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동아 445

2004.07.29

취향 따라 쓰임새 따라 “골라 골라”

각 브랜드별 제품 특징 비교 … 개성 있는 출력 원한다면 500만 이상 화소급 고급형 추천

  • 정호재 기자 demian@donga.com 박유진/ 디시인사이드 팀장 zinpark@empal.com 황정우/ 디시인사이드 리플러 모임 운영자 http://cafe.daum.net/dcreply

    입력2004-07-22 16:02:00

  • 글자크기 설정 닫기
    취향 따라 쓰임새 따라 “골라 골라”
    사진기술개론’이란 교과서의 저자 제리 율스만은 이렇게 말한다. “캐논(Cannon)은 웬만한 타격에도 잘 견디게끔 견고하고, 콘탁스(Contax)는 전자공학의 결정품이며, 라이카(Leica)는 소유자보다도 수명이 더 길고… 펜탁스(Pentax)는 작동이 단순하고 간단하며, 낡은 니콘(Nikon)은 매력적인 귀금속처럼 멋지고, 올림푸스(Olympus)는 축소된 놀라운 작품이며, 미놀타(Minolta)는 위 내용의 복합체로… 선택은 결국 당신에게 달려 있다.”

    이 내용에 흥미가 있다면 당신은 분명한 디지털 세대다. 필름카메라를 대체하며 등장한 디지털카메라(이하 디카)는 디지털 문화의 중심으로 자리잡으며 카메라론을 자연스럽게 사회의 주요 담론으로까지 부각시켰다. 카메라 브랜드는 디카 유저(user•사용자나 수요자)들에게 자신의 정체성을 설명하는 가장 명징한 도구로, 같은 브랜드를 쓴다는 것은 세상을 보는 눈이 동일하다는 의미인 셈이다. 자신의 ‘눈’을 찾기 위한 국내 디카 유저들의 브랜드에 대한 집착은 거의 광적일 정도다. 온라인에서 벌어지는 품질 논쟁은 차라리 애교에 가깝다. ‘소니-칼짜이즈’ ‘파나소닉-라이카’ ‘카시오-펜탁스’ ‘교세라-콘탁스’ 등 일본 전자회사와 독일 렌즈회사의 이상적인 결합은 주문처럼 반복된다. 신제품이 출시되면 일본의 기술자까지 초청해 품평회를 열고 찬사와 비난을 동시에 쏟아낸다. 이 같은 열기에 대해 일각에서 “페티시즘의 한 종류다”는 비난까지 제기될 정도니, 디카는 젊은 세대의 대표 장난감으로 자리잡은 셈이다.

    전 세계 디카 시장 매년 100%씩 성장 … 현재는 일본이 주도

    오랜 기간 어른들의 장난감 노릇을 해온 ‘오디오’나 ‘자동차’에 비해 디카만의 뚜렷한 장점이라면 비교적 저렴한 가격대와 끊임없는 신제품 출시, 그리고 활성화된 중고시장으로 인해 자신에게 맞는 최적의 브랜드를 재빨리 찾아낼 수 있다는 점. 또 디카는 소비의 도구이자 문화생산의 도구라는 점이다. 카메라만큼 브랜드 충성도가 높은 제품이 또 있을까. 한 번 써보고 실망한 브랜드에는 뒤도 안 돌아보고 ‘기변(기기 변경)’을 결정해버리지만, 한 번 감동한 브랜드에는 평생의 사랑을 약속하곤 한다. 그 근간을 이루는 것이 역동적인 활동을 펼치는 디카 동호회다. 주말 서울 근교의 유원지 곳곳은 출사(出寫) 나온 한 무리의 아마추어 사진사들로 북새통을 이룬다. 뿐만 아니라 온라인에서는 수백만 디카 유저들이 자신의 브랜드 자존심을 강조하며 한판 성능경쟁을 벌이기까지 한다.

