확인하기 위해 종교별 분포도를 조사한 결과 불교인의 분포율이 가장 높은 지역은 영남이었다. 불교인 분포율 상위 10위를 모두 부산, 경남북이 차지했다.
가장 높은 곳은 경남 창녕군과 합천군으로 두 지역 모두 종교인의 82.5%가 불교였다. 종교인 10명 중 8명 이상이 불교신자인 것이다. 경남 산청군의 불교인 비율이 80.2%로 그 뒤를 이었고 경북 청도군(79.6%), 경남 밀양시(78.9%)·의령군(78.8%)·고성군(78.1%)·하동군(77.5%), 부산 강서구(77%), 경남 함안군(76.1%)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들 불교인 집중지역의 기독교인 비율은 9~12%였고, 천주교인은 4~8%에 그쳤다.
부산, 대구, 울산, 경남북 등 광역 지방자치단체(이하 지자체) 종교인 분포율을 봐도 다른 지역에 비해 불교인 비율이 월등히 높았다(아래 표 참조).
이와 달리 기독교인 분포율이 높은 지역은 호남이었다. 종교인 중 기독교인 비율이 높은 순서대로 10개 지역을 뽑은 결과 8개가 전라남북도(이하 전남북) 지역인 것으로 나타났다.
전남 신안군이 68.5%로 월등히 높았고 전북 군산시(57.5%), 충남 서천군(56.1%), 전북 익산시(54.4%)·김제시(53.5%)·완주군(51.3%), 전남 여수시(50.8%), 전북 전주시 완산구(50.2%) 등은 종교인의 절반 이상이 기독교인이었다. 인천 강화군(49.2%), 전남 순천시(49.1%)가 그 뒤를 이었다.
천주교인 분포율 가장 높은 곳은 인천 동구
전북과 전남의 전체 기독교인 비율도 49.1%와 44.7%로 전국 광역 지자체 가운데 가장 높았다.
천주교인의 경우 불교인과 기독교인에 비해 절대 종교인 수가 적어서인지 50%를 넘는 지역이 없었다.
천주교인 분포율 상위 10개 지역을 보면 천주교인이 타 종교에 비해 우위를 점한 지역은 41.2%의 분포율을 나타낸 인천 동구가 유일했다. 인천 옹진군(39.4%), 서울 강남구(34.4%)· 서초구(33.9%), 경기 성남시 분당구(32.7%), 인천 연수구(30.1%) 등은 다른 지역에 비해 천주교인 분포율은 높았지만 기독교인보다는 적었다. 이들 지역의 기독교인 비율은 적게는 40%, 많게는 50% 가까운 것으로 나타났다. 여기서 의미를 찾는다면 천주교의 경우 서울, 인천, 경기 등 수도권에서 분포율이 높았다는 점이다.
영남지역은 불교, 호남지역은 기독교, 서울 수도권지역은 천주교가 상대적으로 강세를 보이는, 다시 말해 지역 간 종교인구 분포의 차이가 이처럼 극명한 까닭은 무엇일까?
정창수 성균관대 명예교수는 “각 지역의 역사적, 사회학적 요인이 크게 작용한 결과”라고 말했다.
정 교수는 영남지역에 불교인이 많은 이유를 조선시대 지배세력이 중시하던 유교와의 관계에서 찾았다.
“과거 불교는 파트타임 종교에 가까웠다. 집안 대소사나 비상시에 절을 찾아 제를 지내는 정도였지 종교로 인식되지 못했다. 8·15 광복 이후 유교가 몰락하면서 다른 종교에 비해 친화성이 높은 불교가 급성장했는데, 이때 유교의 본거지인 영남지역에서 불교인이 급증한 것으로 보인다.”
기독교나 천주교가 영남지역에서 세를 확장하지 못한 이유도 보수적이고 폐쇄적인 유교이념 때문이라는 게 정 교수의 설명이다. 정 교수는 “일례로 초기 기독교 선교사들이 지배세력의 본거지였던 영남지역을 주목해 이 지역에 재정지원을 집중했지만 3년간 선교에 성공한 사람은 세 명에 불과했다”고 말했다.
