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동아 306

2001.10.25

음악계 ‘유대계 마피아’ 와해될까

  • < 전원경 기자 > winnie@donga.com

    입력2005-01-03 16:22:00

  •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음악계 ‘유대계 마피아’ 와해될까
    노만 주어슨이 감독한 ‘지붕위의 바이올린’은 고향을 잃은 유대인들의 삶을 생생히 그린 영화다. 전통을 지키려 애쓰는 부모와 세 딸 사이의 갈등을 그린 이 영화의 마지막 장면, 주인공 테비에 가족이 다시금 유랑의 길을 떠날 때 그들의 뒷모습에 겹쳐 바이올린 선율 ‘선라이스 선셋’이 애달프게 흐른다. 그래서일까, 유대인이라는 이미지는 왠지 모르게 바이올린과 겹쳐 떠오른다.

    유대인은 원래 음악성이 뛰어난 민족이었다. 고대사는 기원전 700년경 아시리아의 왕 세나케리브가 유대왕 헤제키아에게 남녀 악사를 조공토록 했다고 기록하고 있다. 또 구약성서에는 소년 다윗이 하프를 연주해 사울왕의 정신병을 고쳤다는 부분이 있다.

    이처럼 타고난 천성 때문인지, 아니면 2000년이 넘게 세계를 떠돌아야 했던 민족사 때문인지 유대인 중에는 음악가, 그중에서도 바이올린 연주자가 유난히 많다. 레코딩을 시작한 19세기 말 이후 등장한 유명 바이올리니스트만 꼽아도 프리츠 크라이슬러, 칼 플레시, 야사 하이페츠, 다비드 오이스트라흐, 아이작 스턴, 예후디 메뉴인, 이자크 펄만 등 열 손가락이 모자란다. 유대인들이 유독 바이올린에서 강세를 보이는 이유에 대해 유대인 연주자들은 자조적으로 말한다. “밤낮 쫓겨다닌 유대인이 가벼운 바이올린이나 들고 다녀야지, 파이프 오르간이나 피아노를 들고 다닐 수 있었겠소?”

    이 저명한 유대인 바이올리니스트의 한 사람이자 ‘지붕 위의 바이올린’ 사운드트랙을 연주한 아이작 스턴이 지난 9월22일 81세를 일기로 뉴욕에서 사망했다. 그의 타계 소식은 적잖은 음악애호가들에게 여러 감회를 불러일으켰다. 그것은 카라얀이나 번스타인 같은 20세기 거장들이 세상을 떠났을 때와는 또 다른 감회다. 스턴은 위대한 바이올리니스트인 동시에 미국 음악계를 움직이는 막후 실세였기 때문이다. 심지어 연주자는 스턴에게 부탁하면 국적까지도 바꿀 수 있었다.

    스턴은 ‘지붕 위의 바이올린’의 주인공처럼 옛 소련 우크라이나에서 태어나 미국으로 이민한 유대인이다. 그는 독주곡에서 협주곡, 실내악, 현대음악 등 음악의 모든 분야에서 활약하며 100종이 넘는 음반을 녹음했다. 케네디부터 클린턴까지 역대 미국 대통령들은 한 사람도 빠짐없이 백악관 음악회에 스턴을 초청했다. 스턴은 냉전 시대에 소련과 중국에서 연주한 최초의 미국 음악가이기도 하다. 그러나 그는 나치에 협력한 푸르트벵글러나 카라얀 등의 지휘자와는 절대 연주하지 않았으며 독일 팬들의 호소에도 죽는 날까지 독일 무대에 서지 않았다.



    스턴을 한층 더 유명하게 한 것은 1960년의 ‘카네기홀 사건’이다. 개발업자가 카네기홀을 헐고 이 자리에 빌딩을 지으려 하자 스턴은 분연히 뉴욕 거리로 나서 불도저를 막아섰다. 전 세계 음악인들에게 편지를 보내 호소하고 뉴욕 시장을 집으로 초청해 카네기홀은 예술가들의 영감이 숨쉬는 곳이라며 설득한 스턴의 열성은 모두를 감복시켰다. 결국 뉴욕시가 500만 달러에 카네기홀을 사들였다. 스턴은 카네기홀 법인의 초대 회장으로 임명되었다. 이후 반세기 동안 스턴은 카네기홀로 대표되는 막강한 문화권력의 주인공으로 군림했다. 그가 카네기홀 법인을 통해 모금한 기부금은 5000만 달러를 넘는다.