    한편에서는 아쉬운 목소리도 터져나온다. 일본경제 부활의 저변에는 디카가 존재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는 절대로 과장이 아니다. 플라스마 디스플레이 패널(PDP) TV, DVD 리코더와 함께 디지털 분야의 3가지 신기(神器)로 꼽히는 디카 분야에서는 일본의 독점체제(캐논-올림푸스-니콘)가 지속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는 전자제품 강국인 대한민국의 아쉬움으로 이어진다(최근 삼성 케녹스가 1류 브랜드로 성장했고 LG전자 역시 디카 시장 진입을 선언했지만 마니아층의 신뢰를 얻기에는 부족한 실정이다). 디카 시장이 얼마나 거대하냐고? 알기 쉽게 숫자로 감을 잡아보자. 전 세계 디카 시장은 2001년부터 급속히 커져 매년 100%씩 성장했다. 올해 전 세계 연간 판매량이 5000만대에 이를 것이며, 2006년에는 7500만대를 넘어설 것으로 예상된다. 국내 판매량만 해도 올해만 120만대로 연간 5000억원이 넘는 거대한 시장이다. 그러니 전 세계 20조원 가까이 되는 시장을 일본이 싹쓸이한 셈이다.



    그러나 국내 디카 유저들의 관심은 국적이 아닌, 어떤 브랜드가 자신의 감성을 자극하는 개성 있는 화질을 나타내는가일 뿐. 결국 디카 시장의 총아로 떠오른 한국에서 네티즌들의 신뢰를 얻으면 세계에서 성공할 수 있다는 신화가 자리잡았다. 이에 모든 카메라 브랜드들은 한국 네티즌들의 사랑을 얻기 위해 총력전을 펼치는 중이다.

    소니 속도, 파나소닉 가격, 삼성 A/S ‘강점’

    취향 따라 쓰임새 따라 “골라 골라”
    디카는 교체주기가 2년도 채 안 될 정도로 진화 속도가 빠른 제품이다. 30년을 쓰는 필름카메라와 달리 3개월 또는 6개월마다 디카를 업그레이드하는 것은 경박스럽지만 자연스러운 모습이다. 초기에 디카를 구매한 사람들이라면 지금쯤 디카 업그레이드를 위해 쇼핑몰을 배회할 것이며 이미 두세 번 ‘기변’을 감행한 이라도 언제나 새로운 디카에 쏠리는 눈길을 거부할 수 없다. 1차적 고려 요소는 당연하게 가격 대비 품질과 사용 목적이다. 그래도 유저들의 마음에는 하나씩 거대한 브랜드가 자리잡기 시작했고 그 흐름은 좀처럼 변화하기 어려울 것이다. 이미 디카 유저들은 한 단계씩 촬영실력과 카메라 기종을 업그레이드해가면서 자신만의 ‘디지털 스토리’를 충실하게 작성해나가고 있다. 초ㆍ중급자에게 적합한 브랜드와 디카를 추천하기에 앞서 디카 마니아에게 친숙한 브랜드에 대한 총평을 살펴보자.

    취향 따라 쓰임새 따라 “골라 골라”
    캐논은 깜찍하지만 견고한 외형, 그리고 전문가들의 고개를 끄덕이게 할 만한 안정적인 화질과 사용하기 쉽다는 점이 초보자들까지 무난하게 끌어들인다. 올림푸스는 각 화소별로 생활방수 기능을 지원하는 다양한 모델이 출시돼 있고, 인물표현에 적합한 보편적인 정감을 살려낸다. 소니는 개성 있는 디자인으로 눈길을 끌고 있으며, 빠른 조작 속도가 특징이다. 파나소닉은 기능 대비 저렴한 가격대를 형성하고 있으며, 니콘은 접사촬영(가까운 거리에서 초점을 맞춰 촬영하는 것)에 유리하다. 삼성은 국내 디카업체 중 유일하게 인지도를 획득해 A/S를 바탕으로 무섭게 치고 올라가고 있다. 산요와 카시오는 빠른 속도가 장점이다. 누구나 좋은 사진기를 갖고 싶어한다.

    그러나 특정 사진기가 다른 사진기보다 더 좋다는 판단은 막연한 것일 때가 많다. 기계는 사람이 다루는 것이기 때문에 대부분의 책임은 기계를 다루는 주인에게 있다고 해야 옳다. 어떤 사람들은 브랜드에 정치색을 입히기도 하고, 문화적 코드를 덧씌우기도 한다. 예를 들어 쫛쫛제품을 좋아하는 사람은 ‘보수적’이고 ‘현실 도피형’이라는 딱지를 붙이는 식이다. 그러나 디카는 디카일 뿐 오로지 자신의 취향을 믿고 따르면 된다. 자신에게 맞는 브랜드를 선택했다면 이른바 ‘내공’을 쌓는 일만이 남았다.





    댓글 0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