기독교나 천주교를 적극적으로 수용한 계층은 대부분 차별과 빈곤 등으로 사회적 박탈감을 경험한 사람들이었다. “호남지역은 영남지역에 비해 유교적 색채가 약한 데다 정치적, 사회적으로 소외당하고 경제적 불이익에 대한 인식도 강했기 때문에 기독교와 천주교로 개종하는 성향이 높았다”는 게 정 교수의 부연 설명이다.
정 교수는 서울, 인천, 경기 등 수도권에 기독교와 천주교인 비율이 높은 이유에 대해서는 “호남에서 서울로 이주한 사람이 많았고, 남북 분단을 전후해 북한에서 피난 내려온 사람들도 대부분 기독교인이어서 서울과 수도권의 종교인 분포는 호남과 유사해졌다. 또 서울과 도심으로 이동한 고학력의 젊은 사람일수록 기독교로 개종하는 성향이 높았다”고 설명했다.
불교는 안정된 기득권, 기독교는 소외층서 성장
전체적으로 불교가 ‘안정된 기득권’ 지역과 계층에서 급성장한 반면, 기독교와 천주교는 ‘소외와 차별’로 상대적 박탈감이 높은 지역이나 계층, 도시 젊은 층에서 세를 확장한 것으로 보인다. 이를 통한 종교의 지역적 분포 차이가 여전히 유효하다는 사실이 이번 분석 결과를 통해 확인됐다.
우리 사회에서 종교는 어느 순간 거대한 권력으로 변모했다. 독실한 기독교인인 이 대통령이 불교인이 다수인 영남지역을 발판으로 권력을 잡은 것부터가 난센스인지도 모른다.
한편 국내에서 종교인 비율이 가장 높은 지역은 충남 계룡시로 거주민의 67.1%가 종교를 갖고 있었다. 전체적으로는 서울 수도권과 부산, 경남북 등 영남권 도시에 종교인 비율이 높았다.
반면 종교인 비율이 가장 낮은 지역은 거주민의 39.4%에 불과한 전북 순창군이었다. 전체적으로는 전남북과 충청, 강원 등 생활수준이 열악한 지역에서 종교인 비율이 낮은 것으로 분석됐다.
하지만 정부가 예의주시하는 것은 영남지역 불교계의 움직임이다. 불교계 반발이 ‘발화(發火)’된 곳이 바로 영남지역이기 때문이다. 7월2일 영남지역 주지들이 ‘종교편향 규탄성명서’를 발표하면서 불교계의 반발은 전국으로 확산됐다. 9월8일 이 대통령이 ‘국민과의 대화’를 통해 불교계에 유감을 표명한 이틀 뒤인 10일 불교계 지도자가 대거 집결한 곳도 대구 동화사다.
불교 : 기독교 : 천주교 = 43 : 34 : 20
한나라당이 최근 부산지역을 시작으로 불교계 달래기에 적극 나선 것도 나름의 이유가 있다. 불교계 교세가 절대적인 곳이 부산과 대구, 경상남북도(이하 경남북) 등 영남지역인 까닭이다. 그렇다면 영남지역의 불교도는 얼마나 될까? 전국 각 지역의 종교별 인구 분포는 또 얼마나 다를까?
‘주간동아’는 이러한 궁금증을 풀기 위해 통계청의 2005년 인구총조사 통계자료 중 전국 시·군·구별 종교인 현황을 분석했다. 인구총조사는 5년 주기, 종교인 현황 조사는 10년 주기로 이뤄진다.
인구총조사 통계자료에 따르면 2005년 현재 총인구 4700여 만명 중 불교, 기독교, 천주교 등 어떤 종교든 믿는 사람은 2497만여 명이었다. 전체 인구의 53.1%가 종교인인 것. 종교별로 보면 불교가 1072만여 명(종교인 가운데 43%)으로 가장 많았고, 기독교 861만여 명(34.5%), 천주교 514만여 명(20.6%) 순이었다.