    음악계 ‘유대계 마피아’ 와해될까
    스턴은 특히 어린 연주자들을 발굴하는 데 열성이었다. 뛰어난 재능의 소유자로 판단되면 2만~3만 달러를 호가하는 바이올린을 선뜻 사주기도 했다. 이자크 펄만, 핀커스 주커만, 슐로모 민츠, 다니엘 바렌보임, 길 샤함 등 수많은 유대인 연주자들이 스턴에게 발탁되어 순조롭게 스타덤에 올랐다.

    물론 스턴이 유대인 주자만 길러낸 것은 아니었다. 그가 발굴한 연주자 중에는 요요마나 미도리, 초량 린, 지안 왕 등 동양인 주자도 있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유대인 주자가 더 많은 혜택을 받았으며 그 배후에 스턴이 있었다는 것은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다. 1967년의 레벤트리트 콩쿠르 해프닝만 보아도 그렇다. 당시 심사위원들은 정경화를 우승자로 밀었으나 스턴의 입김으로 유대인 연주자인 핀커스 주커만이 정경화와 공동우승자가 되었다는 이야기가 나돌았다. 영국의 음악평론가인 노만 레브레히트는 ‘누가 클래식음악을 죽였는가’라는 책에서 스턴을 ‘바이올리니스트들의 대부’로 묘사했다.

    ‘정말로 스턴에게는 마피아 보스를 연상시키는 분위기가 있었다. 시가를 피우며 여유로운 분위기로 환담하는 속에서도 범접할 수 없는 카리스마가 엿보였다’는 것이 그를 직접 만난 소니뮤직 코리아 박문선 대리(34)의 설명이다. 미국의 여러 오케스트라 단원으로 활동한 바이올리니스트 김의명씨(금호현악4중주단 리더)는 스턴이 자상하지만 음악에는 엄격한 연주자였다고 말했다. “뉴욕 필하모닉에서 연주한 1970년대에 스턴과 함께 브람스 바이올린 협주곡을 녹음한 적이 있습니다. 같은 곡을 얼마나 많이 반복했는지 나중에는 손가락이 돌아가지 않을 정도였죠.”

    그렇다면 스턴이 세상을 떠난 지금, 클래식 음악의 ‘유대계 마피아’는 와해의 길을 걸을까? 그렇지 않을 것이라는 견해가 지배적이다. 유대인 연주자들의 인맥이 워낙 튼튼하기 때문이다. 스턴은 생전에 이미 아메리칸·이스라엘 문화재단, 카네기홀 법인 등 갖가지 네트워크를 구축해 자신의 권력을 분산해 두었다. 바이올리니스트 이성주씨(한국예술종합학교 음악원 교수)는 “유대인들은 음악가를 가장 존경받는 직업의 하나로 생각한다”면서 조기교육과 재능, 그리고 범국가적 지원체계 등을 모두 갖춘 만큼 음악계의 유대인 강세는 당분간 계속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음악계 ‘유대계 마피아’ 와해될까
    ‘유대계 마피아’의 젊은 세대인 바이올리니스트 길 샤함은 “왜 유대인 중에서 뛰어난 바이올리니스트가 많은가?”라는 기자의 질문에 “요즘 등장하는 신진 연주자 중에는 유대인보다도 동양인, 특히 한국인이 더 많다”고 대답한 적이 있다. 그의 지적대로 사라 장, 장한나, 이유라 등 세계 무대에서 활동하는 젊은 연주자 중에는 한국인이 적지 않다. 또 뉴욕 필하모닉, 파리 오케스트라, 필라델피아 오케스트라 등 세계 굴지의 오케스트라에 입단하는 한국 연주자도 점차 늘어가고 있다.

    그러나 이들이 유대인에 버금가는, 아니 유대인의 반만큼이라도 국가적 지원이나 조직적인 후원을 받고 있을까? 아니면 해외에서 활동하는 한국 음악인들의 네트워크가 형성되었을까? 대답은 부정적일 수밖에 없다. 우리가 유대인을 부러워하면서도 그들을 따라잡지 못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댓글 0
    닫기