각 종교의 지역별 성향을 확인하기 위해 종교별 분포도를 조사한 결과 불교인의 분포율이 가장 높은 지역은 영남이었다. 불교인 분포율 상위 10위를 모두 부산, 경남북이 차지했다.
가장 높은 곳은 경남 창녕군과 합천군으로 두 지역 모두 종교인의 82.5%가 불교였다. 종교인 10명 중 8명 이상이 불교신자인 것이다. 경남 산청군의 불교인 비율이 80.2%로 그 뒤를 이었고 경북 청도군(79.6%), 경남 밀양시(78.9%)·의령군(78.8%)·고성군(78.1%)·하동군(77.5%), 부산 강서구(77%), 경남 함안군(76.1%)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들 불교인 집중지역의 기독교인 비율은 9~12%였고, 천주교인은 4~8%에 그쳤다.
부산, 대구, 울산, 경남북 등 광역 지방자치단체(이하 지자체) 종교인 분포율을 봐도 다른 지역에 비해 불교인 비율이 월등히 높았다(아래 표 참조).
이와 달리 기독교인 분포율이 높은 지역은 호남이었다. 종교인 중 기독교인 비율이 높은 순서대로 10개 지역을 뽑은 결과 8개가 전라남북도(이하 전남북) 지역인 것으로 나타났다.
전남 신안군이 68.5%로 월등히 높았고 전북 군산시(57.5%), 충남 서천군(56.1%), 전북 익산시(54.4%)·김제시(53.5%)·완주군(51.3%), 전남 여수시(50.8%), 전북 전주시 완산구(50.2%) 등은 종교인의 절반 이상이 기독교인이었다. 인천 강화군(49.2%), 전남 순천시(49.1%)가 그 뒤를 이었다.
3대 종교별 교인 분포 현황(각 지역별 종교인 대비)
전북과 전남의 전체 기독교인 비율도 49.1%와 44.7%로 전국 광역 지자체 가운데 가장 높았다.
천주교인의 경우 불교인과 기독교인에 비해 절대 종교인 수가 적어서인지 50%를 넘는 지역이 없었다.
천주교인 분포율 상위 10개 지역을 보면 천주교인이 타 종교에 비해 우위를 점한 지역은 41.2%의 분포율을 나타낸 인천 동구가 유일했다. 인천 옹진군(39.4%), 서울 강남구(34.4%)· 서초구(33.9%), 경기 성남시 분당구(32.7%), 인천 연수구(30.1%) 등은 다른 지역에 비해 천주교인 분포율은 높았지만 기독교인보다는 적었다. 이들 지역의 기독교인 비율은 적게는 40%, 많게는 50% 가까운 것으로 나타났다. 여기서 의미를 찾는다면 천주교의 경우 서울, 인천, 경기 등 수도권에서 분포율이 높았다는 점이다.
영남지역은 불교, 호남지역은 기독교, 서울 수도권지역은 천주교가 상대적으로 강세를 보이는, 다시 말해 지역 간 종교인구 분포의 차이가 이처럼 극명한 까닭은 무엇일까?
정창수 성균관대 명예교수는 “각 지역의 역사적, 사회학적 요인이 크게 작용한 결과”라고 말했다.
정 교수는 영남지역에 불교인이 많은 이유를 조선시대 지배세력이 중시하던 유교와의 관계에서 찾았다.
“과거 불교는 파트타임 종교에 가까웠다. 집안 대소사나 비상시에 절을 찾아 제를 지내는 정도였지 종교로 인식되지 못했다. 8·15 광복 이후 유교가 몰락하면서 다른 종교에 비해 친화성이 높은 불교가 급성장했는데, 이때 유교의 본거지인 영남지역에서 불교인이 급증한 것으로 보인다.”
기독교나 천주교가 영남지역에서 세를 확장하지 못한 이유도 보수적이고 폐쇄적인 유교이념 때문이라는 게 정 교수의 설명이다. 정 교수는 “일례로 초기 기독교 선교사들이 지배세력의 본거지였던 영남지역을 주목해 이 지역에 재정지원을 집중했지만 3년간 선교에 성공한 사람은 세 명에 불과했다”고 말했다.
기독교나 천주교를 적극적으로 수용한 계층은 대부분 차별과 빈곤 등으로 사회적 박탈감을 경험한 사람들이었다. “호남지역은 영남지역에 비해 유교적 색채가 약한 데다 정치적, 사회적으로 소외당하고 경제적 불이익에 대한 인식도 강했기 때문에 기독교와 천주교로 개종하는 성향이 높았다”는 게 정 교수의 부연 설명이다.
정 교수는 서울, 인천, 경기 등 수도권에 기독교와 천주교인 비율이 높은 이유에 대해서는 “호남에서 서울로 이주한 사람이 많았고, 남북 분단을 전후해 북한에서 피난 내려온 사람들도 대부분 기독교인이어서 서울과 수도권의 종교인 분포는 호남과 유사해졌다. 또 서울과 도심으로 이동한 고학력의 젊은 사람일수록 기독교로 개종하는 성향이 높았다”고 설명했다.
불교는 안정된 기득권, 기독교는 소외층서 성장
종교인 분포 현황
우리 사회에서 종교는 어느 순간 거대한 권력으로 변모했다. 독실한 기독교인인 이 대통령이 불교인이 다수인 영남지역을 발판으로 권력을 잡은 것부터가 난센스인지도 모른다.
한편 국내에서 종교인 비율이 가장 높은 지역은 충남 계룡시로 거주민의 67.1%가 종교를 갖고 있었다. 전체적으로는 서울 수도권과 부산, 경남북 등 영남권 도시에 종교인 비율이 높았다.
반면 종교인 비율이 가장 낮은 지역은 거주민의 39.4%에 불과한 전북 순창군이었다. 전체적으로는 전남북과 충청, 강원 등 생활수준이 열악한 지역에서 종교인 비율이 낮은 것으로 분석됐다.
시·도별 종교인 분포 현황 | ||||
행정구역별 | 종교 있음 | 불교 | 기독교 | 천주교 |
전국 | 49.7% | 43.3% | 34.3% | 20.3% |
서울특별시 | 51.0% | 31.3% | 41.5% | 25.4% |
부산광역시 | 54.6% | 67.7% | 17.8% | 12.6% |
대구광역시 | 51.3% | 62.0% | 19.0% | 17.5% |
인천광역시 | 47.6% | 27.8% | 43.9% | 26.7% |
광주광역시 | 44.5% | 30.5% | 41.0% | 26.4% |
대전광역시 | 50.7% | 41.0% | 37.9% | 19.6% |
울산광역시 | 54.0% | 70.5% | 16.6% | 11.2% |
경기도 | 48.8% | 33.0% | 41.9% | 23.6% |
강원도 | 45.5% | 47.8% | 31.8% | 18.7% |
충청북도 | 46.0% | 48.6% | 30.4% | 19.8% |
충청남도 | 46.6% | 41.3% | 38.6% | 18.2% |
전라북도 | 49.5% | 23.6% | 49.1% | 21.5% |
전라남도 | 45.1% | 32.8% | 44.7% | 18.0% |
경상북도 | 50.3% | 63.0% | 21.7% | 13.3% |
경상남도 | 52.3% | 71.6% | 15.5% | 10.6% |
제주도 | 48.1% | 63.3% | 14.3% | 20.1% |
전국에서 종교인 비율이 가장 높은 지역 10 | |||
순위 | 시도 | 행정구역별 | 종교 있음 |
1 | 충남 | 계룡시 | 67.1% |
2 | 경북 | 울릉군 | 67.0% |
3 | 경북 | 청도군 | 65.9% |
4 | 경남 | 산청군 | 65.3% |
5 | 경기 | 과천시 | 63.6% |
6 | 부산 | 강서구 | 62.9% |
7 | 경남 | 고성군 | 62.9% |
8 | 부산 | 수영구 | 62.4% |
9 | 서울 | 서초구 | 62.3% |
10 | 부산 | 서구 | 6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